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각종 프로그램과 이벤트식 교육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교육의 위기와 침체된 한국 교회교육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연구하였다. 오늘날 교회교육은 교사의 일방적인 설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각종 프로그램과 이벤트식 교육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교육의 위기와 침체된 한국 교회교육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연구하였다. 오늘날 교회교육은 교사의 일방적인 설교...
본 논문은 각종 프로그램과 이벤트식 교육에 빠져 있는 한국 교회교육의 위기와 침체된 한국 교회교육의 상황을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연구하였다. 오늘날 교회교육은 교사의 일방적인 설교와 성경공부,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도 없는 프로그램과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을 하브루타 신앙공동체 교육에서 찾고자 한 것이다.
하브루타는 처음에 우정(friendship), 교우(companionship), 친구(friend) 등 토론하는 짝을 의미했으나 현대에서는 ‘두 명이 짝을 이루어 텍스트를 공부하는 행위’로 사용한다. 하브루타 교육방법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생각하고 사고하고 토론하며 진리의 보화를 발견해 나가는 기쁨을 얻는다. 그러나 하브루타를 하려면 먼저 하브루타와 그 구성요인 및 과정을 매우 익숙하게 잘 알아야 하고, 질문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하브루타는 상대방과 짝을 지어 주어진 텍스트를 읽고, 진술하고, 질문하고, 대답하고, 반박하며, 자기주장이 정당한지 논리적으로 설명하거나 논리적인 증거를 제시해야 하며, 새로운 증거에 대해 사실이나 진실이 아닌 것을 찾아내어 지적하면서 해결책을 찾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며 마무리 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하브루타의 성공여부는 질문생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하브루타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질문생성 전략은 6하 원칙에 따라, 질문카드를 사용한 질문의 틀에 따라, 9개의 질문유형에 따라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질문생성 전략을 통해 질문생성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되면 가정과 교회에서 성경으로 하브루타를 하여 자녀들에게 신앙을 전수하고 하나님의 말씀과 자녀들을 연결하여 말씀이 삶의 핵이 되도록 돕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 스스로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생각하고 사고하고 토론하며 보화를 발견하는 기쁨을 얻을 수 있는 하브루타와 그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둘째, 하브루타를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질문생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살펴보며 셋째, 질문생성을 통한 하브루타 교육방법을 신앙공동체인 가정과 교회교육에 적용하여 말씀에 근거한 신앙공동체를 굳건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tagnant Korean church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primarily on diverse programs and events, which proved fruitless in its endeavors. Currently, many the sermons and bible studies are practiced in a...
This article attempts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stagnant Korean church education system that focuses primarily on diverse programs and events, which proved fruitless in its endeavors. Currently, many the sermons and bible studies are practiced in a one-sided manner, with teachers mainly talking and giving lectures. Furthermore, the various programs and events which have been offered thus far frequently fail to bring forth the expected results. Hence, this article proposes Havruta as an alternative strategy that could meet the needs and interest of the participants and ultimately solidifies the faith community. Havruta, which used to mean “discussing partners”(i.e.
friendship, companionship, and friend), now signifies “studying texts with partners.” By using the Havruta method, participants read, think, and discuss God’s word with each other, through which they experience the joy of discovering the value of truth together. However, in order to practice Havruta, it is necessary to become accustomed to the elements and the processes of Havruta itself. The process of Havrut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옥, "학습자의 질문생성훈련이 정보이해와 개념구조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l28 (l28): 143-163, 2001
2 류태영, "천재를 만드는 유태인의 가정교육법" 국민일보 2010
3 Leeds, D., "질문의 7가지 힘" 더난출판사 2002
4 유화자, "이스라엘의 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25 : 329-365, 1999
5 전성수, "유대인 엄마처럼 격려 + 질문으로 답하라" 국민출판사 2014
6 Kouperminc, V., "유대인" 웅진지식하우스 2008
7 Solomon, V. M., "옷을 팔아 책을 사라" 아름다운 세상 2000
8 김남철, "신앙발달 이론으로 본 유대인의 신앙교육: 그 우수성은 무엇일까?" 국제문화 1998
9 안승대, "새로운 대화법 창출에 관한 연구 : 소크라테스, 프레이리, 원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5-51, 2008
10 전성수,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 질문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 교육의 기적" 위즈덤하우스 2012
1 이윤옥, "학습자의 질문생성훈련이 정보이해와 개념구조화 수준에 미치는 효과" l28 (l28): 143-163, 2001
2 류태영, "천재를 만드는 유태인의 가정교육법" 국민일보 2010
3 Leeds, D., "질문의 7가지 힘" 더난출판사 2002
4 유화자, "이스라엘의 교육방법에 관한 고찰" 25 : 329-365, 1999
5 전성수, "유대인 엄마처럼 격려 + 질문으로 답하라" 국민출판사 2014
6 Kouperminc, V., "유대인" 웅진지식하우스 2008
7 Solomon, V. M., "옷을 팔아 책을 사라" 아름다운 세상 2000
8 김남철, "신앙발달 이론으로 본 유대인의 신앙교육: 그 우수성은 무엇일까?" 국제문화 1998
9 안승대, "새로운 대화법 창출에 관한 연구 : 소크라테스, 프레이리, 원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5-51, 2008
10 전성수,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 질문하고 토론하는 하브루타 교육의 기적" 위즈덤하우스 2012
11 전성수, "노벨상 30%의 비밀. 유대인의 창의교육. 창의인제 양성교육법-하브루타, 교육방법 하나만 바꾸면 된다" 41 (41): 53-59, 2014
12 허정문, "꿈이 열리는 리쉬마 교육: 기독교교육과 유대인교육이 만나다" KIM 2015
13 김난예, "기독교 신앙행동의 측정과 분석" 충남대학교 2000
14 정선영, "국가수준 교육과정-국제 이스라엘 비교연구 Ⅱ" 교육부 2013
15 황기우, "교수방법으로서 예수님의 질문법 조명" 총신대학교 438-459, 2009
16 고용수, "공감과 소통의 공동체 형성과 기독교교육의 과제"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2) : 13-46, 2015
17 김난예, "공감과 공감결핍 치유를 위한 기독교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33 (33): 91-119, 2013
18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3191-bet-ha-midrash"
19 "http://www.cms.education.gov.il/EducationCMS/Units/Mazkirut_Pedagogit/OfekPedagogi /HinuchLe chashiva/"
20 Sherrill, L.,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The Macmillan Company 1954
21 Zuck R. B., "Teaching as Jesus taught" Baker Books 1996
22 "Jewish Encyclopedia" 2014
23 Price, J. M., "Jesus, the teacher (Sunday school leadership of the church study course, classification number: 232)" Southern Baptist Convention Press 1981
24 현용수, "IQ는 아버지, EQ는 어머니 몫이다" 국민일보사 1996
25 King, A.,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 Effect of teaching children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31 : 338-368, 1994
26 Pyle, J., "Find out anything from anyone, anytime: Secrets of calculated questioning from a veteran interrogator" The career press 2014
27 King, A., "Effect of guide cooperative questioning of children’s knowledge construction" 61 : 127-148, 1993
28 Kent, O.,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76 (76): 215-245, 2010
융의 종교심리학에 나타난 종교의 역할과 치유적 기능: 종교이해의 타당성과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아동 · 청소년 폭력에 대한 전체적-예방적 대응 방안 모색: 글록제 슐레(Glocksee-Schule)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개신교 성서문자주의를 넘어서: 기독교교육에서의 성서 읽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3-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14-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6-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06-06-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hristian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87 | 1.101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