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의 지각과 인지능력의 종합적 과정을 보여주는 <독서>를 이러한 인지과학적인 지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독서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작업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63629
-
2008년
Korean
혼종성 ; Kognitive Wissenschaft ; Biologie ; Lesen ; Kulturwissenschaftliche Naturwissenschaft ; Social- Construction ; Gehirnwissenschaft ; Hybriditaet ; Leserevolution ; naturwissenschaftliche Humanwissenschft ; Polymodalitaet des Lesens ; Evolution des Geistes ; Neurobiologie ; 독서 ; 신경생리학 ; 생물학 ; 두뇌학 ; 독서과정 ; 독서심리학 ; 독자진화론 인문학의 자연과학화 ; 과학의 문화화 ; 독서의 다양상성 ; 마음의 진화 ; 인지과학 ; 볼프강 이저 ; 칸델 ; 다니엘 데넷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의 지각과 인지능력의 종합적 과정을 보여주는 <독서>를 이러한 인지과학적인 지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독서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작업을 ...
본 연구는 우리의 지각과 인지능력의 종합적 과정을 보여주는 <독서>를 이러한 인지과학적인 지각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독서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 작업을 위해서 우선 인지과학관련 참고문헌을 수집하고 섭렵하였다. 야우스 H.R.Jauß의 수용미학과 이저 W.Iser의 영향미학으로 대표되는 독서이론을 다시 정독ㆍ분석하는 과정을 통해서 독서 기초개념을 정립하였다. 독서이론에 신경생리학적인 관점을 추가 도입하여 독서과정의 자연과학적인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서 자연과학과 인문학 그리고 미학이 만나 서로 경계 가로지르는 융합과 혼종적 방법을 새롭게 고안한다. 이 고찰은 우선 독서의 문화사적 관점과 신경생리학적인 관점의 그 향방의 의미를 비교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연구 작업을 위해서 보기, 읽기, 인지과학, 지각학, 매체미학 등과 관련한 작은 세미나를 10번 가졌으며, 11번째 세미나는 인지과학과 미학, 미적 판단력과 생물학적 진화 그리고 보기와 형상의 사전적 계보 의 주제를 동덕여대 인문과학연구소와 함께 심포지움을 가졌다. 6월 말에서 2주간의 독일 Siegen대학을 방문하여 자료수집과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 보았다.신경생리학이 인문학에 인식론적으로나 존재론적으로 엄청난 전환을 선사하리라 생각하지 않지만, 상호 비교를 통해서 물론 인지절차, 수행적 행위 그리고 실전에서의 상관개념이나 언어적 연관관계를 개념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다르게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이 생성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vorliegende Arbeit beabsichtigt dadurch ein neues Paradigma des Lesens zu gewinnen, das Lesen, das sich als ein umfassender Prozess unserer Wahrnehmung und Kognition zeigt, im Hinblick auf die kognitive Aisthetik und Neurobiologie zu betrachten. ...
Die vorliegende Arbeit beabsichtigt dadurch ein neues Paradigma des Lesens zu gewinnen, das Lesen, das sich als ein umfassender Prozess unserer Wahrnehmung und Kognition zeigt, im Hinblick auf die kognitive Aisthetik und Neurobiologie zu betrachten. Zunaechst ausgegangen von der rezeptionsaesthetischen Definitionen von H.R.Jauss und W.Iser wird hier eine neue hybride humanwissenschaftliche Methode zu erkundigen , die die Grenze zwischen Naturwissenschaft, Anthropologie und aesthetik kreuz und quer durchschneiden koennte. Dazu hatten sich mehrmalige Seminaren mit den Themen wie Sehen, Lesen, Kognition, Wahnehmung, Aisthetik, Medienaesthetik stattgefunden. Waehrend des Studienaufenthaltes an der Universitaet Siegen in Deutschland ist die sekundaere Literatur zu recherchieren und neueste Forschung zu erkundigen. Niemand denkt, dass Neurobiologie der Humanwissenschaft erkenntniserweise und ontologischerweise ein umbruchbringendes Geschenk geben wuerde. Jedoch mit den interdisziplin?ren Vergleichen wird erwartet ein neuen wissenschaftlichen Rahmen des aisthetischen Aesthetik zu schaf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