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화에서 화자의 언어의향 반영과 응용에 대한 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78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언어의향이 발화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화행론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화행에는 화자의 커뮤니케이션 의향뿐만 아니라, 정보적 의향의 의미를 담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 발화시 화자의 언어의향이 현실적인 언어상황을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썰의 화행모델을 연구에 활용해 본 결과, 발화 유형과 내용에는 많은 언어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화자의 언어의향은 ‘발화내용(СВ: Содержание Высказывания)=f (p₁, p₂, p₃ ... pn)’이란 화행모델의 f 에서 실현되며, 또한 p₁, p₂, p₃ ... pn 의 개개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등가적이며, 개개 발화형태들이 화행모델의 실현에 공헌한다는 사실을 발견 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언어의향의 개념과 종류를 문법적 의미와 구조형태, 커뮤니케이션구조, 발화의 의미와 구조, 발화의 동기 및 텍스트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구체화하였다. 화자의 언어의향 개념은 문장이나 발화의 구성에서 동기화된 힘으로써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화의 동기는 정보내용이나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관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화자의 언어의향 응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언급 하면서 언어의향이 문법적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화행모델에 접목시키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과 의미상의 구조에서 의미요소의 한정적 외형을 규정함으로 인하여 ‘발화내용(СВ: Содержание Высказывания)=f (p₁ , p₂, p₃ ... pn)’에 모든 언어의향을 담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또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화자의 언어의향 의도를 논리적 의미기능으로 분리하여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발화를 객관화해 봄으로써 유사어의 대용이나 질문을 통하여 언어의향의 이해를 도모하였다.
      본고의 궁극적인 목표는 러시아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 함양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되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화자의 언어의향 표현 방법이 실제적인 언어실습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지만, 언어의향의 화행모델에서 얼마나 실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광의의 연구과제로 남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언어의향이 발화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화행론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화행에는 화자의 커뮤니케이션 의향뿐만 아니라, 정보적 의향의 의미를 담...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언어의향이 발화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 화행론적 관점으로 접근해 보았다. 화행에는 화자의 커뮤니케이션 의향뿐만 아니라, 정보적 의향의 의미를 담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구조에서 발화시 화자의 언어의향이 현실적인 언어상황을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썰의 화행모델을 연구에 활용해 본 결과, 발화 유형과 내용에는 많은 언어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화자의 언어의향은 ‘발화내용(СВ: Содержание Высказывания)=f (p₁, p₂, p₃ ... pn)’이란 화행모델의 f 에서 실현되며, 또한 p₁, p₂, p₃ ... pn 의 개개 요소들이 기능적으로 등가적이며, 개개 발화형태들이 화행모델의 실현에 공헌한다는 사실을 발견 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화자의 언어의향의 개념과 종류를 문법적 의미와 구조형태, 커뮤니케이션구조, 발화의 의미와 구조, 발화의 동기 및 텍스트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구체화하였다. 화자의 언어의향 개념은 문장이나 발화의 구성에서 동기화된 힘으로써 매우 폭넓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화의 동기는 정보내용이나 커뮤니케이션 목표와 관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화자의 언어의향 응용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언급 하면서 언어의향이 문법적인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화행모델에 접목시키기 위한 정확한 기준이 부족하다는 것과 의미상의 구조에서 의미요소의 한정적 외형을 규정함으로 인하여 ‘발화내용(СВ: Содержание Высказывания)=f (p₁ , p₂, p₃ ... pn)’에 모든 언어의향을 담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또한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화자의 언어의향 의도를 논리적 의미기능으로 분리하여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발화를 객관화해 봄으로써 유사어의 대용이나 질문을 통하여 언어의향의 이해를 도모하였다.
      본고의 궁극적인 목표는 러시아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 함양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되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화자의 언어의향 표현 방법이 실제적인 언어실습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았지만, 언어의향의 화행모델에서 얼마나 실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광의의 연구과제로 남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언어의향의 개념과 종류
      • Ⅲ. 언어의향의 응용시 발생하는 문제
      • Ⅳ. 발화에 응용되는 다양한 언어의향의 문법적 구조와 특징분석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언어의향의 개념과 종류
      • Ⅲ. 언어의향의 응용시 발생하는 문제
      • Ⅳ. 발화에 응용되는 다양한 언어의향의 문법적 구조와 특징분석
      • V. 결론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ötz Hindelang, "화행론 입문" 서울 : 한국문화사 1999

      2 이정민, "언어학 사전" 1993

      3 정은상, "러시아어의 구체적 정보발화 형태의 구조와 유형" 한국 언어과학회 9 (9): 103-130, 2002

      4 이남경, "러시아어 의문문의 대화 기능 연구: 질문을 가장한 간접화행" 한국슬라브어학회 11 : 255-274, 2006

      5 Серль, Дж. Р., "“Классификация иллокутивных актов.”" 1986

      6 Прияткина, А.Ф, "Что такое хорошая речь" Владивосток. Изд. ДВГУ 1999

      7 Вятютнев, М.Н, "Теория учебн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как иностранного" 1984

      8 Арутюнова, Н.Д., "Русское предложение. Бытийный тип" 1983

      9 Березова, А.В, "Программа практического курса рус.яз.(включенный тип обучения студентов -иностранцев)" 1989

      10 Володина, Г.И, "Принципы построения практического курс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для учащихся-иностранцев на продвинутом этапе" 1969

      1 Götz Hindelang, "화행론 입문" 서울 : 한국문화사 1999

      2 이정민, "언어학 사전" 1993

      3 정은상, "러시아어의 구체적 정보발화 형태의 구조와 유형" 한국 언어과학회 9 (9): 103-130, 2002

      4 이남경, "러시아어 의문문의 대화 기능 연구: 질문을 가장한 간접화행" 한국슬라브어학회 11 : 255-274, 2006

      5 Серль, Дж. Р., "“Классификация иллокутивных актов.”" 1986

      6 Прияткина, А.Ф, "Что такое хорошая речь" Владивосток. Изд. ДВГУ 1999

      7 Вятютнев, М.Н, "Теория учебник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как иностранного" 1984

      8 Арутюнова, Н.Д., "Русское предложение. Бытийный тип" 1983

      9 Березова, А.В, "Программа практического курса рус.яз.(включенный тип обучения студентов -иностранцев)" 1989

      10 Володина, Г.И, "Принципы построения практического курса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для учащихся-иностранцев на продвинутом этапе" 1969

      11 Арутюнова, Н.Д, "Предложение и его смысл" 1976

      12 Всеволодова, М.В, "Практикум по курсу: функционально-коммуникативныйсинтаксис" М.: Филфак. МГУ 1995

      13 Лихачев, Д.С, "Письма о добром и прекрасном" 1989

      14 Золотова, Г.И, "Коммуникативные аспекты русского синтаксиса" 1982

      15 Прияткина, А.Ф, "Коммуникативное варьирование высказываний в русском языке(на примере конкретно-инормативного типа)"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 : 465-477, 1999

      16 Гак, В.Г, "Высказывания и ситуация" 1973

      17 James E. Brown, "Informational Types of Expressions" Lanham ?E New York ?E London, University press of America, Inc.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