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극장시대-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과 프로젝트연극시대의 개막 = The New Age of Theater’ in Post-Soviet theatre - Theatrical Cosmopolitanism and the Beginning to the Age of Project theat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8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러시아 사회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러시아연극도 예외가 아니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소비에트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거둬들이며 대표적으로 구극장들의 낡은 시스템에 관해 언급했다. 소비에트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던 국립극장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이 모든 극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고, 그런 바 2000년대 이후 러시아 레퍼토리극장의 운명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숙의가 진행되었다. 연극계 전반에서 새로운 극장 조직과 창작의 형태 및 예술적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한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며, 구체적인 변화들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것은 시대에 부합하기 위한 러시아연극의 쉽지 않은 자기인식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동시대 러시아연극의 흐름을 외부자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최근 러시아극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연극계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도래한 새로운 극장시대의 실험과 혁신의 현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연극의 굵직한 변화의 중심에는 자신의 생태적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견지하고 러시아연극의 실험과 혁신을 이끈 러시아극장이 있으며, 이들이 내건 새로운 극장 운영방식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동력을 살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러시아연극사에 있어 ‘극장’ 개념에 대한 논의 과정을 추이하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새롭게 대두된 극장의 기능과 역할이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어떠한 연극미학적 혁신을 끌어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극장시대’를 확인할 만한 극장으로는 발틱 하우스(Балтийский дом), 아소브냐크(Особняк), 프락티카(Практика), 씨어터 독(Театра. doc), 나치 극장(Театр Наций), 극작가와 예술가센터(Центр драматургии и режиссуры), 드라마예술학교(Школы драмати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엘렉트로극장스타니슬랍스키(Электротеатр Станиславский)등이 있다. 이들 극장의 최근 행보를 통해 레퍼토리연극시대로부터 프로젝트연극시대로의 진화 과정을 목격하고 ‘성지’이자 ‘집’으로 기능했던 러시아극장이 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으로서의 극장 기능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러시아 사회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러시아연극도 예외가 아니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소비에트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지...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러시아 사회 전반의 급격한 변화는 러시아연극도 예외가 아니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 정부는 소비에트 시대 문화 전반에 대한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지를 거둬들이며 대표적으로 구극장들의 낡은 시스템에 관해 언급했다. 소비에트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던 국립극장이 난립하는 상황에서 이 모든 극장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더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했고, 그런 바 2000년대 이후 러시아 레퍼토리극장의 운명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숙의가 진행되었다. 연극계 전반에서 새로운 극장 조직과 창작의 형태 및 예술적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것은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한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며, 구체적인 변화들이 있었다고 한다면 그것은 시대에 부합하기 위한 러시아연극의 쉽지 않은 자기인식의 결과물들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동시대 러시아연극의 흐름을 외부자의 관점에서 조망하고 최근 러시아극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러시아연극계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도래한 새로운 극장시대의 실험과 혁신의 현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연극의 굵직한 변화의 중심에는 자신의 생태적 본질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견지하고 러시아연극의 실험과 혁신을 이끈 러시아극장이 있으며, 이들이 내건 새로운 극장 운영방식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의 새로운 동력을 살필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러시아연극사에 있어 ‘극장’ 개념에 대한 논의 과정을 추이하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새롭게 대두된 극장의 기능과 역할이 동시대 러시아연극에 어떠한 연극미학적 혁신을 끌어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새로운 극장시대’를 확인할 만한 극장으로는 발틱 하우스(Балтийский дом), 아소브냐크(Особняк), 프락티카(Практика), 씨어터 독(Театра. doc), 나치 극장(Театр Наций), 극작가와 예술가센터(Центр драматургии и режиссуры), 드라마예술학교(Школы драматиче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엘렉트로극장스타니슬랍스키(Электротеатр Станиславский)등이 있다. 이들 극장의 최근 행보를 통해 레퍼토리연극시대로부터 프로젝트연극시대로의 진화 과정을 목격하고 ‘성지’이자 ‘집’으로 기능했던 러시아극장이 연극적 코스모폴리타니즘으로서의 극장 기능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소, "솔로비요프(В. C. Соловьев)의 미학 이론" 러시아연구소 20 (20): 75-98, 2010

      2 이명현,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성 - ‘새로운 종교의식’과 종교철학회 활동의 맥락에서"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3 Наджафов, Д., "“Документ No.100: Об одной антипатриотической группе театральных критиков”, Правда, 1949. 01. 28., Сталин икосмополитизм. Документы Агитпропа ЦК КПСС. 1945-1953"

      4 Давыдова, М., "импорт они у нас эксперт мы у них" 21-22 : 2015

      5 Орлов, Ю., "Экономика Московског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атра 18981914 годов: к вопросу о самоокупаемости частных театров" 4 (4): 2005

      6 Яркова, Е., "Формирование метода и системы в творчестве К. С.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АлтГАКИ 2011

      7 Миронов, Е, "Театр-дом это миф"

      8 Миронов, Е., "Театр-дом это миф"

      9 Фролова, Н., "Современный репертуарный театр: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3 (3): 2016

      10 Станиславский, К.,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Т. 9, т. 1" Искусство 1988

      1 박종소, "솔로비요프(В. C. Соловьев)의 미학 이론" 러시아연구소 20 (20): 75-98, 2010

      2 이명현, "러시아 상징주의의 영성 - ‘새로운 종교의식’과 종교철학회 활동의 맥락에서"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3 Наджафов, Д., "“Документ No.100: Об одной антипатриотической группе театральных критиков”, Правда, 1949. 01. 28., Сталин икосмополитизм. Документы Агитпропа ЦК КПСС. 1945-1953"

      4 Давыдова, М., "импорт они у нас эксперт мы у них" 21-22 : 2015

      5 Орлов, Ю., "Экономика Московског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атра 18981914 годов: к вопросу о самоокупаемости частных театров" 4 (4): 2005

      6 Яркова, Е., "Формирование метода и системы в творчестве К. С.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АлтГАКИ 2011

      7 Миронов, Е, "Театр-дом это миф"

      8 Миронов, Е., "Театр-дом это миф"

      9 Фролова, Н., "Современный репертуарный театр: проблемы и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3 (3): 2016

      10 Станиславский, К.,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Станиславского, Т. 9, т. 1" Искусство 1988

      11 Иванов, Вяч,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яч.Иванова, Т. 4, т. 2" 1974

      12 Соловьев, В.,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ладимира Сергеевича Соловьева, Т. 10, т. 1" Книгоиздательское Товарищество "Просвещение" 1914

      13 Бояков, Э., "Слова берутся из реальности"

      14 Фролова. Н., "Нетипичные организационно-творческие формы российского репертуарного театра в 2000-е годы" 13 (13): 2016

      15 Строгалева, Е., "Международная конференция Pоссия. Балтия. Европа. Судьба репертуарного театра XXI века" 34 : 2003

      16 Левшина, Е., "Летопись театрального дела рубежа веков, 1975-2005" Балтийские сезоны 2008

      17 Юхананов, Б., "Лекция о новой процессуальности в БДТ"

      18 Апфельбаум, С., "Культура России. Актуальные задачи духовного возрождения России" ГИВЦ Минкультуры России 2012

      19 Липовецкий, М., "Иллюзия документальности и другие иллюзии" 19 : 2015

      20 Щепкин, М., "Записки. Письма. Современники о М.С. Щепкине" Искусство 1952

      21 Третьякова, М., "Дмитрий Брусникин: Театр-дом это внутреннее понятие" 10 : 2016

      22 Иванов, Вяч, "Вячеслав Иванов: Лики личины России" Искусство 1995

      23 "https://theatreofnations.ru/pages/o-teatre"

      24 "http://rg.ru/2011/06/21/teatr-site-dok.html"

      25 "2017년 2월 2일 본인과 엘렉트로극장스타니슬랍스키 예술감독인 보리스 유하나노프와의 인터뷰 발췌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연극학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4 0.82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