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2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건강증진모형에 기반한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2014년 서울시교육청의 협조아래 수...

      본 연구는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건강증진모형에 기반한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2014년 서울시교육청의 협조아래 수집된 서울교육건강복지패널 1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학부모의 연구참여 동의를 얻은 초등학생·중학생 820명과 그들의 주양육자 820명이 응답한 자료다. 최저생계비 미달과 정부지원·보조 경험으로 구성된 소득빈곤, 가족구조결손을 보여주는 한부모가구, 의료욕구 미충족, 경제적 어려움, 식품불안정성 등 빈곤관련 위험요인에 대해 잠재계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빈곤집단’ ,‘소득비빈곤·물질적 결핍집단’, ‘한부모빈곤·물질적 결핍집단’으로 명명된 3개 잠재계층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유형이 방임경험, 가족활동,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를 통해 청소년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 매개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비빈곤·물질적 결핍집단과 한부모빈곤·물질적 결핍집단은 비빈곤집단에 비해 방임경험을 제외한 모든 매개변인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득빈곤을 경험하는 전형적인 취약집단과 함께 소득빈곤을 경험하지 않는 가구에서도 복수의 빈곤관련 위험요인을 경험하는 경우, 가족활동,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를 통해 건강증진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빈곤관련 위험요인의 누적효과와 하위집단유형을 고려해 개입대상을 선택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청소년기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nderlying typology of poverty-related risks of households with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observed between these discrete 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nderlying typology of poverty-related risks of households with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observed between these discrete groups. Latent class analysis was utilized to estimate the latent classes of poverty-related risks. Mediation analysis with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was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roposed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adolesc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proposed mediators include neglect experiences, family activities, and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stress. Our analytic results showed three latent classes of poverty-related risks including ‘single-parent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 ‘non income poverty?material hardship group’, and ‘no economic hardship group’. Relative to the ‘no economic hardship group’, those assigned to 2 poverty-related hardship groups were less likely to have heath promoting behaviors through the proposed mediators(except for neglect experi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ll need to consider this clear heterogeneity of poverty-related risks and enhance the level of attention given to significant mediators on the subpop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초록
      • Ⅰ. 문제제기
      • Ⅱ. 선행연구 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효정, "한국청소년의 건강행동과 사회적지지" 1237-1258, 2009

      2 김성희,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성희,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가설모형 검증" 한국아동간호학회 14 (14): 22-34, 2008

      4 김혜경,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인구?보건학적 특성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4 (24): 65-86, 2007

      5 김혜경,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행동 변화단계의 분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5 (25): 59-76, 2008

      6 이상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행위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51-271, 2015

      7 홍연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구조모형"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102-111, 2006

      8 박남희, "청소년 건강행위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13 (13): 98-114, 2002

      9 김수린,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35-159, 2014

      10 이상균,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77-510, 2015

      1 서효정, "한국청소년의 건강행동과 사회적지지" 1237-1258, 2009

      2 김성희,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 김성희, "학령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가설모형 검증" 한국아동간호학회 14 (14): 22-34, 2008

      4 김혜경,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인구?보건학적 특성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4 (24): 65-86, 2007

      5 김혜경,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행동 변화단계의 분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5 (25): 59-76, 2008

      6 이상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행위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51-271, 2015

      7 홍연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구조모형"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7 (17): 102-111, 2006

      8 박남희, "청소년 건강행위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13 (13): 98-114, 2002

      9 김수린, "정서적 지지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35-159, 2014

      10 이상균,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유형화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77-510, 2015

      11 박현선, "빈곤지위가 아동의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빈곤대리변수와 빈곤동반 위험요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6) : 113-137, 2008

      12 신인순, "빈곤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방임과 우울의 매개효과" 4 (4): 5-25, 2014

      13 김광혁, "빈곤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발달 단계별 비교를 중심으로" 27 (27): 101-112, 2012

      14 권은선, "빈곤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29-148, 2010

      15 장희선, "빈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누적적 위험요인의 효과분석-" 한국아동복지학회 (47) : 185-216, 2014

      16 이상균, "빈곤관련 가족환경 위험요인의 잠재계층유형과 아동 문제행동간의 관계 -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실천의 매개효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8) : 29-57, 2015

      17 정선영, "물질적 어려움 경험이 청소년의 신체·사회정서·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물질적 어려움의 유형·강도·시기·지속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229-259, 2013

      18 홍민지, "도시지역 저소득가구의 식품공급 불안정성과 식생활 실태 조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19 김성경, "누적적 위험요인과 학교청소년 비행의 관련성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2) : 9-30, 2006

      20 유조안, "경제적 결핍 경험의 잠재계층과 부모가 보고한 아동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397-431, 2015

      21 방경숙, "경기도 위스타트 사업을 위한 미취학 빈곤 아동 건강 및 양육 실태" 한국모자보건학회 12 (12): 104-115, 2008

      22 박영주, "건강증진행위 설명요인에 대한메타분석" 30 (30): 836-846, 2000

      23 Grossman, M., "deman for health: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NBER 1972

      24 Condliffe, S.,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child health :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98 (98): 1605-1618, 2008

      25 Yoshikawa, H., "The effect of poverty on the mental, emotional, and behavioral health of children and youth : Implications for prevention" 67 (67): 272-284, 2012

      26 Hayes, A. F.,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67 : 451-470, 2014

      27 Hanson, M. D.,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adolescenc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30 (30): 263-285, 2007

      28 Bradley, R. H.,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53 : 371-399, 2002

      29 Chen, K. W.,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children’s health : How and why do these relationship change with age?" 128 : 295-329, 2002

      30 Dodge, K. A., "Socialization medi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conduct problems" 65 : 649-665, 1994

      31 Kamphuis, C. B., "Perceived environmental determin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high and low socioeconomic groups in the Netherlands" 13 : 493-503, 2007

      32 Lissau, I., "Parental neglect during childhood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in young adulthood" 434 (434): 324-327, 1994

      33 Lanza, S. T., "Modeling the interplay of multilevel risk factors for future academic and behavior problems : A person-centered approach" 22 (22): 313-335, 2010

      34 Rose, R., "Measuring material hardship among the U. S. popul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94 : 391-415, 2009

      35 Ouellette, T., "Measures of material hardship final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the Assistant Secretary for Planning and Evaluation 2004

      36 C. Gundersen, "Linking psychosocial stressors and childhood obesity" Wiley-Blackwell 12 (12): e54-e63, 2011

      37 Collins, L. M.,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Wiley 2010

      38 Huh, J., "Identifying patterns of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 A latent class analysis of obesity risk" 19 (19): 652-658, 2010

      39 Pender, N. 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 and Lange 1996

      40 Srof, B. J., "Health promotion in Adolescents : A review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19 (19): 366-373, 2006

      41 Gochman, D. S., "Handbook of health behavior research (Vols. 1-4)" Plenum 1997

      42 West, P., "Evidence on equalization in health in youth from the west of Scotland" 59 : 13-27, 2004

      43 Case, A., "Economic status and health in childhood : Theorigins of the gradient" 92 (92): 1308-1334, 2002

      44 Nylund, K. L.,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14): 535-569, 2007

      45 Suliga, S. F., "Cumulative social risk and obesity in early childhood" 129 (129): 1173-1179, 2012

      46 Burchinal, M. R., "Cumulative risk and early cognitive development : A comparison of statistical risk model" 36 (36): 793-807, 2000

      47 Ashiabi, G. S., "Children’s health status: Examining the associations among income poverty, material hardship, and parental factors" 2 (2): e940-, 2007

      48 Luthar, S. S., "Children of the affluent : Challenges to well-being" 14 : 49-53, 2005

      49 Roy, A. L., "Are all risks equal? Early experiences of poverty-related risk and children’s functioning" 28 (28): 391-400, 2014

      50 Hagenaars, J., "Applied latent class analysis mod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51 Szanton, S. L., "Allostatic load : A mechanism of socioeconomic health disparities?" 7 (7): 7-15, 2005

      52 Yarcheski, A., "A meta-analysis of predictors of positive health practices" 36 (36): 102-108, 2004

      53 Conger, R. D.,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63 : 526-541, 1992

      5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 청소년건강실태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5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개발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청소년연구
      외국어명 : Studies on Korean Yout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3.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3.84 3.58 4.967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