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인 고등교육 분야에서의 정책변화와 지원요인 탐색연구 = 대학의 장애학생 지원확대 관점에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3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인의 고등교육은 학령기의 지식과 가치를 확대 생산하여 장차 직업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생활을 준비케 하는 중요한 발전단계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재활적 측면에서의 기능과 과제는 법ㆍ제도적인 틀로 체계화됨으로써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고 이를 스스로 지지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인 기회부여의 의미도 갖는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생들의 고등교육권과 그에 따른 직업 및 사회교육적 차원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최근 장애인관련 주요법률의 제ㆍ개정으로 향후 장애인복지 및 교육의 발전적 시도들이 더욱 다양화 할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이러한 분위기를 제대로 이어가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면 정부와 각 대학들은 대학운영의 전체적 틀 속에서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지원방안을 더욱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우리나라 장애학생에 대한 고등교육정책의 법적 권리조항과 법제도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장애학생들의 대학생활 및 지원관련 선행조사연구들을 기초로 주요지원 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장애대학생의 지원 실태를 요인별 분석ㆍ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 고등교육지원과 향후 정책변화를 모색하는 중요 요인들을 법ㆍ제도적 측면, 구조지원적 측면, 인적자원관리 측면, 평생교육 연계지원 측면, 그리고 인식제고 측면으로 새로이 도출하여 구체적인 발전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장애인의 고등교육은 학령기의 지식과 가치를 확대 생산하여 장차 직업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생활을 준비케 하는 중요한 발전단계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재활적 측면에서의 기능...

      장애인의 고등교육은 학령기의 지식과 가치를 확대 생산하여 장차 직업 및 사회생활에서의 자립생활을 준비케 하는 중요한 발전단계이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교육재활적 측면에서의 기능과 과제는 법ㆍ제도적인 틀로 체계화됨으로써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고 이를 스스로 지지할 수 있는 사회정책적인 기회부여의 의미도 갖는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생들의 고등교육권과 그에 따른 직업 및 사회교육적 차원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최근 장애인관련 주요법률의 제ㆍ개정으로 향후 장애인복지 및 교육의 발전적 시도들이 더욱 다양화 할 것으로 보여 어느 정도는 고무적이라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이러한 분위기를 제대로 이어가면서 질적인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면 정부와 각 대학들은 대학운영의 전체적 틀 속에서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지원방안을 더욱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 우리나라 장애학생에 대한 고등교육정책의 법적 권리조항과 법제도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장애학생들의 대학생활 및 지원관련 선행조사연구들을 기초로 주요지원 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장애대학생의 지원 실태를 요인별 분석ㆍ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 고등교육지원과 향후 정책변화를 모색하는 중요 요인들을 법ㆍ제도적 측면, 구조지원적 측면, 인적자원관리 측면, 평생교육 연계지원 측면, 그리고 인식제고 측면으로 새로이 도출하여 구체적인 발전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gher educ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ince school age is an important step in the development of them, which is expansively made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value of school age, and prepare a self-supporting life from occupational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So the function and problem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m have a significance of giving a socio-political chance which can lead a normal life, and support this by themselves by systematizing an educational rehabilitation a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
      But the higher educational righ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upport of occupational and socio-educational level based on this are not very enough in our country these days. Even so developmental attempts of the welfare and education for peoples with Disabilities in future will be more diversified by the recent enactment and revision of key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which can be a very bright situation to some extent. But to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while well keeping this atmosphere, government and each college should more devise th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plan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whole frame of college opera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of higher educational polic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t was to draw the support factor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ir college life and support, to analysis and value the support realitie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higher educ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ince school age is an important step in the development of them, which is expansively made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value of school age, and prepare a self-supporting life from occupational and soc...

      The higher education of adults with Disabilities since school age is an important step in the development of them, which is expansively made to produce the knowledge and value of school age, and prepare a self-supporting life from occupational and social life in the future. So the function and problem of edu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m have a significance of giving a socio-political chance which can lead a normal life, and support this by themselves by systematizing an educational rehabilitation as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
      But the higher educational righ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support of occupational and socio-educational level based on this are not very enough in our country these days. Even so developmental attempts of the welfare and education for peoples with Disabilities in future will be more diversified by the recent enactment and revision of key laws related to the disabled, which can be a very bright situation to some extent. But to achieve qualitative development while well keeping this atmosphere, government and each college should more devise the systematic educational support plan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whole frame of college opera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 of higher educational polic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t was to draw the support factors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ir college life and support, to analysis and value the support realities of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장애인 대학교육 지원정책의 변화
      • Ⅲ. 장애대학생 지원관련 연구동향과 주요지원요인 도출
      • Ⅳ. 대학의 장애학생 지원요인별 탐색 및 실태 분석
      • 국문초록
      •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Ⅱ. 장애인 대학교육 지원정책의 변화
      • Ⅲ. 장애대학생 지원관련 연구동향과 주요지원요인 도출
      • Ⅳ. 대학의 장애학생 지원요인별 탐색 및 실태 분석
      • Ⅴ. 결론: 대학에서의 장애학생 지원확대 방안 모색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영,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의 입시제도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발전과 종합계획(’03~’07) 수정,보완계획" 2004

      3 이정윤, "장애학생과 대학의 교육환경" 6 (6): 26-33, 1999

      4 박옥순, "장애학생 대학입학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6 (6): 17-25, 1999

      5 김헬레나,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동연,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998

      7 김성재, "장애차별실태 분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양극화, 민생대책위원회 2007

      8 김병준, "장애인정책" 정책기획위원회 3-8, 2008

      9 임진이, "장애인의 대학 교육환경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5

      10 김은주, "장애인 특수 교육법 이해" 교육인적자원부 2008

      1 김지영,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실시 대학의 입시제도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 발전과 종합계획(’03~’07) 수정,보완계획" 2004

      3 이정윤, "장애학생과 대학의 교육환경" 6 (6): 26-33, 1999

      4 박옥순, "장애학생 대학입학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6 (6): 17-25, 1999

      5 김헬레나,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동연, "장애학생 고등교육 지원 방안" 국립특수교육원 1998

      7 김성재, "장애차별실태 분석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양극화, 민생대책위원회 2007

      8 김병준, "장애인정책" 정책기획위원회 3-8, 2008

      9 임진이, "장애인의 대학 교육환경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모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5

      10 김은주, "장애인 특수 교육법 이해" 교육인적자원부 2008

      11 장순욱, "장애인 특례입학 대학생의 학교생활 부적응에 관한 연구" 5 (5): 85-108, 2001

      12 기획예산처, "장애인 정책 지출예산규모" 2006

      13 윤점룡, "장애인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 실행 이후 학내 지원체계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2

      14 조한진, "장애인 대학과 대학의 장애학생을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7

      15 양재신, "장애인 대학 특례입학 장애 대학생 교육환경" 7 (7): 40-44, 2000

      16 김주영, "장애인 고등교육 지원제도와 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17 원종례, "장애대학생의 지원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8 : 47-70, 2001

      18 정재권, "장애대학생의 삶의 질 실태분석" 43 (43): 305-325, 2004

      19 김진호, "장애대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프로그램분석" 13 : 119-136, 2004

      20 오세철,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취업욕구 분석" 44 : 21-44, 2004

      21 박찬웅, "장애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02

      22 김천우, "장애 대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와 지원방안" 9 : 101-129, 2001

      23 김형수, "무장애대학 만들기" 애인편의시설촉진시민연대 2001

      24 조종상, "대학장애학생의 교육환경 개선방안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조홍중, "대학의 장애학생 편의시설 실태 및 향후 방향에 관한 연구" 28 (28): 3-20, 2005

      26 김종인, "대학의 장애학생 진로와 대책" 6 (6): 34-41, 1999

      27 박화문, "대학의 장애학생 지원체계 현상과 과제" 41 : 21-36, 2003

      28 김형식, "대학 통합교육의 쟁점과 방향" 7 (7): 27-46, 2003

      29 정정진, "대학 장애학생을 위한 대학 교육복지지원 실태조사 및 학습권 보장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30 교육인적자원부, "대학 장애학생 도우미 지원, 4-12(목)조간 보도자료"

      31 김민경, "대학 내 장애인 편의시설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9

      32 "국립특수교육원 현장특수교육웹진"

      33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07

      34 교육인적자원부, "2006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06

      35 정정진, "2005년도 대학 장애학생 교육복지 지원실태 평가 보고서" 대학 장애학생 교육복지 지원실태 평가단 2005

      36 변용찬, "2005년 장애인실태조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37 변용찬, "2000년 장애인실태조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2 2.001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