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元은 福建省 중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는 15만 명 정도 된다. 동쪽으로는 梅列과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永安市와 근접하며, 남쪽으로는 大田縣, 북쪽으로는 明溪縣과 마주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7552
-
2016년
Korean
래모자 ; sanyuan dialect ; 來consonant ; change of pronunciation ; 삼원방언 ; 어음변화 ; 성모/ʃ/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三元은 福建省 중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는 15만 명 정도 된다. 동쪽으로는 梅列과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永安市와 근접하며, 남쪽으로는 大田縣, 북쪽으로는 明溪縣과 마주하고 있...
三元은 福建省 중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인구는 15만 명 정도 된다. 동쪽으로는 梅列과 인접하고 서쪽으로는 永安市와 근접하며, 남쪽으로는 大田縣, 북쪽으로는 明溪縣과 마주하고 있다. 지역의 언어는 閩中 방언에 속하며, 永安, 沙縣, 梅列 등지에서 소통이 가능하다. 성모가 17가지, 운모가 37가지이며, 성조는 모두 6가지로 나눈다. 본 논문이 삼원 방언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來母字의 독음에 /ʃ/, /s/ 등 두 가지 마찰음이 있으며, 이는 다른 방언과는 다른 어음 현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보통 다른 방언에서는 來母字를 /ʃ/ 혹은 /s/로 한 가지 마찰음으로 읽기 때문이다.
먼저 來母字의 독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里: 白ti21 露: 白sɑu33
聾: 白sã41 螺: 白ʃyɛ41
卵: 白ʃyɛ353 笠: 白ʃia353, ʃyɛ353
力: 白ʃia353 鱗: 白 ʃiaiŋ41
烈: 白 kiɒ213 曆壢: 白kiɒ353
사실 三元 방언에서 來母字의 성모는 文讀音처럼 대다수가 /l/이다. 來母字 /t/로 변한 현상은 客赣方言의 어음 현상이다. 介音 혹은 元音이 /i/인 來母字를 /t/, /d/로 읽는다. 客赣方言의 영향을 받아 생겨난 어음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來母字를 /k/성모로 읽는 현상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여, 다음 과제로 남겨두기로 하겠다.
필자는 위에서 보이는 현상 중에서 來母字를 마찰음 /ʃ/, /s/로 읽는 현상에 관심을 두고 논문을 전개하고자 한다. 민어 중에서 來母字의 일부는 /ʃ/ 또는 /s/로 읽힌다. 建甌나 建陽 방언에서 來母字를 /t/로 읽는 현상이 같이 보인다. 그러나 기타 민어 방언에서 일반적인 상황은 마찰음인 /ʃ/, /s/ 중 한 음만 일부 來母字에 나타나는데, 삼원 방언에서는 동시에 來母字를 /ʃ/와 /s/로 읽는 현상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해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런 현상은 중국학자들이 말하는 상고음 현상인가? 아니면 그 이후에 발생한 어음 현상인가?
학자들은 來母字를 /ʃ/, /s/성모로 읽는 현상에 대해 일률적으로 상고음 현상으로 간주한다. 전체적인 어음 계통을 관찰하지 않은 결과이다. 본 논문은 삼원 방언에서 來母字를 /ʃ/성모로 읽는 현상은 상고음 현상이 아님을 밝히고 어떤 어음 변화 과정을 거치었는지와 /ʃ/와 /s/의 어음 층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三元 is located in north west of Fujian. the population is about 150.000. Far east near 永安市, the south face to 大田縣, the north face to 明溪縣. Local languages are concerned and dialects 閩中, communication is available in countries ...
三元 is located in north west of Fujian. the population is about 150.000. Far east near 永安市, the south face to 大田縣, the north face to 明溪縣. Local languages are concerned and dialects 閩中, communication is available in countries like 梅列,永安, 沙縣. Consonants have 17, vowels have 37 , and intonations are all divided by six. I selected Samwon dialect as research of this paper, because 來母字 /ʃ/ ,/s/ can not be finded in another diarects.
First, reading of the 來母字 as follows :
里: 白ti21 露: 白sɑu33
聾: 白sã41 螺: 白ʃyɛ41
卵: 白ʃyɛ353 笠: 白ʃia353, ʃyɛ353
力: 白ʃia353 鱗: 白 ʃiaiŋ41
烈: 白 kiɒ213 曆壢: 白kiɒ353
In fact, 來母字’s consonant mostly is /l/ like 文讀音 in 三元 dialect. 來母字 changed to /t/,this phenomenon can be finded in 客赣 dialect. 來母字 reading by /t/ or /d/is infront of 介音 or 元音/i/.
This paper is interested in 來母字 /ʃ/ ,/s/ . some of 來母字 is readed by /ʃ/ or /s/ in Min dialect. but in samwon dialect, two consonant /ʃ/ or /s/ appear same time. In this paper is to find an answer on this matter. This phenomenon is considered old Chinese by Chinese scholars, but this phenomenon is not occurred in old age.
The scholars considered that 來母字 /ʃ/, /s/ to be old age conso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