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古代日本의 荷札 = 古代日本の荷札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95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하찰목간을 통해 알 수 있는 일본 고대의 物流 상황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축으로 소개·검토하여, 한국에서도 다수 출토되고 있는 하찰목간의 분석방법과 그 성격, 이용방법에 관한 연구를 한일 양국에서 공유하고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하찰목간을 통해 在地社會에서의 물류 상황를 검토하였다. 安芸國分寺 출토 하찰목간에서 國分寺의 경영 실태 등을 大宰府 출토 목간에서 大宰府 주변 물자의 움직임과 하찰목간의 양상 등을 밝혔다. 이것은 하찰목간을 樹種과 가공방법 그리고 書風을 아울러 검토한 결과로 도출된 물류의 구체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성출토 하찰을 검토하였다. 하찰의 작성주체를 둘러싼 논의와 하찰의 기능론 등, 도성출토 하찰의 선행연구를 정리함으로서 몇 가지 사견을 제시하였다.
      첫째, 하찰목간 중에서도 특히 강한 지역적 특색을 가진 ?岐國 하찰목간이 天平연간에 그 양상이 크게 전환되는 것을 지적하였고, 이러한 양상이 재지 사회와 그 지배방법의 변화와 대응할 기능성을 지적하였다.
      둘째, 同文荷札(묵서 내용이 동일한 하찰이 複數 발견된 예)의 분석에서 하찰목간의 제작상황 및 荷物에 대한 장착상황을 복원하여, 목간이 작성된 장소와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동문하찰은 어느 한쪽을 하물 속에 봉입하여, 바깥의 하찰이 떨어져 없어지거나 바꿔 달릴 우려를 없애려고 사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셋째, 부찰목간과 하찰목간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서 하찰목간이 부착되어 도성까지 운반되어 온 물품에 새로운 부찰이 제작되어 장착된 경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부찰들이 聖武天皇·光明皇后 夫妻의 신변에서 이용되었던 것도 확인하였다.
      넷째, 하찰에서 복원된 일본고대의 소금 생산·수탈·유통 등 여러 가지 모습들을 검토하였다. 문헌사료 등에서 알 수 있는 고대 소금의 상황, 유적에서 알 수 있는 소금 생산의 상황, 하찰목간에서 알 수 있는 소금의 소비기한과 하찰목간의 형태와 장착방법, 또한 목간출토 유적의 양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若狹國에서는 보존용의 固形?(덩어리 소금), 周防國에서는 소 비용 散狀?(가루 소금)이 납입되었고, 이러한 소금들은 생산방법을 포함해 국가적인 규제 아래 대량생산되었다는 것, 또 이렇게 공납된 소금 이외에 제염 토기에 채워져 도성주변에서 유통하는 소금도 존재하였던 것 등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하여 하찰목간의 기능·성격과 물자의 공납·운송시에 수행했던 역할을 분석하였다. 調荷札은 「帳簿의 分身」이라는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고, 장부라는 데이터와 실제 물품 내용을 결부시키고 整合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贄하찰에 대한 분석에서는 「進上狀」이라 불리는 문서로 다루어지는 목간과 대단히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물자를 수송할 때의 구두 연락과 물자에 대한 부찰의 장착이라는 원초적인 모습이 율령제적으로 전개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하찰목간을 통해 알 수 있는 일본 고대의 物流 상황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축으로 소개·검토하여, 한국에서도 다수 출토되고 있는 하찰목간의 분석방법과 그 성격, 이용방법에 관�...

      본고는 하찰목간을 통해 알 수 있는 일본 고대의 物流 상황에 대해 몇 가지 사례를 축으로 소개·검토하여, 한국에서도 다수 출토되고 있는 하찰목간의 분석방법과 그 성격, 이용방법에 관한 연구를 한일 양국에서 공유하고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하찰목간을 통해 在地社會에서의 물류 상황를 검토하였다. 安芸國分寺 출토 하찰목간에서 國分寺의 경영 실태 등을 大宰府 출토 목간에서 大宰府 주변 물자의 움직임과 하찰목간의 양상 등을 밝혔다. 이것은 하찰목간을 樹種과 가공방법 그리고 書風을 아울러 검토한 결과로 도출된 물류의 구체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성출토 하찰을 검토하였다. 하찰의 작성주체를 둘러싼 논의와 하찰의 기능론 등, 도성출토 하찰의 선행연구를 정리함으로서 몇 가지 사견을 제시하였다.
      첫째, 하찰목간 중에서도 특히 강한 지역적 특색을 가진 ?岐國 하찰목간이 天平연간에 그 양상이 크게 전환되는 것을 지적하였고, 이러한 양상이 재지 사회와 그 지배방법의 변화와 대응할 기능성을 지적하였다.
      둘째, 同文荷札(묵서 내용이 동일한 하찰이 複數 발견된 예)의 분석에서 하찰목간의 제작상황 및 荷物에 대한 장착상황을 복원하여, 목간이 작성된 장소와 기능에 대해 검토하였다. 동문하찰은 어느 한쪽을 하물 속에 봉입하여, 바깥의 하찰이 떨어져 없어지거나 바꿔 달릴 우려를 없애려고 사용하였다고 생각된다.
      셋째, 부찰목간과 하찰목간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서 하찰목간이 부착되어 도성까지 운반되어 온 물품에 새로운 부찰이 제작되어 장착된 경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부찰들이 聖武天皇·光明皇后 夫妻의 신변에서 이용되었던 것도 확인하였다.
      넷째, 하찰에서 복원된 일본고대의 소금 생산·수탈·유통 등 여러 가지 모습들을 검토하였다. 문헌사료 등에서 알 수 있는 고대 소금의 상황, 유적에서 알 수 있는 소금 생산의 상황, 하찰목간에서 알 수 있는 소금의 소비기한과 하찰목간의 형태와 장착방법, 또한 목간출토 유적의 양상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若狹國에서는 보존용의 固形?(덩어리 소금), 周防國에서는 소 비용 散狀?(가루 소금)이 납입되었고, 이러한 소금들은 생산방법을 포함해 국가적인 규제 아래 대량생산되었다는 것, 또 이렇게 공납된 소금 이외에 제염 토기에 채워져 도성주변에서 유통하는 소금도 존재하였던 것 등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근거로 하여 하찰목간의 기능·성격과 물자의 공납·운송시에 수행했던 역할을 분석하였다. 調荷札은 「帳簿의 分身」이라는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고, 장부라는 데이터와 실제 물품 내용을 결부시키고 整合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贄하찰에 대한 분석에서는 「進上狀」이라 불리는 문서로 다루어지는 목간과 대단히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물자를 수송할 때의 구두 연락과 물자에 대한 부찰의 장착이라는 원초적인 모습이 율령제적으로 전개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荷札木簡과 日本古代 律令支配의 모습
      • Ⅲ. 在地社會에서의 物流와 荷札
      • Ⅳ. 都鄙의 物流와 荷札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Ⅱ. 荷札木簡과 日本古代 律令支配의 모습
      • Ⅲ. 在地社會에서의 物流와 荷札
      • Ⅳ. 都鄙의 物流와 荷札
      • Ⅴ. 近年의 荷札木簡 硏究
      • Ⅵ. 소금의 流通과 荷札木簡
      • Ⅶ. 荷札의 짝, 帳簿와 進上狀
      • Ⅷ. 맺으며
      • 참고문헌
      • <日本要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