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급사슬에서의 리스크 대응이 공급사슬통합과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2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급사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규명하고,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공급사슬통합의 필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 성숙도 제고가 기업경영성과 역시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스크 대응과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급사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유형,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과 논의를 충분히 검토하였고 최종적으로 6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124개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Smart PLS 2.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식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내부리스크대응, 외부리스크대응, 공급사슬리스크대응은 공급사슬통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내부리스크대응과 공급사슬리스크대응은 리스크관리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공급사슬통합과 리스크 관리 성숙도는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급사슬통합은 외부리스크대응 및 공급사슬리스크대응과 기업경영성과 사이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공급사슬에서의 리스크 대응,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 간의 전체적인 관계구조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리스크 대응과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급사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규명하고,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공급사슬통합의 필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 성숙도 제고가 기업경영성과 역시 제...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공급사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규명하고,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공급사슬통합의 필요성과 함께 리스크 관리 성숙도 제고가 기업경영성과 역시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리스크 대응과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 간의 관계구조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급사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유형,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과 논의를 충분히 검토하였고 최종적으로 6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국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124개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Smart PLS 2.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식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내부리스크대응, 외부리스크대응, 공급사슬리스크대응은 공급사슬통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내부리스크대응과 공급사슬리스크대응은 리스크관리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공급사슬통합과 리스크 관리 성숙도는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공급사슬통합은 외부리스크대응 및 공급사슬리스크대응과 기업경영성과 사이에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공급사슬에서의 리스크 대응, 공급사슬통합, 리스크 관리 성숙도, 기업경영성과 간의 전체적인 관계구조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기업들에게 리스크 대응과 관련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s that may occur in the supply chain, and to identify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risks, and that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by enhancing risk management 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risk response,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Methodology] This study has sufficientl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on the types of risks that can occur in the supply chain,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and finally derived six hypotheses. For the study, 124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manufacturer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path analysis method using Smart PLS 2.0.
      [Findings] Internal risk response, ex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integr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while in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risk response have a positive (+) effect on risk management maturity.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risk management matur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plays a role as a parameter between ex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risk response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Implication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overall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risk response in the supply chain,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isk response to Korean companies.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s that may occur in the supply chain, and to identify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risks, and that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by enhan...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risks that may occur in the supply chain, and to identify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risks, and that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can also be improved by enhancing risk management matu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risk response,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Methodology] This study has sufficientl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on the types of risks that can occur in the supply chain,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 and finally derived six hypotheses. For the study, 124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manufacturer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llected data were reviewed,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path analysis method using Smart PLS 2.0.
      [Findings] Internal risk response, ex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integra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while in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risk response have a positive (+) effect on risk management maturity.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risk management maturity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supply chain integration plays a role as a parameter between external risk response and supplier chain risk response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Implication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overall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risk response in the supply chain,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maturity, and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and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isk response to Korean compan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실증 분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설계
      • Ⅳ. 실증 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병준, "화주 중심의 능동적인 공급망 위험관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설계" 한국정보처리학회 18 (18): 151-158, 2011

      2 박양병,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불확실성 하 다수기간 재고품목 소매점 공급사슬의 리스크 분석" 한국SCM학회 11 (11): 95-104, 2011

      3 문종혁, "지속가능 공급사슬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연구방향" 1499-1506, 2010

      4 정락채, "제조기업과 유통업체의 정보공유와 SCM 협력업체파트너십의 상호작용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365-390, 2011

      5 김상오, "정보공유 선행요인, 정보공유, 리스크 정보공유가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18 (18): 117-146, 2007

      6 서영복, "전자제품 제조업체의 민첩성 제고가 공급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413-442, 2013

      7 이충배, "전기・전자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의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6 (26): 27-48, 2011

      8 이충배, "운송물류리스크 요인이 위험관리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35 (35): 197-219, 2020

      9 김성홍, "신제품개발과정에서 공급사슬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24 (24): 537-561, 2013

      10 강아롬, "신상품 개발과정에서 공급업체 R&D 역량과 내부통합이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22 (22): 469-494, 2011

      1 송병준, "화주 중심의 능동적인 공급망 위험관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설계" 한국정보처리학회 18 (18): 151-158, 2011

      2 박양병,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불확실성 하 다수기간 재고품목 소매점 공급사슬의 리스크 분석" 한국SCM학회 11 (11): 95-104, 2011

      3 문종혁, "지속가능 공급사슬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연구방향" 1499-1506, 2010

      4 정락채, "제조기업과 유통업체의 정보공유와 SCM 협력업체파트너십의 상호작용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6 (26): 365-390, 2011

      5 김상오, "정보공유 선행요인, 정보공유, 리스크 정보공유가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 18 (18): 117-146, 2007

      6 서영복, "전자제품 제조업체의 민첩성 제고가 공급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8 (28): 413-442, 2013

      7 이충배, "전기・전자기업의 글로벌 공급사슬의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26 (26): 27-48, 2011

      8 이충배, "운송물류리스크 요인이 위험관리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35 (35): 197-219, 2020

      9 김성홍, "신제품개발과정에서 공급사슬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24 (24): 537-561, 2013

      10 강아롬, "신상품 개발과정에서 공급업체 R&D 역량과 내부통합이 공급사슬 외부통합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22 (22): 469-494, 2011

      11 권재득, "기업의 회복탄력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5 (25): 1-24, 2017

      12 박준호, "기업의 정치적 연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환경동태성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경영학회 48 (48): 493-513, 2019

      13 김형석, "글로벌 공급사슬의 리스크 관리: 유전알고리즘 접근방법" 933-936, 2014

      14 정석모, "글로벌 공급사슬의 네트워크위험이 위험관리전략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상정보학회 22 (22): 325-348, 2020

      15 천세학, "글로벌 SCM에서의 위험관리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A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9 (29): 137-146, 2011

      16 박대현, "글로벌 SCM에서의 위험관리 프레임웍에 관한 연구" 1061-1065, 2007

      17 이인태, "공급사슬의 비전 및 목표공유가 공급사슬 가시성 확보를 통한 공급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5 (25): 23-40, 2017

      18 추봉성, "공급사슬의 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 연결중심성과 수급불균형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28 (28): 1-8, 2018

      19 남현정, "공급사슬위험에 관한 관계학습이 공급사슬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 (20): 201-211, 2020

      20 윤국, "공급사슬위험관리(SCRM)가 화주기업의 단기성과와 중⋅장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 25 (25): 39-54, 2015

      21 남현정, "공급사슬위험관리 구조와 문화가 공급사슬협력을 통해 공급사슬 강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17 (17): 165-176, 2017

      22 정장화, "공급사슬에서의 협업적 리스크관리의 최적화" 대한설비관리학회 08 (08): 10-130, 2003

      23 김동현, "공급사슬에서 기업의 리스크관리 성숙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8 (18): 21-35, 2017

      24 신창훈, "공급사슬상의 리스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0 (30): 67-71, 2006

      25 김은수, "공급사슬망에서의 리스크 분류체계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19 (19): 257-262, 2012

      26 김수욱, "공급사슬관리, Principles of Supply Chain Management: A Balanced Approach" 한경사 2007

      27 이충배, "공급사슬관리 리스크 요인이 위험관리전략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 36 (36): 55-74, 2020

      28 김형기, "공급사슬 통합요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 국제e-비즈니스학회 9 (9): 3-25, 2008

      29 권현복, "공급사슬 통합, 역량 및 성과간의 관계: 목재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3 (23): 111-129, 2015

      30 김동정, "공급사슬 위험평가 및 위험관리전략이 공급사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1 (21): 173-186, 2014

      31 이홍원, "공급사슬 리스크관리에 관한 고찰" 22 : 43-64, 2013

      32 송응석, "공급사슬 리스크 연구 동향과 이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생산관리학회 29 (29): 377-395, 2018

      33 김미형, "공급사슬 리스크 관리에 관한 연구 고찰" 1460-1465, 2008

      34 편제범, "공급사슬 리스크 관리 연구동향 분석: 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산업정보학회 23 (23): 125-138, 2018

      35 최정욱, "공급 사슬 운영에 있어서 위험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SCM학회 5 (5): 23-31, 2005

      36 Ponomarov, S. 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upply chain resilience" 20 (20): 124-143, 2009

      37 Krajewskis, L., "The value of production schedule integration in supply chains" 32 (32): 601-634, 2001

      38 Wieland, A., "The influence of relational competencies on supply chain resilience : A relational view" 43 (43): 300-320, 2013

      39 Flynn, B. B., "The impa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on performance : A contingency and configuration approach" 28 (28): 58-71, 2010

      40 Ayoub, H. F., "The effe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on technical innovation in Jordan :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24 (24): 594-616, 2017

      41 Armistead, C., "The Impact of Supply Chain Integration on Operating Performance" 6 (6): 9-14, 1993

      42 Singhal, P.,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review, classif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6 (6): 15-42, 2011

      43 Juttner, U.,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outlining an agenda for future research" 6 (6): 197-210, 2003

      44 Munir, M.,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The enabling role of supply chain integration" 227 : 107667-, 2020

      45 Chaudhuri, A., "Supply chain integration, risk management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38 (38): 690-712, 2018

      46 Shukor, A. A. A.,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its impact on supply chain agility and organizational flexibility in manufacturing firms" 2020

      47 Kannan, V. R., "Supply chain integration : cluster analysis of the impact of span of integration" 15 (15): 207-215, 2010

      48 Zsidisin, G. A., "Supply Chain Risk: A Handbook of Assessment, Management, and Performance" Springer 2010

      49 Waters, D,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in Logistics" The Chartered Institute of Logistics and Transport 2011

      50 Olson, D. L.,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Tools for Analysis" Business Expert Press 2011

      51 Barroso, A. P., "Supply Chain Resilience Using the Mapping Approach" INTECH Open Access Publisher 2011

      52 이학식, "SPSS New UI" 도서출판 집현재 2019

      53 김은정, "SCM 통합요인이 가시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15 (15): 59-72, 2010

      54 Wang, D., "Risk management of global supply chain" 1150-1155, 2007

      55 Christine, H., "Risk in supply networks" 9 : 51-62, 2003

      56 윤성준, "Principle component regression에 기반한 글로벌 공급사슬의 운영 리스크 예측 및 원천추론" 한국SCM학회 17 (17): 77-85, 2017

      57 Hair, J. F., "PLS 구조모델의 이해-BASIC-" 피앤씨미디어 2014

      58 Henseler, J., "New Challenges to International Marketing"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77-319, 2009

      59 Sodhi, M. S., "Management Supply Chain Risk" Springer 2012

      60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61 Kim, S. W., "Effects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integration and competition capability on performance" 11 (11): 241-248, 2006

      62 Wieland, A., "Dealing with supply chain risks : Linking risk management practices and strategies to performance" 42 (42): 887-905, 2012

      63 이완형,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유통물류산업의 비즈니스 환경변화와 리스크 극복 전략" 한국유통경영학회 23 (23): 81-95, 2020

      64 Christoper, M., "Building the supply chain" 15 (15): 1-14, 2004

      65 Chakravarthy, B. S., "Adaption : A promising metaphor for strategic management" 7 (7): 35-44, 1982

      66 Manhart, P., "A meta-analytic review of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 assessing buffering and bridging strategies and firm performance" 56 (56): 66-87, 2020

      67 Zsidisin, G. A., "A grounded definition of supply risk" 9 : 217-224, 2003

      68 김석태, "A Study on Effectiv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Conceptual Framework" 한국무역연구원 13 (13): 107-121,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