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확장이 잘 이루어진 대표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한중 신체어인 ‘입’과 ‘嘴, 口’의 다의 현상을 대조 분석하여 그 의미 확장이 각각 어떠한 유연성(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83077
주자우 (浙江越秀外国语学院)
2019
Korean
신체어 ; 의미 확장 ; 은유 ; 환유 ; 동질성 ; 이질성 ; 경향성 ; body language ; semantic expansion ; metaphor ; metonymy ; generality ; heterosexuality ; tendentiousness
KCI등재
학술저널
263-289(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확장이 잘 이루어진 대표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한중 신체어인 ‘입’과 ‘嘴, 口’의 다의 현상을 대조 분석하여 그 의미 확장이 각각 어떠한 유연성(有...
이 논문은 인지의미론적 관점에서 확장이 잘 이루어진 대표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한중 신체어인 ‘입’과 ‘嘴, 口’의 다의 현상을 대조 분석하여 그 의미 확장이 각각 어떠한 유연성(有缘性)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지를 밝히었다.
그 대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다의적 신체어에서 드러난 인지과정의 동질성과 이질성도 살펴보고 나아가서 동질성과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을 고찰하였다. 동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인간의 인지 심리 과정이 보편성을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고 두 번째는 인간의 신체구조와 감지기관(感知器官)이 똑같음은 한․중 양국이 신체부위에 대한 인지가 대동소이하는 것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세 번째는 한․중 양국은 동일 문화권에 속해 있는 관계로 제도, 문화, 관습, 풍조, 생활이나 생산 경험 등 많은 면에서 동질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본다. 또한 , 의미 확장에서 이질성이 나타난 요인은 다음과 같다. 의미 확장의 횟수의 영향, 전통적인 민족문화, 관습 및 제도 등의 영향, 언어 자신 특징의 영향, 인지 차이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본다.
마지막으로는 일정한 명사 의미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확장된 주변 의미들에 의미 자질을 부여하고 이들을 유형화함으로써 ‘입’과 ‘嘴, 口’ 의미 확장의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포착하고 제시하였다. 첫째, 신체어의 주변 의미들이 <자연물>, <물체>, <부분>의 자질을 가장 많이 갖고 있고 이는 인간이 신체와 신체 경험을 바탕으로 외부 세계를 인지하여 신체 부위의 특징이 다른 어떤 사물에 전용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다고 본다. 둘째, ‘입’과 ‘嘴, 口’의 의미 확장이 <속성>이란 자질에서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실체 명사인 신체어가 은유와 환유에 의해 의미 확장이 이루어져 상태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嘴, 口’가 <분류사>라는 부류에서 의미 확장이 많이 이루어졌고 이는 중국어가 어의형(語義型)언어인 것과 관련된다고 본다.
주제어: 신체어, 의미 확장, 은유, 환유, 동질성, 이질성, 경향성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갑,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의어 대조 연구- 몇몇 신체어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문학회 (96) : 51-86, 2007
2 김보경, "한국어 신체어의 은유와 환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0
3 김보미, "한·중 인체어휘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강덕구, "한·일어 신체어 어휘소의 다의 구조 연구 : 얼굴,눈,머리를 중심으로"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우유선, "인지의미론적 접근을 통한 중국어의 어휘교육 : 한중 양국어 신체어휘의 다의현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1
8 배도용, "우리말 '입'의 확장 연구" 배달말학회 (31) : 79-98, 2002
9 홍사만, "신체어의 다의 구조 분석(Ⅳ)" 경북어문학회 27 : 52-76, 1993
10 이상도, "신체어 다의 구조에 대한 한중 대비 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8 : 241-264, 1999
1 박종갑,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다의어 대조 연구- 몇몇 신체어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문학회 (96) : 51-86, 2007
2 김보경, "한국어 신체어의 은유와 환유"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0
3 김보미, "한·중 인체어휘의 의미 확장 비교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강덕구, "한·일어 신체어 어휘소의 다의 구조 연구 : 얼굴,눈,머리를 중심으로"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5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6 우유선, "인지의미론적 접근을 통한 중국어의 어휘교육 : 한중 양국어 신체어휘의 다의현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1
8 배도용, "우리말 '입'의 확장 연구" 배달말학회 (31) : 79-98, 2002
9 홍사만, "신체어의 다의 구조 분석(Ⅳ)" 경북어문학회 27 : 52-76, 1993
10 이상도, "신체어 다의 구조에 대한 한중 대비 연구" 한국중국언어학회 8 : 241-264, 1999
11 이경자, "신체어 ‘입․귀’의 의미고"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0 : 85-102, 1983
12 홍사만, "소당 천시권 박사회갑기념 국어학 논총" 80-102, 1985
13 차준경, "국어 명사 다의 현상의 체계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4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15 束定芳, "隱喻學研究" 上海外語教育出版社 2000
16 趙豔芳, "認知語言學概論" 上海外語教育出版社 2001
17 徐銀, "英語‘mouth’與漢語‘口, 嘴’詞彙的隱, 轉喩認知對比" (4) : 63-68, 2009
18 向二蘭, "臉’的隱喩意義探源" 28-31, 2007
19 呂叔湘, "現代漢語詞典 修訂本" 商務印書館 1999
20 李玄玉, "漢語人體詞語研究" 南京大學 2003
21 王群, "手’隱喩的認知性分析" 華北電力大學 2005
22 李瑛, "從‘頭’認知-轉喩, 隱喩與一詞多義現象研究" 35-60, 2006
23 史錫堯, "口, 嘴’語義語用分析" 13-26, 1994
24 "北京大學漢語語言學研究中心語料庫(Corpus-base of Center for Chinese Linguistics PKU)"
25 盧衛中, "人體隱喻化的認知特點" 23-35, 2003
26 李文莉, "人體隱喩系統研究" 華東師範大學 2007
27 "中華在線詞典"
28 Ullmann, S,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Basil Blackwell 1962
29 "21세기 세종계획 균형 말뭉치 프로그램"
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 『내일의 태양』 원작소설과 영화의 비교 연구
황석우와 李金髮의 시 비교 연구 -상징주의 시와 그로테스크 미학을 중심으로
1930년대 한․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서사 비교 연구 -「소낙비」와 「노예가 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에 나타난 여성 이주담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
Body Language for Engaging and Motivating
Teachers TV Teachers TVBody Language when Starting the Lesson
Teachers TV Teachers TVBody Language when Ending the Lesson
Teachers TV Teachers TVBody Language when Establishing Relationships
Teachers TV Teachers TVBody Language Techniques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