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식어업 규모화를 위한 대기업 진입 여건 분석 = An Analysis on the Entry Conditions of Large Enterprises for the Scaling of Aqua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capital inflows when the government enacts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The enactment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mitigate restrictions on entry into aquaculture, compared to the "Fisheries A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and expand new investment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structural small-scale of aquaculture in Korea.
      Existing aquaculture workers are concerned about possible damage to some regulations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t is because there is not yet a concrete and specific plan, although the legislative restrictions on the entry license and conditions for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compare the restrictions on the entrance of large corporations between the existing "Fisheries Act" and the "Restrictions on Restricted Entrance of Large Enterprises" in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Secondly, we review whether the actual large corporations have adequate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entry into aquaculture, and finally, we find out the specific strategic species to be farm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capital inflows when the government enacts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The enactment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mitigate restric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capital inflows when the government enacts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The enactment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mitigate restrictions on entry into aquaculture, compared to the "Fisheries Ac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and expand new investment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structural small-scale of aquaculture in Korea.
      Existing aquaculture workers are concerned about possible damage to some regulations of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It is because there is not yet a concrete and specific plan, although the legislative restrictions on the entry license and conditions for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compare the restrictions on the entrance of large corporations between the existing "Fisheries Act" and the "Restrictions on Restricted Entrance of Large Enterprises" in the "Aqua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ct". Secondly, we review whether the actual large corporations have adequate legal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entry into aquaculture, and finally, we find out the specific strategic species to be farm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법안심사소위원회, "해양수산법안 소위 심사자료(Ⅴ), 제38항 양식산업발전법안"

      2 국립수산과학원, "해수를 활용한 육상 스마트양식 기반 구축을 위한 타당성 기획연구" 2019

      3 "통계청"

      4 해양수산부, "양식수산물 전략품목 육성을 위한 2019년도 사업 추진 계획" 2019

      5 "양식산업발전법안 (제안일자 2016.12.28., 의안번호 2004687)"

      6 해양수산부, "양식산업발전법 제정에 따른 하위 법령 및 제도 마련 연구" 2019

      7 해양수산부, "수산업법의 체계화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개정안 마련 연구" 2017

      8 "수산업법 (개정 2019.1.8., 법률 제16211호)"

      9 한능호, "수산양식업의 6차산업화에 관한 사례연구: 일본을 중심으"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37) : 229-249, 2017

      10 "법제처"

      1 해양수산법안심사소위원회, "해양수산법안 소위 심사자료(Ⅴ), 제38항 양식산업발전법안"

      2 국립수산과학원, "해수를 활용한 육상 스마트양식 기반 구축을 위한 타당성 기획연구" 2019

      3 "통계청"

      4 해양수산부, "양식수산물 전략품목 육성을 위한 2019년도 사업 추진 계획" 2019

      5 "양식산업발전법안 (제안일자 2016.12.28., 의안번호 2004687)"

      6 해양수산부, "양식산업발전법 제정에 따른 하위 법령 및 제도 마련 연구" 2019

      7 해양수산부, "수산업법의 체계화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개정안 마련 연구" 2017

      8 "수산업법 (개정 2019.1.8., 법률 제16211호)"

      9 한능호, "수산양식업의 6차산업화에 관한 사례연구: 일본을 중심으"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37) : 229-249, 2017

      10 "법제처"

      11 신용민, "광어양식 생산자조직의 자조금사업 발전 방안"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4) : 53-80, 2013

      12 FAO, "Yearbook of Fishery and Aquaculture Stat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0.82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