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중종대 빈곤과 구제 = 『중종실록』과 해석학 관점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78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 중종대의 빈곤과 구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서도 중종대에 중점을 둔 것은 이 시기에 빈곤과 구제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 사회복지적 함의가 깊고 풍부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자료수집은 『중종실록』에 근거했고, 이를 분석하는 데 유익한 해석학 관점을 적용했다.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로, 1) 사회보장의 구체적인 방법들과 유사하게 부분적으로 시행된 점, 2) 구제대책이 왕의 절대권한으로 이루어진 점, 3) 구제를 위한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여건이 불충분했던 점, 4) 구제대책이 일시적이었던 점, 5) 빈곤의 책임을 왕과 신하가지며 자연에 순응하는 성향이 강했던 점을 도출했고, 이를 해석했다. 아울러 후속연구로 중종대 전후 왕대들 간 비교연구, 『중종실록』 이외의 자료를 활용한 연구, 빈곤과 구제 이외에도 질병 및 범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조선 중종대의 빈곤과 구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서도 중종대에 중점을 둔 것은 이 시기에 빈곤과 구제가 가장 빈번하게 일...

      이 연구는 조선 중종대의 빈곤과 구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서도 중종대에 중점을 둔 것은 이 시기에 빈곤과 구제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 사회복지적 함의가 깊고 풍부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자료수집은 『중종실록』에 근거했고, 이를 분석하는 데 유익한 해석학 관점을 적용했다. 연구결과에 따른 함의로, 1) 사회보장의 구체적인 방법들과 유사하게 부분적으로 시행된 점, 2) 구제대책이 왕의 절대권한으로 이루어진 점, 3) 구제를 위한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여건이 불충분했던 점, 4) 구제대책이 일시적이었던 점, 5) 빈곤의 책임을 왕과 신하가지며 자연에 순응하는 성향이 강했던 점을 도출했고, 이를 해석했다. 아울러 후속연구로 중종대 전후 왕대들 간 비교연구, 『중종실록』 이외의 자료를 활용한 연구, 빈곤과 구제 이외에도 질병 및 범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overty and relief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 on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is that the poverty and relief had been happened most frequently, and that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could be profound during the periods of Joseon Dynasty. The data is collected based on Jungjongsilok,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s. Five important meanings are resulted as follows: 1) concreted similar methods of social security had been partly carried out, 2) relief policies had been drawn up by the King's absolute authority, 3) given political and social economical conditions for relief had not been sufficient, 4) relief policies had been temporarily enforced, and 5) the king and the retainers had been charged to responsibility for poverty as well as they had been adapted to nature. In addition, three particulars are proposed for following studies such as comparative studies on poverty and relief before or after the reign of Jungjong, studies based on other historical material except Jungjongsilok, and studies on diseases and crimes except pover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overty and relief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 on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is that the poverty and relief had been happened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overty and relief during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 on the reign of Jungjong in Joseon Dynasty is that the poverty and relief had been happened most frequently, and that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could be profound during the periods of Joseon Dynasty. The data is collected based on Jungjongsilok, and the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the perspective of Hermeneutics. Five important meanings are resulted as follows: 1) concreted similar methods of social security had been partly carried out, 2) relief policies had been drawn up by the King's absolute authority, 3) given political and social economical conditions for relief had not been sufficient, 4) relief policies had been temporarily enforced, and 5) the king and the retainers had been charged to responsibility for poverty as well as they had been adapted to nature. In addition, three particulars are proposed for following studies such as comparative studies on poverty and relief before or after the reign of Jungjong, studies based on other historical material except Jungjongsilok, and studies on diseases and crimes except pover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제기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요약]
      • 1. 문제제기
      • 2. 문헌고찰
      • 3.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함의와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