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무인기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된 표정요소를 이용한 도화품질 예측기술 개발 및 비교분석 = Develop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Mapping Quality Prediction Technology Using Orientation Parameters Processed in UAV Softw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8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현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 무인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정보나 영상전체에 대한 블록 번들조정 정확도만 제공할 뿐 스테레오 페어의 실제 도화 가능여부에 ...

      현재 현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 무인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정보나 영상전체에 대한 블록 번들조정 정확도만 제공할 뿐 스테레오 페어의 실제 도화 가능여부에 대한 정확도는 거의제공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산출된 표정요소를 사용하여 도화품질을 산출하고 실제 도화기에 적용하여 도화품질의 신뢰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도화품질은 Y시차 정확도, 상대모델 정확도, 절대모델 정확도의 3가지 정확도로 정의하였다. Y시차 정확도는 스테레오 페어간 입체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확도이다. 상대모델 정확도는 모델 좌표계 상에서 스테레오 페어간 상대적인 번들조정정확도이다. 절대모델 정확도는 절대 좌표계에서 번들조정 정확도이다. 실험데이터는 도심지를 대상으로 회전익에서 취득된 GSD 5 cm급의 영상 723장을 사용하여 도화품질을 분석하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해 예측한 상대모델 정확도와 실제 도화기에서 관측한 정확도의 최대오차는 0.11 m로 정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절대모델 정확도도 마찬가지로, 도화기에서 관측한 정확도의 최대오차는 0.16 m로 정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ercia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 processing software product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y provides camera calibration information and block bundle adjustment accuracy. However, they provide mapping accuracy achievable out of input UA...

      Commercial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 processing software products currently used in the industry provides camera calibration information and block bundle adjustment accuracy.
      However, they provide mapping accuracy achievable out of input UAV images. In this paper, the quality of mapping is calculated by using orientation parameters from UAV image processing software. We apply the orientation parameters to the 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 (DPW) for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the mapping quality calculated. The quality of mapping accuracy was defined as three types of accuracy: Y-parallax, relative model and absolute model accuracy. The Y-parallax is an accuracy capable of determining stereo viewing between stereo pairs. The Relative model accuracy is the relative bundle adjustment accuracy between stereo pairs on the model coordinates system. The absolute model accuracy is the bundle adjustment accuracy on the absolute coordinate system. For the experimental data, we used 723 images of GSD 5 cm obtained from the rotary wing UAV over an urban area and analyzed the accuracy of mapping quality. The quality of the relative model accuracy predicted by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maximum error observed from the DPW showed precise results with less than 0.11 m. Similarly, the maximum error of the absolute model accuracy predicted by the proposed technique was less than 0.16 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재호,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비측량용 카메라 렌즈 캘리브레이션" 한국측량학회 30 (30): 173-180, 2012

      2 김재인,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비정렬 스테레오 영상의 정밀편위수정"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7 (17): 411-421, 2012

      3 김재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동 영상정렬 및 모니터링 기법"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9 (19): 205-214, 2014

      4 홍송표, "사진측량과 컴퓨터비전 간의 카메라 렌즈왜곡 변환" 한국측량학회 37 (37): 267-277, 2019

      5 윤부열, "무인비행장치(UAV)의 공간정보분야 적용을 위한 표준품셈(안)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123-132, 2016

      6 김재인, "고품질의 3D 콘텐츠 제작을 위한 베이지안 접근방식의 사진측량기반 편위수정기법 개발"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8 (18): 31-42, 2013

      7 Lee, J. O., "Quality Evaluation Method for Surveying Results with UAVs" 1 : 265-266, 2018

      8 Rosten, E., "Machine learning for high-speed corner detection" 1 : 430-443, 2006

      9 Lee, S. B., "Field Survey of UAV(Drone) Surveying for the Standard Estimate Establishment" 1 : 267-268, 2018

      10 Park, J. H., "Field Survey of UAV (Drone) Surveying for the Standard Estimate Establishment" 1 : 274-275, 2018

      1 원재호,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비측량용 카메라 렌즈 캘리브레이션" 한국측량학회 30 (30): 173-180, 2012

      2 김재인,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비정렬 스테레오 영상의 정밀편위수정"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7 (17): 411-421, 2012

      3 김재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제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동 영상정렬 및 모니터링 기법"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9 (19): 205-214, 2014

      4 홍송표, "사진측량과 컴퓨터비전 간의 카메라 렌즈왜곡 변환" 한국측량학회 37 (37): 267-277, 2019

      5 윤부열, "무인비행장치(UAV)의 공간정보분야 적용을 위한 표준품셈(안)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123-132, 2016

      6 김재인, "고품질의 3D 콘텐츠 제작을 위한 베이지안 접근방식의 사진측량기반 편위수정기법 개발"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8 (18): 31-42, 2013

      7 Lee, J. O., "Quality Evaluation Method for Surveying Results with UAVs" 1 : 265-266, 2018

      8 Rosten, E., "Machine learning for high-speed corner detection" 1 : 430-443, 2006

      9 Lee, S. B., "Field Survey of UAV(Drone) Surveying for the Standard Estimate Establishment" 1 : 267-268, 2018

      10 Park, J. H., "Field Survey of UAV (Drone) Surveying for the Standard Estimate Establishment" 1 : 274-275, 2018

      11 Kim, T., "Feasibility Study of 1:1,000 Scale Map Generation using various UAVs and processing SW" 1 : 15-16, 2018

      12 Lim, P. C., "Feasibility Study for 1:1000 Scale Map Generation from various UAV images" 2019

      13 Lowe, D. G.,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60 (60): 91-110, 2004

      14 Lim, P. C., "Comparative Analysis of Point Cloud Generation from UAV Images using Various Commercial and Public Software" 2018

      15 Min, K. S., "Analysis on the standard of estimat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1 : 263-264, 2018

      16 Lim, P. C., "Analysis of orientation accuracy of an UAV image according to camera calibration" XLII-2/W13 : 437-442, 2019

      17 Harris, C., "A combined corner and edge detector" 15 : 147-151,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4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4 0.72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