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연극이 서양으로부터 수입한 신극은 문학적 연극 즉 희곡에 기초한 연극(literary drama)이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극예술협회와 토월회,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근대연극이 서양으로부터 수입한 신극은 문학적 연극 즉 희곡에 기초한 연극(literary drama)이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극예술협회와 토월회,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
한국근대연극이 서양으로부터 수입한 신극은 문학적 연극 즉 희곡에 기초한 연극(literary drama)이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 극예술협회와 토월회, 1930년대 극예술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신극의 주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서술과 자기 검열은 종종 있었지만, 많지 않았다. 신극을 주장했던 이들의 근대적 연극의 담론을 분석하는 목적은 신극에 대한 분명한 기록과 더불어 이를 해석해서, 이러한 담론이 한국 근대연극사에 끼친 영향과 신극이 발전해온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신극이념이나 당대 공연 실제 등이 오늘날에는 추상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내용은 상정의 수준, 하나의 예비적 고찰에 머물 수밖에 없다. 실체가 없는 역사를 말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 근대연극사에서 신극은 근대 연극을 위한 대안을 넘어서는 거대한 프로젝트와 같다. 신극에 대한 담론은 구극인 한국 전통연극에 대한 종언이고, 신극을 통한 한국 근대연극 탄생에 대한 선언이고 천명과도 같다. 구극에 대해서 가학적이었고, 조소적이었던 연극개량주의자들의 주장들은 한국의 근대연극의 중심이 수입된, 번역된, 이식된 서양연극 즉 신극이어야 한다는 경직된 가정의 능산물이다. 김현·김윤식의 『한국문학사』에서 언급된 “문학사는 실체가 아니라 형태이다”라는 명제를 빌려 말한다면, 한국 근현대연극사에 관한 정의와 연구는 신극 이전과 이후를 아우르는 연극적 연대기 속에 나타난 구체적인 연극 형태들을 통해서, 그것들의 연속성에 의해서 더욱 분명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것은 신극과 번역극의 수용에 관한 문제제기로서, 한국 근대 연극사의 중심을 이루는 신극에 대한 담론읽기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한국 근대 연극의 기원과 정의, 그 흔적에 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진,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인간 2001
2 김방옥, "한국연극의 사실주의적 연기론 연구*- 그 수용과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연극학회 (22) : 147-214, 2004
3 이두현, "한국연극사" 민중서관 1973
4 신아영, "한국연극과 관객" 태학사 1997
5 이두현,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1
6 백현미, "한국근현대연극사의 전통 담론과 근대성" 한국극예술학회 (30) : 321-360, 2009
7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4
8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9 양승국, "한국근대연극비평사 연구" 태학사 1996
10 이미원, "한국근대극 연구" 현대미학사 1994
1 박명진, "한국희곡의 근대성과 탈식민성" 연극과인간 2001
2 김방옥, "한국연극의 사실주의적 연기론 연구*- 그 수용과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연극학회 (22) : 147-214, 2004
3 이두현, "한국연극사" 민중서관 1973
4 신아영, "한국연극과 관객" 태학사 1997
5 이두현, "한국신극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1
6 백현미, "한국근현대연극사의 전통 담론과 근대성" 한국극예술학회 (30) : 321-360, 2009
7 서연호, "한국근대희곡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4
8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9 양승국, "한국근대연극비평사 연구" 태학사 1996
10 이미원, "한국근대극 연구" 현대미학사 1994
11 신정옥, "한국 신극과 서양연극" 새문사 1994
12 김재철, "조선연극사" 학예사 1939
13 장원재, "전통극과 사실주의: 한국 근대극 운동 지도자들의 인식" 외국문학연구소 (21) : 241-265, 2005
14 김재석, "일본의 「축지소극장」이 한국 연국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어문학회 (73) : 287-316, 2001
15 남지수, "연출가 이해랑의 사실주의 연극 인식에 관한 일고찰" 한국연극학회 1 (1): 33-63, 2019
16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973
17 이진아, "근대적 예술관으로서의 한국연극미학의 형성 —‘연극예술’과 ‘실재(현실)’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드라마학회 (34) : 350-391, 2011
18 유민영, "개화기연극사회사" 새문사 1987
19 여석기, "[단행본] 한국연극의 현실" 동화출판공사 1974
20 김병철, "[단행본] 韓國近代西洋文學移入史硏究 . 下" 을유문화사 1982
포스트 프로덕션으로서 현실주의 연극-리미니 프로토콜의 <죽음 뒤에 남는 것-아무도 없는 방>과 <상황실>의 체계성
다큐멘터리극에 대한 인지과학적 접근-"전윤환의 전윤환, 자의식 과잉"을 중심으로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극장시대-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과 프로젝트연극시대의 개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7-0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연극학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4 | 0.825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