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이 향 제시를 통한 실감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43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영상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영상실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냄새가 연상되는 모든 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실감향상방법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가설은 후각정보에 대한 묘사가 생생한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를 제공하는 것이 후각정보가 비생생한 영상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강한 실감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세 가지 조건 (무관 vs. 비생생 vs. 생생)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수집한 후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내로 조작하면서 해당 영상과 함께 향을 의도적으로 경험하게 한 후,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간으로 조작하면서 실험 1의 결과가 요구특성에 의한 대비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험 3은 우연적으로 향을 경험할 때도 실험 1과 동일한 실감과 향제시선호도 향상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실험 모두에서 후각적으로 생생한 영상이 비생생한 영상보다 후각정보를 통한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향과 무관한 영상을 시청할 때는 후각정보가 실감과 향제시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상실감분야에 기여할 뿐 아니라 광고 등의 영상을 활용한 마케팅 분야에도 폭 넓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번역하기

      영상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영상실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냄새가 연상되는 모든 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

      영상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영상실감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은 예측 가능하다. 그러나 냄새가 연상되는 모든 장면에 어울리는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장면을 선택하여 후각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실감향상방법인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 가지 가능한 가설은 후각정보에 대한 묘사가 생생한 영상에 어울리는 냄새를 제공하는 것이 후각정보가 비생생한 영상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더 강한 실감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세 가지 조건 (무관 vs. 비생생 vs. 생생)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건에 부합하는 영상을 수집한 후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내로 조작하면서 해당 영상과 함께 향을 의도적으로 경험하게 한 후,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2는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을 참가자 간으로 조작하면서 실험 1의 결과가 요구특성에 의한 대비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실험 3은 우연적으로 향을 경험할 때도 실험 1과 동일한 실감과 향제시선호도 향상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실험 모두에서 후각적으로 생생한 영상이 비생생한 영상보다 후각정보를 통한 실감향상과 향제시선호도가 강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향과 무관한 영상을 시청할 때는 후각정보가 실감과 향제시선호도를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상실감분야에 기여할 뿐 아니라 광고 등의 영상을 활용한 마케팅 분야에도 폭 넓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senting appropriate scents with a video scene to increase the reality of a video is a predictable hypothesi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ent matching scents for all scenes; therefore,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reality of video scenes with olfactory information is necessary. One possible hypothesis is that even when the same olfac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a stronger improvement of video reality is realized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more vivid than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not vivid. To verify this hypothesis empirically, in this study we use three conditions of the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scenes (an irrelevant condition vs. a non-vivid condition vs. a vivid condition). After establishing these conditions, we collected and edited different videos with regard to each condition and then carried out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used a within-participants condition of olfactory vividness of the video and posed two questions after the participants intentionally experienced certain scents with videos. The first question focused on improvements in the video reality with the matching scent, the second asked about preferences for the scent with the video. Experiment 2 was similar to Experiment 1, except it used a between-participants design, as we intended Experiment 2 to prove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 1 did not stem from a contrast effect according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Experiment 3 was carried out to confirm whether we could observe the same results when the participants the scent by accident. As a result, we consistently observed the same results in the three experiments, finding that the level of video reality with olfactory information and scent preferences increased with the video in the vivid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vivid condition. Moreover, video reality was found to decrease in the irrelevant condition. This study has broa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ality in video and for those who market videos such as commercials.


      번역하기

      Presenting appropriate scents with a video scene to increase the reality of a video is a predictable hypothesi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ent matching scents for all scenes; therefore,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reality of v...

      Presenting appropriate scents with a video scene to increase the reality of a video is a predictable hypothesi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present matching scents for all scenes; therefore, find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the reality of video scenes with olfactory information is necessary. One possible hypothesis is that even when the same olfactory information is presented, a stronger improvement of video reality is realized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more vivid than when the scene is olfactorily not vivid. To verify this hypothesis empirically, in this study we use three conditions of the olfactory vividness of video scenes (an irrelevant condition vs. a non-vivid condition vs. a vivid condition). After establishing these conditions, we collected and edited different videos with regard to each condition and then carried out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used a within-participants condition of olfactory vividness of the video and posed two questions after the participants intentionally experienced certain scents with videos. The first question focused on improvements in the video reality with the matching scent, the second asked about preferences for the scent with the video. Experiment 2 was similar to Experiment 1, except it used a between-participants design, as we intended Experiment 2 to prove that the results of Experiment 1 did not stem from a contrast effect according to the demand characteristics. Experiment 3 was carried out to confirm whether we could observe the same results when the participants the scent by accident. As a result, we consistently observed the same results in the three experiments, finding that the level of video reality with olfactory information and scent preferences increased with the video in the vivid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vivid condition. Moreover, video reality was found to decrease in the irrelevant condition. This study has broad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ality in video and for those who market videos such as commerci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2. 실험 1 :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에 따른 실감효과 1 (참가자내 실험설계)
      • 2.1 설계 및 재료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2. 실험 1 :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에 따른 실감효과 1 (참가자내 실험설계)
      • 2.1 설계 및 재료
      • 2.2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 지각 조작점검
      • 2.3 절차 및 참가자
      • 2.4 향을 통한 실감향상 (질문 1) 결과
      • 2.5 향 제시 선호도 (질문 2) 결과
      • 2.6 논의
      • 3. 실험 2 : 영상의 후각적 생생함에 따른 실감효과 2 (참가자간 실험설계)
      • 3.1 향을 통한 실감향상 (질문 1) 결과
      • 3.2 향 제시 선호도 (질문 2) 결과
      • 3.3 논의
      • 4. 실험 3 : 우연적 후각경험에 의한 실감향상효과 검증
      • 4.1 방법
      • 4.2 분석방법
      • 4.3 첫 냄새 블록 결과
      • 4.4 전체 냄새 블록 결과
      • 4.5 논의
      • 5. 종합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국희, "향과 색의 어울림이 영상 실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9 (19): 877-895, 2014

      2 이국희, "영상의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가 영상실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0 (10): 29-41, 2015

      3 이국희,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8 (8): 9-19, 2013

      4 이국희, "영상실감을 위한 유사성 기반 대표냄새 사용의 제안" 한국감성과학회 17 (17): 39-52, 2014

      5 이국희,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한국감성과학회 16 (16): 207-220, 2013

      6 Coyle, J. R, "The effects of progressive levels of interactivity and vividness in web marketing sites" 30 : 65-77, 2001

      7 Qi, Q. B., "Television watching,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the genetic predisposition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women and men/clinical perspective" 126 : 1821-1827, 2012

      8 Veerman, J. L, "Television viewing time and reduced life expectancy: a life table analysis" 46 : 927-930, 2012

      9 Anderson, D. R., "Stressful life events and television viewing" 23 : 243-260, 1996

      10 Chorianopoulos, K., "Personalized and mobile digital TV applications" 36 : 1-10, 2008

      1 이국희, "향과 색의 어울림이 영상 실감과 몰입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19 (19): 877-895, 2014

      2 이국희, "영상의 색온도와 향의 감성적 일치가 영상실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0 (10): 29-41, 2015

      3 이국희, "영상실감을 위한 후각정보에 대한 사용자 지각과 영상분류"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8 (8): 9-19, 2013

      4 이국희, "영상실감을 위한 유사성 기반 대표냄새 사용의 제안" 한국감성과학회 17 (17): 39-52, 2014

      5 이국희, "시청자의 후각정보 수용 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실감증대를 위한 제안" 한국감성과학회 16 (16): 207-220, 2013

      6 Coyle, J. R, "The effects of progressive levels of interactivity and vividness in web marketing sites" 30 : 65-77, 2001

      7 Qi, Q. B., "Television watching,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the genetic predisposition in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women and men/clinical perspective" 126 : 1821-1827, 2012

      8 Veerman, J. L, "Television viewing time and reduced life expectancy: a life table analysis" 46 : 927-930, 2012

      9 Anderson, D. R., "Stressful life events and television viewing" 23 : 243-260, 1996

      10 Chorianopoulos, K., "Personalized and mobile digital TV applications" 36 : 1-10, 2008

      11 Kemp, S. E., "Odor intensity and color lightness are correlated sensory dimensions" 110 : 35-46, 1997

      12 Hiramatsu, C., "Interplay of olfaction and vision in fruit foraging of spider monkeys" 77 : 1421-1426, 2009

      13 Fortin, D. R., "Interactivity and vividness effects on social presence and involvement with a web-based advertisement" 58 : 387-396, 2005

      14 Barton, R. A., "Evolutionary radiation of visual and olfactory brain systems in primates, bats and insectivores" 348 : 381-392, 1995

      15 Chang, C. T., "Effects of message framing, vividness congruency and statistical framing on responses to charity advertising" 29 : 195-220, 2010

      16 Frey, B. S, "Does watching TV make us happy?" 28 : 283-313, 2007

      17 Kisielius, J., "Detecting and explaining vividness effects in attitudinal judgments" 21 : 54-64, 1984

      18 Gilbert, A. N., "Cross-modal correspondence between vision and olfaction: the color of smells" 109 : 335-351,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