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영어의 기저어순 설정은 문헌자료나 분석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기저어순은 SOV이며 표면어순은 주절에서는 SVO, 종속절에서는 SOVRK 주류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OE의 기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71554
Lee,Bok-Hee (효성여자대학교 외국어대학 영어영문학과)
1992
English
230.000
학술저널
59-75(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대영어의 기저어순 설정은 문헌자료나 분석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기저어순은 SOV이며 표면어순은 주절에서는 SVO, 종속절에서는 SOVRK 주류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OE의 기저...
고대영어의 기저어순 설정은 문헌자료나 분석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기저어순은 SOV이며 표면어순은 주절에서는 SVO, 종속절에서는 SOVRK 주류를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OE의 기저어순을 SOV로 설정하고, 주절의 정동사의 위치는 기본위치가 아닌 V-2 이동이 적용된 것으로 분석한다. Koster(1975 : 11-136)는 화란어 기저어순을 SOV로 설정하고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8가지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동사-불변화사 구문의 주요특성이 OE종속절의 동사와 근문의 불변화사 분포와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검토해보았다. (14a), (14e)의 근문에서는 부정적 증거가 나타나지만 종속절의 동사와 근문의 불변화사는 분포상 유사함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종속절에서는 목적어, 부사성, 전치사구, 부사, 서술형용사, 분사 등 거의 모든 성분이 외치되며 OE근문에서 불변화사 분포는 동사 바로 앞이나 VP주변부가 된다. 종속절에 불변화사가 수반되는 구조에서도 SOV 가설은 확립된다. OE의 기저어순이 SOV라는 가정 하에서는 근문이나 종속절에서 불변화사가 동사를 선행할 수 없다. 그러나 불변화사를 동사의 오른편으로 이동시키는 불변화사 이동규칙을 별도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OE의 특징을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a. OE is an SOV language.
b. OE has a rule of Verb Placement Movement
본 논문에서는 OE 주절의 SVO 표면구조 어순은 동사이동에 의한 결과이며 주절에서의 이와 같은 V-2현상은 통사적 체계성을 나타내고, OE어순이 재분석되는 결정적 통사변화 현상이라고 주장하였다.
OE주절과 종속절의 정동사 배치에 관한 위치상의 차이를 생성문법론적인 이론으로 접근할 수 있다. den Besten(1983 :54-69)에 의하면 OE주절의 정동사와 종속절의 보문소가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고 지적한다. 그의 지적대로 주절의 정동사와 종속절의 어휘보문소가 상보적 분포관계에 있다면, 정동사는 I가 아닌 C에 있게 되고 V-2문의 첫 성분은 C의 SPEC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C에 paet 등의 보문소가 있을 경우에는 V는 INFL에 접어화되고 보문소가 없을 경우에는 V로 이동하여 VI(=Vf)가 되어 C에 접어화 된다. 이때 C자리는 기저생성된 보문소나 V-2 이동에 의해 C로 이동된 정동사에 의해 어휘화 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