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 Universal versus Selective Welfare: A Role of Altruistic Perceptions on Change in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5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의 복지논의에 있어 보다 객관적 준거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시민의 복지인식이 보편복지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2007년과...

      본 연구는 최근의 복지논의에 있어 보다 객관적 준거를 제공하기 위해, 일반시민의 복지인식이 보편복지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의 2007년과 2010년 자료를 패널프로빗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시민들의 최근 인식이 ‘수익자부담원칙’(the benefit principle)을 지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에 걸쳐 상대적으로 평균소득이 감소한 가운데, 보편복지에 대한 선호는 최근소득이 (평균소득보다) 높아질수록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또한 소득이 높아질수록 중위소득(미만) 수준의 시민에게 세금을 더(덜) 부과하는 것을 선호하나 사회복지의 공급확대를 위한 전반적 증세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소득일수록 보편복지를 선호하며, 오히려 이들은 사회복지의 공급확대를 위한 증세를 더 감당할 수 있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 한편 고소득자에 대한 세금수준이매우 낮다는 인식은 기술통계 상에는 시민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도, 확률분석에서는 보편복지에 대한 선호의 정확한 표출 및 반영에 통계적으로나 규범적으로나 가장 혼란을 주는 요인으로서 통계적으로는 전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렇게 정부정책과 시민 간 논의에 있어서 ‘권리(나 의무)’로서의 사회복지(기여) 보다는 복지의 기준으로서 수익의 중요성이 증대된 가운데, 본 논문은 “복지이타성”(welfare altruism)이라는 개념이 특히 소득이 증대될수록 필요하게 됨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state governments are struggling with the choice between universal welfare (right) and selective welfare (duty). However, no clear guidelines to the choice in response to the public``s perception on welfare altruism and preference exist. In order...

      Many state governments are struggling with the choice between universal welfare (right) and selective welfare (duty). However, no clear guidelines to the choice in response to the public``s perception on welfare altruism and preference exist.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welfare altruism and preference, this study implemented a probability analysi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KWPD), which traced 7,000 people (3,500 each above and below the relative poverty criterion) since 2006. Among them, 3,749 observations, whose responses to welfare perception questions completed, were analyzed for the years of 2007 and 2010. The panel probit analysis of this two-year panel data supported the citizen``s perceptions of preference for "the benefit principle." It showed that universal welfare is likely to be more preferred by the lower income people who prefer the state``s increasing taxation for welfare provision (not just for redistribution) in the welfare state they perceived it as being more unfairly taxed and fairly redistributed, which contradicts the average citizen``s perceptions in the descriptive analysis. It should be noted that a (sta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internal consistency or validity among the perceiving tendencies can be simply made by the more "altruistic" perception of high income peopl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