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성취동기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3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Nursing students are expected to show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influence on self-leadership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239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lf-leadership was 3.49, for leadership life skills, 3.65, and for achievement motivation, 3.4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task orientation (β=.25, p<.001), responsibility (β=.24, p<.001), challenge spirit (β=.22 p<.001), future orientation (β=.16, p=.001), leadership life skills (β=.08, p=.009),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09,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51.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41.87,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a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for enhancement of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challenge spirit, future orientation, and leadership life skills.
      번역하기

      Purpose: Nursing students are expected to show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influence on self-leadership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

      Purpose: Nursing students are expected to show self-leadership. For this study,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influence on self-leadership in student nurse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239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 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self-leadership was 3.49, for leadership life skills, 3.65, and for achievement motivation, 3.4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according to task orientation (β=.25, p<.001), responsibility (β=.24, p<.001), challenge spirit (β=.22 p<.001), future orientation (β=.16, p=.001), leadership life skills (β=.08, p=.009),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09,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51.1%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41.87,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are leadership life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improve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for enhancement of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challenge spirit, future orientation, and leadership life skil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결론
      • 서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진, "창의성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습몰입, 셀프리더십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245-280, 2015

      2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227-236, 2015

      3 이규영, "수도권지역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수준" 교육연구소 22 (22): 233-253, 2016

      4 신용국, "셀프리더십 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377-393, 2009

      5 김은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동기, 자기주도 학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03-326, 2014

      6 박원혁, "대학생의 성취동기와 자기통제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545-570, 2016

      7 박희현,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20, 2011

      8 김진영,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43-56, 2013

      9 차현진,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93-313, 2016

      10 성미혜, "간호대학생의 학제 간 성취동기,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관련성 비교 연구" 기본간호학회 17 (17): 90-98, 2010

      1 김혜진, "창의성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성취동기, 학습몰입, 셀프리더십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245-280, 2015

      2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227-236, 2015

      3 이규영, "수도권지역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수준" 교육연구소 22 (22): 233-253, 2016

      4 신용국, "셀프리더십 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377-393, 2009

      5 김은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동기, 자기주도 학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03-326, 2014

      6 박원혁, "대학생의 성취동기와 자기통제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545-570, 2016

      7 박희현, "대학생을 위한 리더십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20, 2011

      8 김진영,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43-56, 2013

      9 차현진, "대학 신입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293-313, 2016

      10 성미혜, "간호대학생의 학제 간 성취동기,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관련성 비교 연구" 기본간호학회 17 (17): 90-98, 2010

      11 이선영,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09-318, 2016

      12 서보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149-161, 2014

      13 도은수,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본간호학회 21 (21): 283-291, 2014

      14 이정숙,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53-260, 2016

      15 이미옥,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 21 (21): 417-425, 2015

      16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생활기술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65-73, 2016

      17 이혜경,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생활기술과 자기존중감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8 (18): 278-284, 2009

      18 이윤신,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29-240, 2014

      19 김정아, "간호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셀프리더십 및 임상실습 만족도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125-136, 2016

      20 McClelland DC, "Toward a theory of motive acquisition" 20 (20): 321-333, 1965

      21 Jeffery D. Houghton,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Emerald 17 (17): 672-691, 2002

      22 Lee SH, "The effects of leadership coaching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leadership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mentor volunteers" Kwangwoon University 2012

      23 Park GS, "The achievement motive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Korea"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98

      24 Choi JY,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Eulji University 2016

      25 Wingenbach GJ, "Self-perceived youth leadership and life skills development among Iowa FFA members" Iowa State University 1995

      26 Park HS,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16 (16): 695-706, 2015

      27 Watson L, "Self-leadership :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75 (75): 468-470, 2004

      28 Miller JP, "Competency, coping, and contributory life skills development of early adolescents" 31 (31): 68-76, 1993

      29 Choi CW, "A study o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youth leadership life skill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30 Herman HJM, "A questionnai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54 (54): 353-363, 197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