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꾸란』의 내세관을 통해본 사후 영혼의 존립 가능성 ― 아베로에스는 사후 영혼의 존립가능성을 부인했는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73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베로에스의 『모순의 모순』에 등장하는 개별적 영혼의 불사성 및 내세에 대한 논의는 그의 단일지성론 및 인간학적 논의와 종종 상충되는 것처럼 이해되어 왔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모순의 모순』, 특히 이 책의 19장에서 논하는 개별적 영혼의 불사성에 대한 논의, 특히 수면에 대한 비유가 『꾸란』의 사후관 및 내세관은 물론 아베로에스의 철학적 입장과 어긋나지 않으며, 오히려 아베로에스가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며 염두에 뒀던 철학과 종교와의 조화 및 상호보완적 관계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번역하기

      아베로에스의 『모순의 모순』에 등장하는 개별적 영혼의 불사성 및 내세에 대한 논의는 그의 단일지성론 및 인간학적 논의와 종종 상충되는 것처럼 이해되어 왔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

      아베로에스의 『모순의 모순』에 등장하는 개별적 영혼의 불사성 및 내세에 대한 논의는 그의 단일지성론 및 인간학적 논의와 종종 상충되는 것처럼 이해되어 왔다. 본 소고(小考)에서는 『모순의 모순』, 특히 이 책의 19장에서 논하는 개별적 영혼의 불사성에 대한 논의, 특히 수면에 대한 비유가 『꾸란』의 사후관 및 내세관은 물론 아베로에스의 철학적 입장과 어긋나지 않으며, 오히려 아베로에스가 자신의 사상을 전개하며 염두에 뒀던 철학과 종교와의 조화 및 상호보완적 관계를 드러내는 대표적인 예임을 드러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verroès, dans son œuvre L'Incohérence de l'Incohérence, nous fournit des discussions sur l'immortalité de l'âme humaine qui nous semblent aller à l’encontre de sa propre position philosophique qui est marquée par sa notoire théorie de l’unicité de l’intellect. Dans cet article, en analysant plus près de ces discussions de L'Incohérence de l'Incohérence, en particulier celles établies sur la métaphore du sommeil, nous montrent qu’elles sont des moments où Averroès, un penseur qui vise à nous faire voir la relation intime entre la religion et la philosophie, cherche le moyen de se faire harmoniser la philosophie et la religion pour que les deux peuvent se complémenter pour le bien ultime de la vie humaine.

      번역하기

      Averroès, dans son œuvre L'Incohérence de l'Incohérence, nous fournit des discussions sur l'immortalité de l'âme humaine qui nous semblent aller à l’encontre de sa propre position philosophique qui est marquée par sa notoire théorie de l’...

      Averroès, dans son œuvre L'Incohérence de l'Incohérence, nous fournit des discussions sur l'immortalité de l'âme humaine qui nous semblent aller à l’encontre de sa propre position philosophique qui est marquée par sa notoire théorie de l’unicité de l’intellect. Dans cet article, en analysant plus près de ces discussions de L'Incohérence de l'Incohérence, en particulier celles établies sur la métaphore du sommeil, nous montrent qu’elles sont des moments où Averroès, un penseur qui vise à nous faire voir la relation intime entre la religion et la philosophie, cherche le moyen de se faire harmoniser la philosophie et la religion pour que les deux peuvent se complémenter pour le bien ultime de la vie humai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들어가는 글: 문제제기
      • 1.『꾸란』의 부활관과 내세관
      • 가. 부활에 관한 『꾸란』의 가르침
      • 나. 죽음: 통합적 실체로서의 인간의 해체 ― 영혼과 신체의 불가분성
      • 요약문
      • 들어가는 글: 문제제기
      • 1.『꾸란』의 부활관과 내세관
      • 가. 부활에 관한 『꾸란』의 가르침
      • 나. 죽음: 통합적 실체로서의 인간의 해체 ― 영혼과 신체의 불가분성
      • 다. 잠든 상태의 영혼: 영혼의 신체에 대한 의존성의 징표
      • 라. 신체로부터 분리된 영혼의 본성적 자립가능성, 그리고 부활
      • 2. 『꾸란』의 해석으로서 아베로에스의 부활 및 내세관
      • 가. 단일지성론: 오해의 근원
      • 나. 『모순의 모순』19장: 영혼은 본성적으로 자존하지 않지만 불멸할 수 있다.
      •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Résumé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선, "꾸란" 명문사 2002

      2 아베로에스, "결정적 논고" 책세상 2005

      3 M.E. Marmura, "digital edition re-established with New Translation of Al-Ghazali, Incoherence of Philosophers" Provo 2000

      4 Al-Ghazali, "The incoherence of the philosophers, A parallel English-Arabic text" Provo 2000

      5 Thomas de Aquino, "Scriptum super Sententiis" 1929

      6 Gartherer, Derek, "Meme pools, World 3 and Averroes' Vision of Immortality" 33 (33): 203-219,

      7 Averroes, "Incoherence of the Incoherence" 1954

      8 F.S. Crawford, "Commentarium Magnum in Libros De anima" Cambridge Mass 1953

      9 Mohammed, Ovey. N., "Averroes, Aristotle, and the Qur’an on Immortality" 33 (33): 37-55, 1993

      10 Zedler, Beatrice, "Averroes and Immortality, In The New Scholasticism 28" 436-453, 1954

      1 김용선, "꾸란" 명문사 2002

      2 아베로에스, "결정적 논고" 책세상 2005

      3 M.E. Marmura, "digital edition re-established with New Translation of Al-Ghazali, Incoherence of Philosophers" Provo 2000

      4 Al-Ghazali, "The incoherence of the philosophers, A parallel English-Arabic text" Provo 2000

      5 Thomas de Aquino, "Scriptum super Sententiis" 1929

      6 Gartherer, Derek, "Meme pools, World 3 and Averroes' Vision of Immortality" 33 (33): 203-219,

      7 Averroes, "Incoherence of the Incoherence" 1954

      8 F.S. Crawford, "Commentarium Magnum in Libros De anima" Cambridge Mass 1953

      9 Mohammed, Ovey. N., "Averroes, Aristotle, and the Qur’an on Immortality" 33 (33): 37-55, 1993

      10 Zedler, Beatrice, "Averroes and Immortality, In The New Scholasticism 28" 436-453, 195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