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 연구 = A Study of Didactical Possibility within the Protestant Catec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3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위기시대에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교리문답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 특별히 종교개혁자들(예: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를 중심으로 교리문답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실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본 연구는 교리 및 교리문답 용어가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한다. 현대 교육학적 측면에서 볼 때, 교리 및 교의는 상당히 전근대적, 권위적인 의미로 비춰진다. 그러나 본래 교리/교의란 성서가 증언하고 있는 신앙에 대한 책임 있는 사유행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교리문답 역시 규범적 교육의 의미에 제한되기 보다는 하나님의 말씀(복음)을 인간 세계에 메아리(共鳴)치게 한다는 해석학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어서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에 나타나는 교수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은 개신교 신학의 핵심, 특히 중세의 공로주의에 반대하여 칭의론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그들은 교리문답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목회적-교육적 관심을 깊이 기울였다. 신앙교리를 성인에게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젊은이들에게 확대하여 교육시키려는 차원에서 시도한 교수학적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오늘의 신앙교육 차원에서 교리문답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제안하고자한다.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을 기초화(요체화)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종교개혁 사상의 기초 상징으로서 칭의(justification) 교리를 오늘날 신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과정을 간략하게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위기시대에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교리문답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 특별히 종교개혁자들(예: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를 중심으로 교리문...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위기시대에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교리문답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한 것이다. 특별히 종교개혁자들(예: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를 중심으로 교리문답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실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본 연구는 교리 및 교리문답 용어가 갖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한다. 현대 교육학적 측면에서 볼 때, 교리 및 교의는 상당히 전근대적, 권위적인 의미로 비춰진다. 그러나 본래 교리/교의란 성서가 증언하고 있는 신앙에 대한 책임 있는 사유행위에 해당한다. 그리고 교리문답 역시 규범적 교육의 의미에 제한되기 보다는 하나님의 말씀(복음)을 인간 세계에 메아리(共鳴)치게 한다는 해석학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어서 종교개혁자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서에 나타나는 교수학적 의미를 고찰한다. 루터와 칼뱅의 교리문답은 개신교 신학의 핵심, 특히 중세의 공로주의에 반대하여 칭의론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그들은 교리문답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목회적-교육적 관심을 깊이 기울였다. 신앙교리를 성인에게 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젊은이들에게 확대하여 교육시키려는 차원에서 시도한 교수학적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연구에 기초하여 오늘의 신앙교육 차원에서 교리문답 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제안하고자한다. 교리문답의 교수학적 가능성을 기초화(요체화)와 상징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종교개혁 사상의 기초 상징으로서 칭의(justification) 교리를 오늘날 신앙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과정을 간략하게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contemplation of the protestant catecheism that could restore the identity of Christian community facing the crisis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n particular, it aims to suggest the didactical need and possibility of focusing on Luther and Calvin's catechism. Firstly, this study research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rms dogma/dogmatics and catechism. From the modern educational viewpoint, dogma/dogmatics has an extremely premodern or authoritative aspect. In actuality, it signifies a responsible thought of faith to which the Bible testifies. Catechism has also taken a hermeneutical role, which is told and echoed by the Word of God towards all the world as a whole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a normative educational meaning. This study then moves to research the didactical meaning of the catechism of Luther and Calvin,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reformers. Their catechism pointed out the justification, the core of our protestant theology, against the achievement theo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Moreover, they focused on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hereas the medieval catechism had given attention only to adults. On the grounds of this research, I suggest several practical ideas and directions by which to apply catechetic educ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 propose to look at catechism as elementarization and symbols of our faith from the didactical aspect. In Addition to that, I describe several didactical processes of catechetic education and their relation to justifi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contemplation of the protestant catecheism that could restore the identity of Christian community facing the crisis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n particular, it aims to suggest the didactical need and possibility of focusing on Luth...

      This study is a contemplation of the protestant catecheism that could restore the identity of Christian community facing the crisis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n particular, it aims to suggest the didactical need and possibility of focusing on Luther and Calvin's catechism. Firstly, this study research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terms dogma/dogmatics and catechism. From the modern educational viewpoint, dogma/dogmatics has an extremely premodern or authoritative aspect. In actuality, it signifies a responsible thought of faith to which the Bible testifies. Catechism has also taken a hermeneutical role, which is told and echoed by the Word of God towards all the world as a whole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a normative educational meaning. This study then moves to research the didactical meaning of the catechism of Luther and Calvin, the representative religious reformers. Their catechism pointed out the justification, the core of our protestant theology, against the achievement theor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Moreover, they focused on the educational field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whereas the medieval catechism had given attention only to adults. On the grounds of this research, I suggest several practical ideas and directions by which to apply catechetic education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oday. I propose to look at catechism as elementarization and symbols of our faith from the didactical aspect. In Addition to that, I describe several didactical processes of catechetic education and their relation to justif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2 손삼권, "초기 카테케시스 체제의 과정과 변화" 9 : 219-265, 2000

      3 양승준, "청소년 신앙형성을 위한 입교교육과정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9 (39): 161-189, 2013

      4 정일웅, "종교개혁시대의 기독교 신앙의 가르침" 한국로고스연구원 1987

      5 강미랑, "정보화시대 속에서 기독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해석적 성경교육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9 (39): 77-110, 2013

      6 양금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I" 교육과학사 1996

      7 양금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I" 교육과학사 1996

      8 Schweitzer, Fr., "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신앙의 세계" 대한기독교서회 2013

      9 양명수,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1994

      10 고원석, "신앙의 언어교육으로서 기독교교육 - 들음에 대한 성서교수학적 성찰" 장로회신학대학교 38 (38): 431-456, 2010

      1 김태환, "피로사회" 문학과지성사 2012

      2 손삼권, "초기 카테케시스 체제의 과정과 변화" 9 : 219-265, 2000

      3 양승준, "청소년 신앙형성을 위한 입교교육과정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9 (39): 161-189, 2013

      4 정일웅, "종교개혁시대의 기독교 신앙의 가르침" 한국로고스연구원 1987

      5 강미랑, "정보화시대 속에서 기독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해석적 성경교육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9 (39): 77-110, 2013

      6 양금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I" 교육과학사 1996

      7 양금희,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I" 교육과학사 1996

      8 Schweitzer, Fr., "어린이와 함께 배우는 신앙의 세계" 대한기독교서회 2013

      9 양명수,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1994

      10 고원석, "신앙의 언어교육으로서 기독교교육 - 들음에 대한 성서교수학적 성찰" 장로회신학대학교 38 (38): 431-456, 2010

      11 Luther, M., "세계를 위한 목회자 루터: 루터선집 9" 컨콜디아사 375-409, 1983

      12 고원석, "성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동연 2010

      13 김효숙,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36): 395-421, 2013

      14 Migliore, D. L., "기독교조직신학개론" 새물결플러스 2004

      15 Luther, M., "교회를 위한 목회자 루터: 루터선집 8" 컨콜디아사 461-480, 1981

      16 Pöhlmann, H., "교의학" 한국신학연구소 1989

      17 이은경, "교육의 장으로서의 세례와 세례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6 (36): 293-318, 2013

      18 Janz, D., "Three reformation catechisms: Catholic, anabaptist, lutheran" Mellen 1982

      19 Luther, M., "Three reformation catechisms: Catholic, anabaptist, lutheran" Mellen 1982

      20 Green, Th., "The activities of teaching" McGraw-Hill 1971

      21 Tillich, P., "Systematic theology III" The University of Chicago 1963

      22 Wegenast, K., "Religionspädagogisches kompendium" V&R 327-380, 1997

      23 Gro, E., "Religionsdidaktik in grundregeln" Pustet 131-162, 1996

      24 이규민, "ISRAEL’S RELIGIOUS IDENTITY & INTEGRITY AND THEIR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9) : 39-56, 2014

      25 Lachmann, R., "Grundsymbole christilichen glaubens" V&R 1992

      26 Klafki, W., "Das pädagogische problem des elementaren und die theorie der kategorialen bildung" Julius Beltz 1959

      27 Halbfas, H., "Das dritte auge" Patmos 1982

      28 Fraas, H. J., "Art. “Katechismus”: I. Protestantische Kirche(Historisch)" 17 : 710-722, 1988

      29 Uhsadel, W., "Art. Religionspädagogik, RGG3, V, 1001-1002"

      30 Hubmaier, B., "A christian catechism. Janz, Denis(Ed.). Three reformation catechisms: Catholic, anabaptist, lutheran" Mellen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
      2014-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6-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7 1.10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