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학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의미 고찰 및 국제 비교 = Study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n the Meaning of ‘Core Ideas’ in Mathematics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71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core ideas and to compare the core ideas in mathematics curriculum of each country. I derived that the core ideas were approached and presented in curriculums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core ideas and to compare the core ideas in mathematics curriculum of each country. I derived that the core ideas were approached and presented in curriculums of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Singapore as several perspectives; the main domains of mathematics contents which should be taught; the basis of the core principles between of mathematical contents; the focuse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Finally, I discussed the further research direction on the contents of core ideas and the methods of presenting it to teach meaningfully the core mathematical contents to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학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개념에 대한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핵심 개념의 의미를 고찰하고 국가별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개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교 수...

      본 연구는 수학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개념에 대한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핵심 개념의 의미를 고찰하고 국가별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개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학교 수학에서의 핵심 개념은 학교 수학에서 배워야 하는 수학의 주요 내용 영역, 수학 개념의 기저 및 내용 간의 핵심 원리, 교수‧학습의 초점 등의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으며, 우리나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의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을 위하여 수학과의 핵심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중장기 연구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핵심 개념의 제시 방식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2 한국과학창의재단, "통계 교육 활성화를위한 수학 굑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3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충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4 이희영,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7-38, 2016

      5 北原和夫, "일본 ‘과학기술의 지혜’프로젝트 수리과학전문부회보고서" 2011

      6 한국과학창의재단, "수학학습 내용요소 추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7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8"

      8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 인재상에 적합한수학학습 내용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9 이광우,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과학소양을 위한 단계별 기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경문사 2007

      2 한국과학창의재단, "통계 교육 활성화를위한 수학 굑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3 교육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충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1"

      4 이희영, "질적 메타분석을 통한 뉴스프레임의 유형 : 국내 117개 프레임 연구를 대상으로" 한국언론학회 60 (60): 7-38, 2016

      5 北原和夫, "일본 ‘과학기술의 지혜’프로젝트 수리과학전문부회보고서" 2011

      6 한국과학창의재단, "수학학습 내용요소 추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7 교육부,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8"

      8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 인재상에 적합한수학학습 내용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6

      9 이광우,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과학소양을 위한 단계별 기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11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제2015-74호 별책9"

      12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racked changed to F-10, Australian Curriculum" Australian Curriculum

      13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8 Mathematics"

      14 The Australian Associ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School mathematics for the 21st century. Discussion Paper"

      15 National Research Council, "On the Shoulders of Giants: New Approaches to Numeracy" National Academy Press 1990

      16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Number Sense and Numeration Grade 4 to 6, Vol. 1, The Big Ideas, A Guide to Effective Instruction in Mathematics, Kindergarten to Grade 6"

      17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Mathematics Syllabus Primary One to Five"

      18 Fey, J. T., "Mathematics Curriculum Issues,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Seventy-second Yearbook" NCTM 2010

      19 New Zealand Government, "Key mathematical ideas"

      20 Ritchhart, R., "Generative Topics: Building a Curriculum Around Big Ideas" 462-468, 1999

      21 NCSM Department of Education of Western Australia, "First Steps in Mathematics: Number-Book 1. Understand whole and decimal numbers;Understand fractional numbers" 2013

      22 Greenes, C. E.,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1999 Yearbook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NCTM 127-137, 1999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Number and Numeration for Teaching Mathematics in Prekindergarten-Grade 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0

      24 State of New Jersey Department of Education, "Curricular Framework for Mathematics"

      25 Charles, R. I., "Big Ideas and Understandings as the Founda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7 (7): 2005

      26 British Columbia Government, "Big Ideas"

      27 Board of Studies New South Wales Government, "Big Ideas"

      28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교육과정 개발 정책연구진 3차 합동 워크숍자료집(II)"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1.03 1.50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