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들의 일그러진 자화상 - 영화 〈한공주〉의 스토리텔링 연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43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공주〉의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이 영화가 한국 사회와 한국 영화에 던진 시 사점과 의미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스토리 분석을 중심으로 이 영화가 ‘주인공 한공주가 음악을 통해 위안 받으려하다가 음악이 자신을 지켜줄 수 없음을 깨닫고 자살하는 이야기’임을 밝혔다. 아울러 이 영 화가 정작 인간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진짜 괴물들은 처벌하지 않고 윤리적 인간들을 거세해 버리는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이를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 국면에서는 이 영화 가 실화를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선정성에 함몰되지 않고 영화를 비판적 맥락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이, 시간 조작으로 인한 정보지체, 이중플롯으로 인한 의미의 병치, 그리고 피해자의 시선에 주 목한 시점의 힘임을 살펴보았다. 예술 작품의 의미는 미적 체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변혁의 기 제로 작용해야 한다. ‘결국 해방의 길을 찾는 주체는 대중이고, 그 주체는 아무나(n’im-porte qui)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모 사케르의 생명으로서 한공주의 죽음을 통해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을 고발 하고 독자로 하여금 윤리적 주체로서 설 것을 호소하였다는 점에서 이 영화의 주제는 매우 효용론적이며 공동체적이다. 따라서 이 영화는 윤리적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잃어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한공주〉의 정밀한 독해에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한공주〉의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이 영화가 한국 사회와 한국 영화에 던진 시 사점과 의미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스토리 분석을 중심으로 이 영화가 ‘주인공 ...

      이 글에서는 〈한공주〉의 스토리와 스토리텔링을 분석하여 이 영화가 한국 사회와 한국 영화에 던진 시 사점과 의미를 밝히려고 하였다. 먼저 스토리 분석을 중심으로 이 영화가 ‘주인공 한공주가 음악을 통해 위안 받으려하다가 음악이 자신을 지켜줄 수 없음을 깨닫고 자살하는 이야기’임을 밝혔다. 아울러 이 영 화가 정작 인간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진짜 괴물들은 처벌하지 않고 윤리적 인간들을 거세해 버리는 사회 구조를 비판하고 이를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스토리텔링 국면에서는 이 영화 가 실화를 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선정성에 함몰되지 않고 영화를 비판적 맥락까지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이, 시간 조작으로 인한 정보지체, 이중플롯으로 인한 의미의 병치, 그리고 피해자의 시선에 주 목한 시점의 힘임을 살펴보았다. 예술 작품의 의미는 미적 체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변화와 변혁의 기 제로 작용해야 한다. ‘결국 해방의 길을 찾는 주체는 대중이고, 그 주체는 아무나(n’im-porte qui)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모 사케르의 생명으로서 한공주의 죽음을 통해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폭력을 고발 하고 독자로 하여금 윤리적 주체로서 설 것을 호소하였다는 점에서 이 영화의 주제는 매우 효용론적이며 공동체적이다. 따라서 이 영화는 윤리적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잃어가는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한공주〉의 정밀한 독해에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n Gong-ju> is the movie that alludes to the most popular critical mind in 2014. In this writing, we see 〈Han Gong-ju> as this movie’s critical mind affected in a positive way and consider that this movie is focused on the spirit of an art community or focused on the functions. To investigate the feature and critical mind appeared to be worthy to introduce this movie to worldwide audiences. In this writing, I attempt to reveal the message presented by this movie to our community and its meaning of universal features by focusing on the aesthetic structure and ideology is projects. This paper, through an analysis of the ideology and storytelling of 〈Han Gong-ju〉, attempts to reveal its meaning and the power of its influences to Koreans and Korean movies. First, though a story analysis, the paper proves that this movie tells the story in which Han Gong-ju attempt to receive comfort through music, but she realizes it does not exist in reality and commits suicide. In addition, it proves that an actual monster that threatens human identity by criticizing the social structure is not punished, with the fact that only ethical human beings can discard and castrate it. This work intends to reconfigure the social structure. In terms of storytelling, this movie has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a delay of information due to the time lag, juxtaposition of the plot, and the viewpoint of the victim. The meaning of a work of art should influence us as a mechanism of change and transformation, not only as an aesthetic experience. This movie revealed violence unseen in our society through the death of Han Gong-ju as a Homo sacer and makes the viewer of the film stand as an ethical subject, as the theme of this movie is very ethical. It suggested how our society can be a moral community with an identity that has been lost for a long time. Movie industrialization and sanctions exist in the commercial reality, and this type of storytelling is possible because this movie is an independent low-budget film. This paper focuses on an accurate reading of 〈Han Gong-ju〉.
      번역하기

      <Han Gong-ju> is the movie that alludes to the most popular critical mind in 2014. In this writing, we see 〈Han Gong-ju> as this movie’s critical mind affected in a positive way and consider that this movie is focused on the spirit of an ...

      <Han Gong-ju> is the movie that alludes to the most popular critical mind in 2014. In this writing, we see 〈Han Gong-ju> as this movie’s critical mind affected in a positive way and consider that this movie is focused on the spirit of an art community or focused on the functions. To investigate the feature and critical mind appeared to be worthy to introduce this movie to worldwide audiences. In this writing, I attempt to reveal the message presented by this movie to our community and its meaning of universal features by focusing on the aesthetic structure and ideology is projects. This paper, through an analysis of the ideology and storytelling of 〈Han Gong-ju〉, attempts to reveal its meaning and the power of its influences to Koreans and Korean movies. First, though a story analysis, the paper proves that this movie tells the story in which Han Gong-ju attempt to receive comfort through music, but she realizes it does not exist in reality and commits suicide. In addition, it proves that an actual monster that threatens human identity by criticizing the social structure is not punished, with the fact that only ethical human beings can discard and castrate it. This work intends to reconfigure the social structure. In terms of storytelling, this movie has the following three features: a delay of information due to the time lag, juxtaposition of the plot, and the viewpoint of the victim. The meaning of a work of art should influence us as a mechanism of change and transformation, not only as an aesthetic experience. This movie revealed violence unseen in our society through the death of Han Gong-ju as a Homo sacer and makes the viewer of the film stand as an ethical subject, as the theme of this movie is very ethical. It suggested how our society can be a moral community with an identity that has been lost for a long time. Movie industrialization and sanctions exist in the commercial reality, and this type of storytelling is possible because this movie is an independent low-budget film. This paper focuses on an accurate reading of 〈Han Gong-j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방법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 1.2 연구방법
      • 2. 본론
      • 2.1 스토리 : 고릴라, 괴물, 고장 난 윤리의식
      • 2.2 스토리텔링 : 정보지체, 병치, 피해자의 눈
      • 3.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애, "『원미동 사람들』의 이방인, 「한계령」의 의미와 한계: 서술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77-99, 2014

      2 Lee, Sang-Joon, "he best film 〈Han, Gong-Ju〉 selected by movie journalist"

      3 Zizek, S, "Violence. Six sideways reflections" Profile books 2009

      4 Kim, Hyung-Seok, "Twelve Directors have had a remarkable ability"

      5 Shim, Young-Sub, "The masterpiece made by Lee, Su-Jin, the film director for 7 years"

      6 Kearney R, "Strangers, Gods and Monsters: Interpreting otherness" Routledge 2005

      7 Nam, Da-Eun, "Strange live together with ethics, Violence and Sympathy"

      8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9 Sontag S,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Vol. 201. No. 1"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3

      10 Benoit W, "Persuasive Messages: The Process of Influence" MA 2008

      1 김경애, "『원미동 사람들』의 이방인, 「한계령」의 의미와 한계: 서술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77-99, 2014

      2 Lee, Sang-Joon, "he best film 〈Han, Gong-Ju〉 selected by movie journalist"

      3 Zizek, S, "Violence. Six sideways reflections" Profile books 2009

      4 Kim, Hyung-Seok, "Twelve Directors have had a remarkable ability"

      5 Shim, Young-Sub, "The masterpiece made by Lee, Su-Jin, the film director for 7 years"

      6 Kearney R, "Strangers, Gods and Monsters: Interpreting otherness" Routledge 2005

      7 Nam, Da-Eun, "Strange live together with ethics, Violence and Sympathy"

      8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80

      9 Sontag S,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Vol. 201. No. 1"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3

      10 Benoit W, "Persuasive Messages: The Process of Influence" MA 2008

      11 Deleuze G, "Nitezsche et la philosophie" PUF 1962

      12 Ranciere J, "Malaise Dans L'esthetique" Galilée 2004

      13 Foucault M, "Madness and Civilization: A History of Insanity in the Age of Reason" Vintage 1988

      14 Magny J., "Le Point De Vue" Cahiers du Cinéma 2001

      15 Bal. M, "Introduction of the theory of Nature" Bussum 1980

      16 Porter Abbott H, "Introduction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7 Jin, Hyun-Cheol, "I am Sorry for the judgement No admittance under 19years"

      18 Agamben G., "Homo sacer: Il potere sovrano e la nuda vita" Giulio Einaudi editore 1995

      19 Foucault M., "Heterotopia" Korean Translation Copyright Moonji Publishing Co 2014

      20 Lee, Yun-Young, "Film in Cogitation" Moonji Publishing Co 2011

      21 Lee, Sang-Myun, "Film and Image Culture" Book Korea Publishing Co 2010

      22 Lee, Sang-Sub, "Dictionary of Literary Criticism" Minumsa Publishing Co 2001

      23 Benjamin W,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Reclam 2011

      24 Jung, Han-Seok, "Creative stimulation and surplus image"

      25 Hodge. N. H., "Ancient futures : learning from Ladakh" Random House 2013

      26 Choi, Si-Han, "A Study on Domestic Fiction" Minumsa Publishing Co 1993

      27 문재철, "<한공주>: 시선과 부끄러움 그리고 윤리" 현대영화연구소 11 (11): 155-171, 2015

      28 정민아, "2010년대 한국 청소년영화의 장르 구조와 사회성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9 (49): 595-635,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