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공간 인식의 로컬리티와 서사적 재현양상 -『화산도』와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 The spatial recognition of locality and Aspect of narrative reappearance -Focused on 『Volcano Island』 and 『The Spoon One on the Gr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4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김석범의 『화산도』와 현기영의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지역에서의 공간 인식의 양상과 서사적 재현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화산도』는 이방근과 남승지...

      이 글의 목적은 김석범의 『화산도』와 현기영의 『지상에 숟가락 하나』를 중심으로 지역에서의 공간 인식의 양상과 서사적 재현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화산도』는 이방근과 남승지라는 두 인물을 중심으로 제주 4·3의 전사(前史)와 그 이후의 이야기를 폭넓은 시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거리들이다. 소설은 칠성로와 관덕정을 중심으로 한 성내의 거리를 배경으로 진행된다. 남문로를 거슬러 올라가 자리잡은 유달현의 집이나, 서문교 건너 박산봉의 집, 북국민학교 뒤편의 이방근의 집, 동문다리를 건너 측후소를 조금 지나 자리 잡은 양준오의 집 등 소설 속 인물들 공간은 모두 성내를 중심으로 포진하고 있으며 인물들은 이 거리를 오고 간다. 그리고 이 거리의 풍경들은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화산도』는 지역의 장소성을 전면에 부각시킴으로써 서사적 구성을 완성시키고 있다. 제주 4·3을 소설로 형상화하면서 김석범이 선택한 전략은 공간의 구체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이었다. 『화산도』는 해방기 제주를 상상함에 있어 지역의 구체적 장소성으로 지역을 소환하고, 지역을 상상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 현기영에게 있어 관덕정 광장은 섬 공동체가 지니고 있었던 저항 정신의 생산지이다. 장두 이재수에서부터 시작하여 산군 대장 이덕구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장두정신은 관덕정 광장이라는 구체적 공간을 무대로 하여 현재와 마주하고 있다. 현기영은 『지상에 숟가락 하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관덕정 광장을 제주 섬 공동체의 신화의 몰락과 반공국가로의 폭력적 편입 과정의 구체적 장소로 지목하고 있다. 관덕정 광장에 전시된 이덕구의 시신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현기영은 ‘관권의 불의에 저항한 섬 공동체의 신화의 몰락’으로 인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appearance and narrative reproduction method of spatial awareness in the region around 『The Spoon One on the Ground』 and 『Volcano Island』 Kim-suk bum``s 『Volcano Island』 describes th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appearance and narrative reproduction method of spatial awareness in the region around 『The Spoon One on the Ground』 and 『Volcano Island』 Kim-suk bum``s 『Volcano Island』 describes the wide-ranging, history of Jeju 4.3 incident through two figures, Lee-Bang-guen and Nam-seung-gee. Another hero of this novel is just street. Novel is proceeding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distance of the castle with a focus on Chilsung-Ro and Gwandeokjeong. People our space in the novel has been lineup all around the Jeju castle, person, back and forth this distance. And scenery of this city is very specifically drawn. 『Volcano Island』 is to complete the epic structure by levitate the location of the area in front. Gwandeokjeong Square is the spirit of the production area of resistance that community of the island had to Hyun Gi-young. Until To Lee duck-goo starting from Lee Jae-su, spirit of Jeju have to stage a concrete space that Gwandeokjeong Square. Hyun Gi-young is further singled out the Gwandeokjeong Square and downfall and the specific location of violent incorporation process as anti-state of Jeju Island myth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한울 2001

      2 김석범, "화산도, 1~12권" 보고사 2015

      3 해병대사령부, "해병전투사" 해병대사령부 1962

      4 김동현, "지역을 상상하는 두 개의 방식-1960년대 제주를 중심으로" 5 : 5-23, 2014

      5 현기영, "지상에 숟가락 하나" 실천문학사 1999

      6 제주발전연구원, "제주원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2013

      7 제주방어사령부, "제주와 해병대" 제주방어사령부 1997

      8 제주시, "제주시50년사" 2005

      9 제주도, "제주시 원도심 활성화 중ㆍ장기 종합마스터플랜" 제주도 2013

      10 진성기, "제주도학, 제1집 개관편" 시인의 집 인간사 1962

      1 데이비드 하비, "희망의 공간-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한울 2001

      2 김석범, "화산도, 1~12권" 보고사 2015

      3 해병대사령부, "해병전투사" 해병대사령부 1962

      4 김동현, "지역을 상상하는 두 개의 방식-1960년대 제주를 중심으로" 5 : 5-23, 2014

      5 현기영, "지상에 숟가락 하나" 실천문학사 1999

      6 제주발전연구원, "제주원도심 도시재생 전략 연구" 제주발전연구원 2013

      7 제주방어사령부, "제주와 해병대" 제주방어사령부 1997

      8 제주시, "제주시50년사" 2005

      9 제주도, "제주시 원도심 활성화 중ㆍ장기 종합마스터플랜" 제주도 2013

      10 진성기, "제주도학, 제1집 개관편" 시인의 집 인간사 1962

      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1962~1980"

      12 박경훈, "제주담론 2" 도서출판 각 2014

      13 김동현, "제주 원도심을 해석하는 문화지리학적 상상력" (49) : 23-28, 2015

      14 에드워드 랠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5 오토 프르디리히 볼노,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4

      16 김동윤, "원도심 재생을 통한 제주형 인문도시의 모색"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8) : 2015

      17 김석범, "왜 계속 써왔는가 왜 침묵해왔는가" 제주대학교출판부 2007

      18 레이먼드 윌리엄스, "시골과 도시" 나남 2013

      19 김동현, "로컬리티의 발견과 내부식민지로서의 '제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20 하정일, "눈물없는 비관주의를 넘어서" 창비 1999

      21 김석범, "까마귀의 죽음" 도서출판 각 2015

      22 정호기, "국가의 형성과 광장의 정치- 미군정기의 대중동원과 집합행동" 한국사회사학회 (77) : 155-190, 2008

      23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4 마르쿠스 슈뢰르, "공간, 장소, 경계, 에코" 에코리브르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