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동시에 나타난 근로기준법 인식 고찰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abor Standards Act in Labor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7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bor Standards Act specifically stipulates wages, working hours, safety, health, and disaster compensation. However workers are not properly protected because users often ignore or distort. It was not established and maintained at the level of social environment or corporate 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but the climate is still continuing. This paper examines such aspects through the beginnings of workers’ poet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The Labor Standards Act requires that wages be secured in that they are a resource that guarantees the basic life of workers, and thus the minimum limit of wages is set and the user is complied with. Working hours are also important for workers along with wages, and in order for workers to live a human life, they need to guarantee wages, but proper working hours should also be prepared. However, users lack awareness of wages and work hours are not properly maintained in the workplace. Workers are those who sell products called labor, so if they lose their health or suffer a disaster, they will have difficulty in survival. However, the user does not compensate properly to make up for the management loss caused by the worker and performs the dismiss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workers and strongly demand compens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The labor poetry examined in this paper desperately reflects this reality. Worker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are informing them of the wage problems, labor time problems, safety and health problems, and industrial accidents experienced in their workplaces. They are accusing workers of poor working environment. In a huge capitalist society, it is pursuing social solidarity as well as protecting the rights of workers who have labor force as the only means of sales.
      번역하기

      The Labor Standards Act specifically stipulates wages, working hours, safety, health, and disaster compensation. However workers are not properly protected because users often ignore or distort. It was not established and maintained at the level of so...

      The Labor Standards Act specifically stipulates wages, working hours, safety, health, and disaster compensation. However workers are not properly protected because users often ignore or distort. It was not established and maintained at the level of social environment or corporate ability during the Korean War, but the climate is still continuing. This paper examines such aspects through the beginnings of workers’ poet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The Labor Standards Act requires that wages be secured in that they are a resource that guarantees the basic life of workers, and thus the minimum limit of wages is set and the user is complied with. Working hours are also important for workers along with wages, and in order for workers to live a human life, they need to guarantee wages, but proper working hours should also be prepared. However, users lack awareness of wages and work hours are not properly maintained in the workplace. Workers are those who sell products called labor, so if they lose their health or suffer a disaster, they will have difficulty in survival. However, the user does not compensate properly to make up for the management loss caused by the worker and performs the dismiss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ty and health measures for workers and strongly demand compensation for industrial accidents.
      The labor poetry examined in this paper desperately reflects this reality. Workers such as Park No-hae, Baek mu-san, Yuk bong-su, Choi Myung-ja and Song Kyung-dong are informing them of the wage problems, labor time problems, safety and health problems, and industrial accidents experienced in their workplaces. They are accusing workers of poor working environment. In a huge capitalist society, it is pursuing social solidarity as well as protecting the rights of workers who have labor force as the only means of sa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53년 5월 10일 제정된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는 노동자의 임금, 노동 시간, 안전 및 보건, 재해 보상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무시하거나 왜곡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노동자들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사회적 환경이나 기업의 능력을 벗어난 수준에서 제정되는 바람에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데, 그 풍토가 아직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면을 박노해, 백무산, 육봉수, 최명자, 송경동 등의 노동자 시인들이 창작한 시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임금은 노동자의 생활을 보장하는 기본 자원이라는 점에서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근로기준법에는 임금의 최저한도를 정하여 사용자가 책임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동 시간 또한 노동자에게는 중요한 사항이다. 노동자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임금뿐만 아니라 적정한 노동 시간도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노동자는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판매하는 존재이므로 건강을 잃거나 재해를 입는 경우 삶의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인식이 부족해서 임금이 보장되지 않고, 노동 시간이 작업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해당 노동자로 인해 발생된 경영상의 손실을 만회하려고 재해를 보상하기는커녕 해고까지 단행한다. 노동자의 안전 및 보건 대책을 마련하고 산업재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노동시는 이와 같은 현실을 절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노동자 시인들은 자신의 작업장에서 체험한 임금 문제와 노동 시간 문제, 안전과 보건 문제, 산업재해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알리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력을 유일한 판매 수단으로 가지고 있는 노동자들이 자신의 권익을 지키는 것은 물론 사회적 연대까지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1953년 5월 10일 제정된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는 노동자의 임금, 노동 시간, 안전 및 보건, 재해 보상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무시하거나 왜곡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다반...

      1953년 5월 10일 제정된 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는 노동자의 임금, 노동 시간, 안전 및 보건, 재해 보상 등을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무시하거나 왜곡해서 적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여서 노동자들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전쟁 당시 사회적 환경이나 기업의 능력을 벗어난 수준에서 제정되는 바람에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는데, 그 풍토가 아직까지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와 같은 면을 박노해, 백무산, 육봉수, 최명자, 송경동 등의 노동자 시인들이 창작한 시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임금은 노동자의 생활을 보장하는 기본 자원이라는 점에서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리하여 근로기준법에는 임금의 최저한도를 정하여 사용자가 책임지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동 시간 또한 노동자에게는 중요한 사항이다. 노동자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임금뿐만 아니라 적정한 노동 시간도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노동자는 노동력이라는 상품을 판매하는 존재이므로 건강을 잃거나 재해를 입는 경우 삶의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인식이 부족해서 임금이 보장되지 않고, 노동 시간이 작업 현장에서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해당 노동자로 인해 발생된 경영상의 손실을 만회하려고 재해를 보상하기는커녕 해고까지 단행한다. 노동자의 안전 및 보건 대책을 마련하고 산업재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노동시는 이와 같은 현실을 절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노동자 시인들은 자신의 작업장에서 체험한 임금 문제와 노동 시간 문제, 안전과 보건 문제, 산업재해 문제 등을 구체적으로 알리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력을 유일한 판매 수단으로 가지고 있는 노동자들이 자신의 권익을 지키는 것은 물론 사회적 연대까지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민, "현단계 한국 노동운동의 과제" 도서출판 죽산 1988

      2 홍두승, "한국 사회 5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3 이 건, "한국 사회 5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4 맹문재, "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 모아드림 2002

      5 조영래, "전태일평전" 돌베개 2006

      6 최명자, "우리들 소원" 풀빛 1985

      7 선한승, "오늘의 한국 사회" 사회비평사 1995

      8 이장영, "오늘의 한국 사회" 사회비평사 1995

      9 "산업안전보건법"

      10 박현채, "문학과 경제" 4 : 1983

      1 이영민, "현단계 한국 노동운동의 과제" 도서출판 죽산 1988

      2 홍두승, "한국 사회 5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3 이 건, "한국 사회 5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4 맹문재, "패스카드 시대의 휴머니즘 시" 모아드림 2002

      5 조영래, "전태일평전" 돌베개 2006

      6 최명자, "우리들 소원" 풀빛 1985

      7 선한승, "오늘의 한국 사회" 사회비평사 1995

      8 이장영, "오늘의 한국 사회" 사회비평사 1995

      9 "산업안전보건법"

      10 박현채, "문학과 경제" 4 : 1983

      11 백무산, "만국의 노동자여" 청사 1988

      12 노동조합사전 간행위원회, "노동조합사전 제4편- 노동자의 상태와 제요구" 형성사 1985

      13 박노해, "노동의 새벽" 풀빛 1984

      14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1996

      15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문학과지성사 1978

      16 송경동, "꿀잠" 삶이보이는 창 2006

      17 정인화, "깡다구 동지들아 전진이다" 세계 1989

      18 "근로기준법"

      19 육봉수, "근로기준법" 삶이보이는창 2002

      20 김경수, "1970년대 노동수기와 근로기준법" 우리말글학회 (77) : 215-244,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