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 Flood Runoff Analysis using Radar Rainfall and Vflo Model for Namgang Dam Watersh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394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국지성 돌발 홍수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레이더 등을 이용한 초단기 강수예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공간 분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레이더...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국지성 돌발 홍수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레이더 등을 이용한 초단기 강수예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공간 분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레이더 강우시계열자료와 GIS기반의 분포형모형을 연계하여 국내 댐유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분포형모형의 홍수유출시 실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해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모형으로는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에서 개발한 Vflo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낙동강권역의 남강댐유역(2,293㎢)을 시험유역으로 적용하였다. 입력강우로는 진도레이더로 부터 레이더강우 전처리 프로그램인 K-RainVieux를 이용하여 모형의 격자해상도에 맞는 분포형 강우를 생성하였다. 또한, GIS수문매개변수를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들로 부터 추출,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모형(Vflo)의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모형의 초기설정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돌발홍수에 대응한 실시간 단기 강우유출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 using radar is required for regional flash floo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which can express temporal and s...

      Recently,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 using radar is required for regional flash floo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which can express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in actual dam watershed during flood runoff period. Vflo model which was developed Oklahoma university was used as physical based distributed model, and Namgang dam watershed (2,293㎢) was applied as study site. Distributed rainfall according to grid resolution was generated by using K-RainVieux, preprocess program of radar rainfall, from JIN radar. Also, GIS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basic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and used as input data of distributed model(Vflo).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provide a base for building of real-time short-term rainfall runoff forecast system according to flash flood in near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대댐회 홈페이지" 2006

      2 "레이더 강수를 이용한 단기강수 및 유출예측시스템 개발 3차년도" 1-194, 2006

      3 "도시유역에서의 레이더강수 추정" 53 (53): 33-45, 2005

      4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9 (9): 171-182, 2006

      5 "VfloTM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성 평가" 26 (26): 614-615, 2006

      6 "Vflo: a real-tim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2002

      7 "Quality assessment for drainage networks and watershed boundaries extraction from a Digital Elevation Model(DEM)" 89-94, 2000

      8 "Evaluation of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for flood forecasting" 298 : 154-155, 2004

      9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Second Edition" Kk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2004

      10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Kkuwer Academic Publishers 38 : 293-, 2001

      1 "한국대댐회 홈페이지" 2006

      2 "레이더 강수를 이용한 단기강수 및 유출예측시스템 개발 3차년도" 1-194, 2006

      3 "도시유역에서의 레이더강수 추정" 53 (53): 33-45, 2005

      4 "댐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GIS기반의 분포형모형과 집중형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9 (9): 171-182, 2006

      5 "VfloTM모형을 이용한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정확성 평가" 26 (26): 614-615, 2006

      6 "Vflo: a real-tim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2002

      7 "Quality assessment for drainage networks and watershed boundaries extraction from a Digital Elevation Model(DEM)" 89-94, 2000

      8 "Evaluation of a physics-base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for flood forecasting" 298 : 154-155, 2004

      9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Second Edition" Kk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therlands 2004

      10 "Distributed Hydrologic Modeling Using GIS" Kkuwer Academic Publishers 38 : 29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