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성과 개체성의 통합으로서의 Badiou 진리론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 = Implications the Badiou's Truth Theory as Complementary Connection of Universal and Individual Viewpoint of Knowledge for Curriculum Revi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32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Badiou의 진리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이론 및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지식체가 결여하고 있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Badiou...

      이 연구는 Badiou의 진리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이론 및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지식체가 결여하고 있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Badiou의 진리론은 보편성을 강조하는 객관적 진리론과 개체성을 강조하는 구성적 진리론을 보완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안정하지만 공백의 일자화된 지식이 교육내용이 되어야 할뿐 아니라 주체가 확신을 가지고 해석적 개입과 충실한 탐색을 통해 진리가 면모를 갖추게 해야 한다는 Badiou의 관점은 내용지향적 교육과정이론과 과정지향적 교육과정 이론을 통합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교육목적은 충실한 진리생성의 주체를 양성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기존의 지식체계인 백과사전적 지식을 풍부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그러나 예술, 과학, 정치, 사랑 등 사유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재편성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새로운 진리를 생성할 수 있는 충실한 탐색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식을 비교ㆍ분석ㆍ평가ㆍ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야 하는데, 이는 학습자의 존재 자체의 변용에까지 이르러야 하고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무심한 태도를 지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Badiou 진리론의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진리생성과정을 지지하고 돕는 또 다른 주체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완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at Badiou’s true theory suggest to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at Badiou’s true theory suggest to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Badiou’s truth theory as well as complementary connected up one is a viewpoint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general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particular aspects of knowledge, also link up content-oriented approach and process-oriented approach of curriculum theory.
      Second, his true theory proposed changes to curriculum design as follows. Education’ purpose is to cultivate people that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Contents is composed that knowledge of curriculum subject have a lot of existing pantology, and subject courses includes a five objects of thinking called art, science, politics, love. Also, aspect of method must be assisted that students possess explore abilities and disinterested attitude.
      But so as Badiou’s truth theory to applies curriculum design, is needed in-depth discussion about teacher’s role support that students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기존 교육과정이론의 교육과정 구성에의 한계
      • Ⅲ. 바디우 진리론의 특징과 기존 교육과정이론의 보완가능성
      • Ⅳ.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
      • 요약
      • Ⅰ. 문제의 제기
      • Ⅱ. 기존 교육과정이론의 교육과정 구성에의 한계
      • Ⅲ. 바디우 진리론의 특징과 기존 교육과정이론의 보완가능성
      • Ⅳ.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일준, "화이트헤드와 바디우의 주체 개념 비교 - 창조성의 주체와 공백의 주체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18 : 9-45, 2009

      2 윤병희, "현대 교육과정 이론의 이해를 위한 한 시도: 인식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6 : 171-221, 1987

      3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00

      4 목영해, "바디우의 철학재건관에 의거한 교육철학 재건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43-60, 2013

      5 서용순, "바디우의 진리철학과 세계의 전환"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3 : 54-71, 2011

      6 목영해, "바디우(Alain Badiou) 보편적 진리론의 교육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49 : 135-162, 2013

      7 목영해, "바디우 철학의 교육학적 함의 -구성주의와 다문화주의 교육설의 보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47-65, 2013

      8 서용순,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7 : 79-115, 2011

      9 서용순, "바디우 철학에서의 공백(vide)의 문제"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8 (8): 95-114, 2006

      10 목영해, "바디우 진리론에서 진리와 지식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21-37, 2013

      1 박일준, "화이트헤드와 바디우의 주체 개념 비교 - 창조성의 주체와 공백의 주체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18 : 9-45, 2009

      2 윤병희, "현대 교육과정 이론의 이해를 위한 한 시도: 인식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6 : 171-221, 1987

      3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000

      4 목영해, "바디우의 철학재건관에 의거한 교육철학 재건 연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43-60, 2013

      5 서용순, "바디우의 진리철학과 세계의 전환" 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3 : 54-71, 2011

      6 목영해, "바디우(Alain Badiou) 보편적 진리론의 교육학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49 : 135-162, 2013

      7 목영해, "바디우 철학의 교육학적 함의 -구성주의와 다문화주의 교육설의 보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47-65, 2013

      8 서용순,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7 : 79-115, 2011

      9 서용순, "바디우 철학에서의 공백(vide)의 문제"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8 (8): 95-114, 2006

      10 목영해, "바디우 진리론에서 진리와 지식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21-37, 2013

      11 박일준, "대화를 위한 주체성 연구: 알랭 바디우의 주체 연구- 화이트헤드적 비판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2 : 145-194, 2011

      12 김기수, "근대적 교육이념에 대한 포스트모던적 담론의 난점" 한국교육학회 34 (34): 25-42, 1996

      13 전제아,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지식의 개체성과 보편성 : 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19 (19): 207-224, 2001

      14 김용규, "‘주체로의 복귀’와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 바디우와 지젝" 대동철학회 43 : 59-85, 2008

      15 Heyer, K. D, "Thinking education through Alain Badiou" Wiley-BlackWell 2010

      16 Phenix, P. H, "Theory of knowledge and problems of education" Teachers College 189-196, 1969

      17 Matthews, M. R, "The Marxist theory of schooling: A study of epistemology and education" Humanities Press 1980

      18 Badiou, A, "Saint Paul : fondation de l'universalisme" PUF 1997

      19 Derrida, J, "Of grammatolgo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6

      20 Badiou, A, "Manifeste pour la philosophie" Seuil 1989

      21 Badiou, A, "Le nombre et les nombres" Seuil 1991

      22 Lyotard, J. F, "La condition postmoderne: rapport sur le savoir" Les Editions de Minuit 1979

      23 Badiou, A, "L'être et l'événement" Seuil 1988

      24 Badiou, A., "L'éhique, Hatier" Paris 1993

      25 Reigeluth, C,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26 Heyer, K. D, "Education as an affirmative invention: Alain Badiou and the purpose of teaching and curriculum" 59 (59): 441-463, 2009

      27 Merrill, D, "Constructivism and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A conversa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2

      28 Badiou, A, "Conditions" Seuil 1992

      29 Galati, M, "An epistemology and education: Knowledge as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practices" Northern Illonois University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2-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5 0.8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