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지역별 기온 자료를 활용한 벼 안전 재배 시기 분석 = Assessment of the Safe Rice Cropping Period Based on Temperature Data in Different Regions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29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bability of safe cropping and the major phenological stages in rice were assessed using daily mean temperature data from 1981 to 2016 at 27 sites in North Korea. The threshold temperatures for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marginal harvesting date (MHVD),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and cumulative temperature-based heading date (CTHD) were set to be 14oC, 13oC, 22oC for 40 days after heading,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1200oC to MHVD, respectively. The safe heading date (SHD) was assumed to be either SMHD or CTHD whichever was earlier. It was also assumed that the minimum requirement for the suitability of safe rice cropping was met when both SMHD and CTHD appeared along with the time period of 60 days or more from EMTD to SHD. It was analyzed that 17 sites (Kaesong, Haeju, Yongyon, Singye, Sariwon, Nampo, Pyongyang,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Huichon, Supung, Kanggye) had 90% or higher probability, two sites (Yangdok, Sinpo) had 80-90% probability, and eight sites (Kimchaek, Chunggang, Chongjin, Sonbong, Changjin, Pungsan, Hyesan, Samjiyon) had less than 80% probability of the safe rice cropping. For each region, the representative EMTD, SHD, and MHVD were analyzed using the 80 percentile of total years tested. The ranges for EMTD, SHD, and MHVD were May 4 in Sariwon∼May 24 in Sinpo, June 21 in Kanggye∼August 11 in Haeju, and September 17 in Kanggye∼October 16 in Haeju and Changjon, respectively. Time durations from EMTD to SHD and from SHD to MHVD were 67∼97 days and 57∼72 days,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regions. This study would facilitate modeling efforts for rice yield simulation in future studies. Our results would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actical researches on the rice cropping system in North Korea.
      번역하기

      The probability of safe cropping and the major phenological stages in rice were assessed using daily mean temperature data from 1981 to 2016 at 27 sites in North Korea. The threshold temperatures for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marginal ...

      The probability of safe cropping and the major phenological stages in rice were assessed using daily mean temperature data from 1981 to 2016 at 27 sites in North Korea. The threshold temperatures for early marginal transplanting date (EMTD), marginal harvesting date (MHVD), safe marginal heading date (SMHD), and cumulative temperature-based heading date (CTHD) were set to be 14oC, 13oC, 22oC for 40 days after heading, and cumulative temperature of 1200oC to MHVD, respectively. The safe heading date (SHD) was assumed to be either SMHD or CTHD whichever was earlier. It was also assumed that the minimum requirement for the suitability of safe rice cropping was met when both SMHD and CTHD appeared along with the time period of 60 days or more from EMTD to SHD. It was analyzed that 17 sites (Kaesong, Haeju, Yongyon, Singye, Sariwon, Nampo, Pyongyang, Anju, Kusong, Sinuiju, Changjon, Wonsan, Hamhung, Pyonggang, Huichon, Supung, Kanggye) had 90% or higher probability, two sites (Yangdok, Sinpo) had 80-90% probability, and eight sites (Kimchaek, Chunggang, Chongjin, Sonbong, Changjin, Pungsan, Hyesan, Samjiyon) had less than 80% probability of the safe rice cropping. For each region, the representative EMTD, SHD, and MHVD were analyzed using the 80 percentile of total years tested. The ranges for EMTD, SHD, and MHVD were May 4 in Sariwon∼May 24 in Sinpo, June 21 in Kanggye∼August 11 in Haeju, and September 17 in Kanggye∼October 16 in Haeju and Changjon, respectively. Time durations from EMTD to SHD and from SHD to MHVD were 67∼97 days and 57∼72 days,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regions. This study would facilitate modeling efforts for rice yield simulation in future studies. Our results would als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actical researches on the rice cropping system in Nor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점의 1981∼2016 년 기온 자료에 벼 주요 생육 단계의 기준 온도를 적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재배 가능성을 분석하고 각 지역의 기온에 적합한 재배 시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 비율은 개성, 해주, 용연, 신계, 사리원, 남포, 평양,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남포, 평강, 희천, 수풍, 강계의 17 지역에서 90% 이상이었고, 양덕과 신포의 2개 지역에서 80∼90%로 벼 재배의 안전성이 높았다. 김책, 청진, 선봉, 중강, 장진, 풍산, 혜산, 삼지연의 8개 지역은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의 비율이 80% 미만으로 재배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북부 고산 지대에 속하는 4개 지역에서는 안전 재배 가능 연도가 한 해도 출현하지 않았으며, 동해안 북부 지대의 선봉에서는 16%로 낮아 벼 안전 재배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에 따라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는 사리원의 5월 4일∼신포의 5월 24일, 안전 출수기는 강계의 7월 21일∼해주의 8월 11일, 수확 한계기는 강계의 9월 17일∼해주와 장전의 10월 16일 범위였다.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안전 출수기 기간은 양덕에서 67일로 가장 짧았고, 해주에서 97일로 가장 길었다. 안전 출수기∼안전 수확 한계기 기간은 양덕, 희천, 강계에서 60일 미만으로 짧았고, 장전과 원산에서 70일 이상으로 길었다. 본 연구는 북한 지역별 평균기온에 근거하여 벼 재배 지역의 안전 생육 시기와 기간을 분석하였고, 지역별 강수량과 같은 다른 기상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생산성까지는 추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지역별 벼 재배를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생산성 모의나 북한 적응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점의 1981∼2016 년 기온 자료에 벼 주요 생육 단계의 기준 온도를 적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재배 가능성을 분석하고 각 지역의 기온에 적합한 재배 시기를 설...

      본 연구는 북한 27개 기상 관측 지점의 1981∼2016 년 기온 자료에 벼 주요 생육 단계의 기준 온도를 적용하여 지역별 벼 안전 재배 가능성을 분석하고 각 지역의 기온에 적합한 재배 시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 비율은 개성, 해주, 용연, 신계, 사리원, 남포, 평양, 안주, 구성, 신의주, 장전, 원산, 남포, 평강, 희천, 수풍, 강계의 17 지역에서 90% 이상이었고, 양덕과 신포의 2개 지역에서 80∼90%로 벼 재배의 안전성이 높았다. 김책, 청진, 선봉, 중강, 장진, 풍산, 혜산, 삼지연의 8개 지역은 벼 안전 재배 가능 햇수의 비율이 80% 미만으로 재배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특히 북부 고산 지대에 속하는 4개 지역에서는 안전 재배 가능 연도가 한 해도 출현하지 않았으며, 동해안 북부 지대의 선봉에서는 16%로 낮아 벼 안전 재배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에 따라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는 사리원의 5월 4일∼신포의 5월 24일, 안전 출수기는 강계의 7월 21일∼해주의 8월 11일, 수확 한계기는 강계의 9월 17일∼해주와 장전의 10월 16일 범위였다. 안전 조기 이앙 한계기∼안전 출수기 기간은 양덕에서 67일로 가장 짧았고, 해주에서 97일로 가장 길었다. 안전 출수기∼안전 수확 한계기 기간은 양덕, 희천, 강계에서 60일 미만으로 짧았고, 장전과 원산에서 70일 이상으로 길었다. 본 연구는 북한 지역별 평균기온에 근거하여 벼 재배 지역의 안전 생육 시기와 기간을 분석하였고, 지역별 강수량과 같은 다른 기상 요소는 고려하지 않았으며, 생산성까지는 추정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북한의 지역별 벼 재배를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생산성 모의나 북한 적응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준, "평년 기후자료를 활용한 국내 벼 안전출수 한계기의 시공간적 변화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16 (16): 316-326, 2014

      2 양운호, "중북부 중간지대에서 극조생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개화기 및 수량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62 (62): 304-310, 2017

      3 양운호,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출수기와 수량특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30 (30): 51-57, 2018

      4 채제천, "수확시기가 쌀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47 (47): 254-258, 2002

      5 김진희, "북한지역의 소기후 추정을 위한 수문단위 설정"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20-27, 2011

      6 최미희, "북한지역 상세격자 디지털 일사량 분포도 제작"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41-46, 2011

      7 윤성탁, "북한의 농업지대별 작물재배 및 기후특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7-16, 2006

      8 윤성탁, "북한농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006

      9 양원하, "북한 벼 품종의 지대별 출수반응"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6 (16): 68-75, 2004

      10 윤성탁, "남북농업협력을 대비한 북한기후지역별 다수확 벼 품종 배치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7 (17): 243-251, 2005

      1 이동준, "평년 기후자료를 활용한 국내 벼 안전출수 한계기의 시공간적 변화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16 (16): 316-326, 2014

      2 양운호, "중북부 중간지대에서 극조생 벼 품종 ‘조운’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 개화기 및 수량특성 변화" 한국작물학회 62 (62): 304-310, 2017

      3 양운호, "중부 평야지에서 중생종 벼 ‘하이아미’의 기계이앙 시기에 따른출수기와 수량특성 변화"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30 (30): 51-57, 2018

      4 채제천, "수확시기가 쌀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47 (47): 254-258, 2002

      5 김진희, "북한지역의 소기후 추정을 위한 수문단위 설정"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20-27, 2011

      6 최미희, "북한지역 상세격자 디지털 일사량 분포도 제작"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41-46, 2011

      7 윤성탁, "북한의 농업지대별 작물재배 및 기후특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7-16, 2006

      8 윤성탁, "북한농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8 (18): 2006

      9 양원하, "북한 벼 품종의 지대별 출수반응"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6 (16): 68-75, 2004

      10 윤성탁, "남북농업협력을 대비한 북한기후지역별 다수확 벼 품종 배치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7 (17): 243-251, 2005

      11 김춘송, "기후 변화에 따른 영남지역의 벼 출수적기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 9 (9): 17-28, 2007

      12 김영호, "공간정보와 생육모의에 의한 남한 벼 품종의 북한 서부지대 적응성 예측" 한국농림기상학회 4 (4): 224-236, 2002

      13 김덕수, "Varietal Characteristics of Kernel Growth of Rice influenced by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During Grain Filling" 한국작물학회 48 (48): 397-401, 2003

      14 Lim, S. C., "Trend of agricultural policy and production in D.P.R.K. 2. Study on productive basis of agriculture" 2 (2): 97-103, 1990

      15 Lim, S. C., "Trend of agricultural policy and production in D.P.R.K. 1. Study on agricultural policy in D.P.R.K" 2 (2): 9-16, 1990

      16 Lim, S. C., "Study on cereals production in D.P.R.K" 4 (4): 31-36, 1992

      17 Kim, K. C.,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28 (28): 58-75, 1983

      18 김준환, "Statistical Assessment of the Late Marginal Heading Date for Normal Maturation of Temperate Japonica Rice in South Korea" 한국작물학회 17 (17): 247-253, 2014

      19 Lee, E. W., "Rice Cropping" Hyangmoonsa 194-, 1986

      20 Yang, W.-H., "Response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f North Korean rice varieties" 13 (13): 52-57, 2001

      21 Woonho Yang, "Re-examination of the Standard Cultivation Practices of Ric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Korea" 한국작물학회 16 (16): 85-92, 2013

      22 Kim, S.-S., "Proper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50 (50): 62-68, 2005

      23 Tanaka, M., "Practical studies on the injuries of cool weather in rice plant. II. Temperature and heading date need to full development of rice grains" 19 (19): 57-61, 1950

      24 김대준, "PRISM과 상세 지형정보에 근거한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35-40, 2011

      25 "Nongsaro"

      26 Park, J.-S., "Nitrogen response on growth and yield in rice varieties of North Korea and China" 11 (11): 363-371, 1999

      27 Noh, T. H., "Meteo-e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North Korean rice varieties" 29 (29): 404-408, 1997

      2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eice"

      2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0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GIEWS update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utlook for food supply and demand in 2014/2015 (November/October)"

      31 Yoshida, S., "Fundamentals of Rice Crop Scienc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40-48, 1981

      32 Yun, J.-I., "Estimation of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f North Korea by using a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2 (2): 16-23, 2000

      33 Kim, K. S., "Effects of shading at heading stage on yield components in rice" 36 (36): 127-133, 1991

      34 Ebata, M., "Effective heat unit summation and base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rice plant. II. On heading, flowering, kernel development and maturing of rice" 59 (59): 233-238, 1990

      35 Choe, J. W., "Cooperation measures f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North Korea" 134-158, 1998

      36 Jeong, E. G., "Cold tolerance in rice varieties of North Korea" 32 (32): 45-50, 2000

      37 Yun, S.-H.,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3 (3): 55-70, 2001

      38 Yun, J.-I., "Agroclimatology of North Korea for paddy rice cultivation: Preliminary results from a simulation experiment" 2 (2): 47-61, 2000

      39 Ryu, I.-S., "Agroclimatic zones for rice cultivation in North Korea" 8 (8): 206-215,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0.96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