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일전쟁의 원인과 베조브라조프 일파 = The Causes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Bezobrazov’s Cliq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20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일전쟁의 발발 원인에 대한 상당수의 국내외 연구에서는 소위 베조브라조프 일파의 역할과 관련된 소위 ‘속죄양’ 이론이 비중 있게 언급되고 있다. 그에 따르자면, 러시아 궁정과 긴밀...

      러일전쟁의 발발 원인에 대한 상당수의 국내외 연구에서는 소위 베조브라조프 일파의 역할과 관련된 소위 ‘속죄양’ 이론이 비중 있게 언급되고 있다. 그에 따르자면, 러시아 궁정과 긴밀한 관련을 갖고 있던 일군의 모험주의자들이 압록강 유역에서 삼림 이권을 확보하고자 시도함으로써 일본이 전쟁을 개시하는 중요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베조브라조프 일파의 모험주의적인 활동이 러일전쟁의 발발과 어떤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자면, 베조브라조프 일파에게 러일전쟁의 원인을 돌리는 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이 점은 베조브라조프 일파가 성립되었을 때로부터 약화될 때까지의 과정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 일파가 등장한 시기는 1898년 초였는데 이때는 이미 러시아가 뤼순항을 강제 점령한 이후였다. 또 베조브라조프 일파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던 비테의 정치적 영향력 약화는 시기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오랜 기간 러시아의 재무장관으로 있던 비테의 실각은 니콜라이 2세 본인의 권력의지와 연관되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또한 베조브라조프 일파가 벌인 사업은 1903년 6월부터 재정적인 위기에 봉착하게 되는데, 차르 정부는 그들에게 별다른 재정 지원도 해주지 않았다. 러일전쟁 발발의 책임은 당시에 동아시아 지역에 관심을 두고 있던 열강들이 공유한다고 할 수 있는데, 그 중 러시아 측으로서는 일본의 전쟁의지를 정확하게 평가하지 못하고 전쟁발발 가능성을 과소평가함으로써 일본이 좀 더 쉽게 전쟁개시를 결단하는 중요동기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number of researchers concerned with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have remarked on the so-called ‘scapegoat theory’, which emphasized on the roles of the clique around A. M. Bezobrazov at the outbreak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A number of researchers concerned with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have remarked on the so-called ‘scapegoat theory’, which emphasized on the roles of the clique around A. M. Bezobrazov at the outbreak of the war between Russia and Japan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theory explained that the adventurers, including Bezobrazov, tried to seek the commercial interests around the Yalu River and stimulated the Japanese to attack on Russia.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Bezobrazov’s clique. I trace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group in detail. In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 influences of Bezobrazov’s clique on the Russo-Japanese war must not be overemphasized. The best days of the clique and the downfall of S. lu. Witte who was regarded as the main opponent against the clique, did not coincide. Moreover, the tsar’s government did not provide any aid to the clique, which encountered the financial crisis in June, 1903. It was not the adventurous activities of Bezobrazov’s clique but the groundless optimism of the Russian government that resulted to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문형, "列强의 東아시아 政策" 一朝閣 1979

      2 최문형,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3 장은주, "위떼의 만주 정책과 영-일의 대응(1896-1902) -철도 건설을 둘러싼 열강의 이해대립을 중심으로-" 한국서양문화사학회 (24) : 189-227, 2011

      4 강성학,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5 홍웅호,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호서사학회 (56) : 509-537, 2010

      6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서양문화사학회 (33) : 221-252, 2014

      7 말로제모프, A.,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 지식산업사 2002

      8 엄순천, "러시아문서 번역집 VII: 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 선인 2011

      9 장은주, "동북아철도와 러 일관계 1891 1904, 일본의 종단철도 계획에 미친 베조브라조프의 영향력" 30 : 139-175, 2001

      10 韓國史硏究協議會, "韓露關係100年史"

      1 최문형, "列强의 東아시아 政策" 一朝閣 1979

      2 최문형, "한국을 둘러싼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지식산업사 2001

      3 장은주, "위떼의 만주 정책과 영-일의 대응(1896-1902) -철도 건설을 둘러싼 열강의 이해대립을 중심으로-" 한국서양문화사학회 (24) : 189-227, 2011

      4 강성학,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사무라이 : 러일전쟁의 외교와 군사전략"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5 홍웅호, "러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호서사학회 (56) : 509-537, 2010

      6 이주천, "러일전쟁 11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10년 동안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서양문화사학회 (33) : 221-252, 2014

      7 말로제모프, A.,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 지식산업사 2002

      8 엄순천, "러시아문서 번역집 VII: 러시아연방 국립문서보관소" 선인 2011

      9 장은주, "동북아철도와 러 일관계 1891 1904, 일본의 종단철도 계획에 미친 베조브라조프의 영향력" 30 : 139-175, 2001

      10 韓國史硏究協議會, "韓露關係100年史"

      11 辛承權, "韓露關係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12 최덕규, "露日開戰을 둘러싼 니꼴라이 2세의 東아시아政策, 1902-1904"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2

      13 金元洙, "露日戰爭의 原因에 대한 再檢討 龍岩浦事件과 義州開市를 中心으로" 한양대학교대학원 1997

      14 석화정, "露佛同盟과 위떼의 東아시아政策" 漢陽大學校大學院 1994

      15 "фонд 560(Канцеляр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финансов) опись 28 дело 281"

      16 "фонд 560 опись 28 дело 785"

      17 "фонд 560 опись 28 дело 282"

      18 "фонд 1282(Канцелярия Министерства внутренних дел) опись 1 дело 759"

      19 "фонд 1282 опись 1 дело 761"

      20 "фонд 1282 опись 1 дело 760"

      21 Ананьич, Б. В., "Сергей Юльевич Витте и его время" 1999

      22 "Секретная телеграмма Статс-Секретаря А. М. Безобразова на имя Егермейстера Валашева отправленная в Порт Артур 13-го Октября 1903 года(베조브라조프 의 편지)"

      23 "Секретная телеграмма Егермейстера И. П. Балашова из Порт-Артура 15 Августа 1903 г.(예게르메이스테르가 뤼순항에서 발라쇼프에게 보낸 비밀 電文)"

      24 "Секретная телеграмма Генарал Адъютант Алексеева Е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МУ ВЕЛИ ЧЕСТВУ(알렉세예프 제독이 황제에게 보낸 비밀 電文)"

      25 Левицкий, Н. А., "Русско-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 1905гг" 1935

      26 Пак Чон Хё, "Русско японская война 1904 1905 гг и Корея" Восточ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7

      27 Пак Б. Д., "Россия и Корея" 1979

      28 Глинский, Б. Б., "Пролог русско-японской войны: Материалы из архива графа С. Ю. Витте" Петроград 1916

      29 "Проект учреждения Комитета Дальняго Востока(극동 위원회 관련 문서)"

      30 "По маньчжурскому вопросу(만주 문제에 관한 書翰, 영일동맹 등 국제 정세)"

      31 "Письмо Министра Финансов на имя Министра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от 28 мая 1901 года (재무대신이 외무대신에게 보내는 서한과 한국 문제에 관한 보고서, 한반도 및 만주 문제)"

      32 Романов, Б. А., "Очерки дипломатической истории русско-японской войны 1895 1907" Л 1947

      33 "Отечественная История(Москва: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94), s.v. “Безобразов”"

      34 "О Концессии тайного советника Непорожнева в Корее"

      35 "Копия с донесения Ст. Павлова Сеул 20 Марта 1900 года No. 2"

      36 Сахаров, А. Н., "История внешней политики России(конец XV в. ~1917 г. )" Международные отношения 1999

      37 Деревянко, А. П., "История России: учеб. пособие" 2007

      38 "Журналы совещание по экономическим вопросам"

      39 "Журнал осового совещания в высочайшем присутствии 7 мая 1903 года(만주문제 및당시의 국제정세)"

      40 "Документы касающиеся переговоров с японией в 1903 1904 годах и хранящиеся в канцелярии особого комитета дальняго востока. СПб"

      41 Schimmelpenninck van der Oye, David, "Toward the Rising Sun : Russian Ideologies of Empire and the Path to War"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1

      42 Warner, "The Tide at Sunrise ; a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Angus and Robertson 1975

      43 Wells, D., "The Russo-Japanese War in cultural perspective 1904-05" St. Martin's Press 1999

      44 Jukes, Geoffrey, "The Russo-Japanese War 1904 1905" Osprey 2002

      45 Kuropatkin, A. N., "The Russian Army and the Japanese War" John Murray 1909

      46 Nish, I., "The Origins of the Russo-Japanese War, London" Longman 1985

      47 Westwood, J. N., "Japan against Russia, 1904 1905: a new look at the Russo-Japanese War" New York State University Press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Humanistic Studies, Kyungnam University -> Institute for Huma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8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