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Program Designed to Promote Multicultural Accep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endall이 제시한 다섯 가지 다문화교육 목표를 기반으로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연구(pilot study)이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 가정의 아동 6명과 일반가정의 아동 6명이 매주 1시간, 6주 동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다문화 인식, 개방성, 공감능력 점수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 인식 점수와 다문화 개방성 점수는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반면에 다문화 공감에 관련하여서는 평균점수는 향상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선구적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함께 참여하는 통합프로그램(integrated program)을 개발하고 적용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integrated group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from bo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promote children’s multicultural acceptance based on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y and Kendall’s five primary go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ix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6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once a week for six week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evels of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empathy were examined. Outcomes show that score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open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program whi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and should be applied in diverse settings where provide services for bo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문화 수용성 통합 프로그램 개발
      • Ⅳ. 연구방법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문화 수용성 통합 프로그램 개발
      • Ⅳ. 연구방법
      • Ⅴ. 결과
      • Ⅵ. 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2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3 서강식, "한국다문화교육의 내용 체계화" 한국다문화가족정책연구원 2010

      4 김종운,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1-59, 2011

      5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6 한동기, "통합체육수업에서 게임 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비장애학생의 또래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03-115, 2010

      7 민천식, "통합놀이가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55-73, 2006

      8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 월보"

      9 박열매,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과 직업포부의 관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0 (10): 95-108, 2011

      10 심우엽, "초등학생의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3-63, 2010

      1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387-421, 2009

      2 윤인진,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평화문제연구소 23 (23): 143-192, 2011

      3 서강식, "한국다문화교육의 내용 체계화" 한국다문화가족정책연구원 2010

      4 김종운, "품성계발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북한, 페루, 중국, 파키스탄, 일본, 필리핀 다문화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1-59, 2011

      5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6 한동기, "통합체육수업에서 게임 놀이 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비장애학생의 또래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체육학회 18 (18): 103-115, 2010

      7 민천식, "통합놀이가 일반아동의 장애아동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55-73, 2006

      8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 월보"

      9 박열매,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과 직업포부의 관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0 (10): 95-108, 2011

      10 심우엽, "초등학생의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3-63, 2010

      11 이혜영,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적용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2 한혜림,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가정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6 (16): 169-196, 2010

      13 교육과학기술부, "정보마당, 주요교육통계, 기타교육지표"

      14 홍승연, "음악교육을 통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체성 세우기 방안 연구" 한국예술교육학회 9 (9): 57-74, 2011

      15 안재신, "유아 음악교육의 세계화를 위한 다문화적 접근의 프로그램 개발" 21 : 53-74, 2010

      16 장원순,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7-46, 2006

      17 김미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69-88, 2010

      18 고아라, "수도권 초등학생의 인종 편견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박명희, "독서치료를 적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타인종 및 타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3 : 21-51, 2010

      20 김혜정,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의 운영현화에 관한 연구" 7 : 17-32, 2009

      21 윤갑정,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147-168, 2006

      22 통계청, "다문화인구동태통계"

      23 강선경,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인종 및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59-282, 2011

      24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

      25 이영주,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103-119, 2009

      26 변미희,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역량 강화를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8 : 5-29, 2011

      27 강기정,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5-22, 2011

      28 김종욱,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한국다문화가족정책연구원 2010

      29 전재일, "다문화가정자녀의 생활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14 : 251-283, 2008

      30 박윤경,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 집단 간 차이와 집단 내 다양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41-71, 2009

      31 최성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탐색" 한국다문화교육학회 4 (4): 105-130, 2011

      32 이선미,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상담학회 10 (10): 2273-2286, 2009

      33 최문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의 과제" 한국윤리교육학회 (19) : 91-118, 2009

      34 오만석,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현실과 과제: 여섯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4 (4): 43-77, 2011

      35 신윤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응, 또래관계 및 이중문화수용 간의 관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1-14, 2010

      36 고홍월,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8 (18): 71-84, 2010

      37 곽혜란, "다문화 아동을 위한 원예교육 프로그램 구조화 및 자아정체성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14 (14): 347-356, 2011

      38 노경란, "다문화 시대 한국인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발달과 태도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9 방기혁, "다문화 대안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발전 방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237-256, 2011

      40 정선희,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41 박현선,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3 (43): 365-388, 2012

      42 나경아,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무용기록학회 24 : 19-38, 2012

      43 김민화,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1 (11): 67-84, 2010

      44 오성배,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 기회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학연구소 (12) : 33-56, 2007

      45 Bennett, J. M.,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In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Sage Publications 147-165, 2004

      46 Ely, M., "Doing Qualitative Research: Circles Within Circles" Falmer 1991

      47 Kendall, F. E., "Diversity in the Classroom: A Multicultural Approach to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