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존 듀이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 『민주주의와 교육』과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중심으로 =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from J. Dewey's Perspective: Focused on Democracy and Education and Art as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67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시대적 변혁과 사회적 양상은 학교 음악교육의 변화와 새로운 양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 중심에는 유기체 인간의 생명과 일상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생각이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음악교육은 생명과 삶을 기초로 하는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존 듀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프래그머티즘 철학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의 변혁뿐 아니라 세계의 격동을 몸소 겪으며, 당대에 주어진 문제 해결과 다가올 미래를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혜안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위해, 특히 고려할 수 있는 그의 저서가 교육적 혜안을 담고 있는 『민주주의와 교육』과 예술적 혜안을 담고 있는『경험으로서의 예술』이다. 전자에서는 삶의 필연성으로서 교육과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이 강조되고, 후자에서는 삶과 연속성의 예술과 인간의 기여로서의 예술이 강조된다. 이러한 듀이의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생명의 유지와 삶의 필연성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질성의 경험과 질적 사유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생태교육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일상 삶과의 연속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직관과 상상 함양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문명과 정신의 연속화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등으로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으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유기체의 생명력 확충과 행복한 삶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그 위상을 더욱 견고히 할 것이다.
      번역하기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시대적 변혁과 사회적 양상은 학교 음악교육의 변화와 새로운 양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 중심에는 유기체 인간의 생명과 일상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생각이 자...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시대적 변혁과 사회적 양상은 학교 음악교육의 변화와 새로운 양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그 중심에는 유기체 인간의 생명과 일상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생각이 자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음악교육은 생명과 삶을 기초로 하는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존 듀이는 미국을 대표하는 프래그머티즘 철학자로서 20세기 초 미국의 변혁뿐 아니라 세계의 격동을 몸소 겪으며, 당대에 주어진 문제 해결과 다가올 미래를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혜안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바람직한 음악교육을 위해, 특히 고려할 수 있는 그의 저서가 교육적 혜안을 담고 있는 『민주주의와 교육』과 예술적 혜안을 담고 있는『경험으로서의 예술』이다. 전자에서는 삶의 필연성으로서 교육과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교육이 강조되고, 후자에서는 삶과 연속성의 예술과 인간의 기여로서의 예술이 강조된다. 이러한 듀이의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생명의 유지와 삶의 필연성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질성의 경험과 질적 사유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자연 생태교육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일상 삶과의 연속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직관과 상상 함양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문명과 정신의 연속화의 장으로서 음악교육’ 등으로 제안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으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은 인간 유기체의 생명력 확충과 행복한 삶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그 위상을 더욱 견고히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transformation and all aspects of lif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have led to changes of several aspects in music education. At the center of it is an idea that awakens the importance of organic human life and daily life. Therefor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e need to propose that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our daily life. John Dewey, a leading pragmatist philosopher in the United States, witnessed not only American innovation but also profound changes of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esented constructive philosophical solut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Among them, his books, Democracy and Education and Art as Experience have an educational and artistic insights, which can be considered essential works especially for desirable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In the former work, he emphasized the role of education both as an indispensable to individual and society and as a social function and in the latter book, he emphasized recovering the continuity of esthetic experience with normal processes of living and finds in art qua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s of the human being. From Dewey'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can be proposed as "music education as a venue for maintaining human life and inevitability of life." With this proposal,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ill further strengthen its status in expanding the vitality of human organisms and constructing a happy life.
      번역하기

      Social transformation and all aspects of lif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have led to changes of several aspects in music education. At the center of it is an idea that awakens the importance of organic human life and daily life. There...

      Social transformation and all aspects of lif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have led to changes of several aspects in music education. At the center of it is an idea that awakens the importance of organic human life and daily life. Therefore,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e need to propose that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our daily life. John Dewey, a leading pragmatist philosopher in the United States, witnessed not only American innovation but also profound changes of the worl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resented constructive philosophical solutions for solving the problems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Among them, his books, Democracy and Education and Art as Experience have an educational and artistic insights, which can be considered essential works especially for desirable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In the former work, he emphasized the role of education both as an indispensable to individual and society and as a social function and in the latter book, he emphasized recovering the continuity of esthetic experience with normal processes of living and finds in art qualities that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s of the human being. From Dewey's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can be proposed as "music education as a venue for maintaining human life and inevitability of life." With this proposal, the value and role of music education in a time of the post COVID-19 pandemic era will further strengthen its status in expanding the vitality of human organisms and constructing a happy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도서출판 살림터 2012

      2 김기수,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예술교육의 가치와 역할" 한국음악응용학회 2022

      3 Sire, James W, "포스트모더니즘"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8

      4 김리원 ; 최준섭, "코로나19 상황 속 다문화 초등학생의 생활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소 38 (38): 165-192, 2022

      5 정순복, "죤 듀이의 철학에서의 예술과 ' 유기체 ( Organic Creature ) 의 문제" 한국미학회 (25) : 129-164, 1998

      6 정순복, "존 듀이의 예술사상과 일상적 삶의 예술화" 한국미학회 (31) : 117-169, 2001

      7 정순복, "존 듀이(J. Dewey)의 프래그마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의 의미론적 함의" 한국미학회 (37) : 2004

      8 김기수, "존 듀이 미적 경험의 음악 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Duggan, William, "전략적 직관" 영신사 2013

      10 김기수, "음악의 자연성과 미적 경험의 음악교육 실천적 함의(含意) -존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33-47, 2012

      1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도서출판 살림터 2012

      2 김기수,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예술교육의 가치와 역할" 한국음악응용학회 2022

      3 Sire, James W, "포스트모더니즘"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8

      4 김리원 ; 최준섭, "코로나19 상황 속 다문화 초등학생의 생활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소 38 (38): 165-192, 2022

      5 정순복, "죤 듀이의 철학에서의 예술과 ' 유기체 ( Organic Creature ) 의 문제" 한국미학회 (25) : 129-164, 1998

      6 정순복, "존 듀이의 예술사상과 일상적 삶의 예술화" 한국미학회 (31) : 117-169, 2001

      7 정순복, "존 듀이(J. Dewey)의 프래그마티즘 미학에서 ‘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의 의미론적 함의" 한국미학회 (37) : 2004

      8 김기수, "존 듀이 미적 경험의 음악 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9 Duggan, William, "전략적 직관" 영신사 2013

      10 김기수, "음악의 자연성과 미적 경험의 음악교육 실천적 함의(含意) -존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33-47, 2012

      11 Jourdain, Robert, "음악은 왜 우리를 사로잡는가" 궁리출판 2002

      12 이홍수,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세광음악출판사 1990

      13 김기수, "음악교육에서 존 듀이 철학은 가치가 있는가" 한국음악교육학회 150-154, 2019

      14 정순복, "여름, 봄 가을 겨울" 예전사 2005

      15 김기수, "엘리엇의 Music Matters 제2판의 기본 논점에 나타난 듀이의 견해 탐색"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23-40, 2021

      16 Dewey, John,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7

      17 박세원, "몸과의 대화를 통한 나의 자아 찾기 여정: 자아 통섭의 새로운 길 모색" 초등교육연구소 37 (37): 19-67, 2021

      18 김기수, "리머의 음악교육철학에 내재된 듀이의 예술 철학적 견해" 민족음악학회 (37) : 327-352, 2009

      19 Dewey, John, "경험으로서의 예술" ㈜ 나남 2016

      20 정순복, "겨울, 봄 여름 가을" 예전사 2005

      21 Reimer, Bennett,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Prentice-Hall, Inc. A Simon &Schuster Company 1970

      22 Dewey, John, "Philosophy and Civilization" Minton, Balch and Co. 1931

      23 Elliott, D. J., "Music Matters;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4 Dewey, John,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 1925. Experience and Natur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1925

      25 Dewey, John, "John Dewey: The Middle Works, 1899~1924: Volume 9:1916(Democracy and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76

      26 Dewey, John, "Art as Experience" G. P. Putman's Sons 195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