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80378
백현순 (한국체육대학교)
2016
Korean
단군 신화 ; 한국춤 ; 사상 ; 민족 사상 ; Dangun Myth ; Korean dance ; thought ; Korean thought.
KCI등재
학술저널
101-13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임스 조지 프레이, "황금가지1" 을유문화사 2005
2 정영훈, "홍익인간 사상과 한국문화" 한민족학회 (8) : 2009
3 장기근, "한민족의 건국이념과 존엄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5 : 159-192, 2004
4 김일환, "한민족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류와 창조적 계승방안" 동양문화연구원 13 : 170-204, 2013
5 김용복, "한국춤의 철학적 기반 -단군신화의 사유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105-122, 2011
6 백현순, "한국춤과 천지인(天地人) 합일의 몸짓의미" 한국무용연구학회 33 (33): 105-134, 2015
7 김용복, "한국춤 미학의 단초"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49-64, 2014
8 최민자, "한국정치사상사" 백산서당 2005
9 정영훈, "한국인의 정체성과 홍익인간이념" 고조선단군학회 6 : 145-170, 2002
10 이어령, "한국인의 신화" 서문당 1996
1 제임스 조지 프레이, "황금가지1" 을유문화사 2005
2 정영훈, "홍익인간 사상과 한국문화" 한민족학회 (8) : 2009
3 장기근, "한민족의 건국이념과 존엄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5 : 159-192, 2004
4 김일환, "한민족 전통문화의 사상적 원류와 창조적 계승방안" 동양문화연구원 13 : 170-204, 2013
5 김용복, "한국춤의 철학적 기반 -단군신화의 사유체계를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105-122, 2011
6 백현순, "한국춤과 천지인(天地人) 합일의 몸짓의미" 한국무용연구학회 33 (33): 105-134, 2015
7 김용복, "한국춤 미학의 단초" 한국무용연구학회 32 (32): 49-64, 2014
8 최민자, "한국정치사상사" 백산서당 2005
9 정영훈, "한국인의 정체성과 홍익인간이념" 고조선단군학회 6 : 145-170, 2002
10 이어령, "한국인의 신화" 서문당 1996
11 유동식, "한국무속의 종합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1
12 황경숙, "한국 전통춤에 내재된 사상과 의미" 한국체육철학회 10 (10): 289-310, 2002
13 양근석, "한국 사상의 원형과 전개" 이경 2008
14 이을호, "한국 사상의 심층 연구" 우주 1986
15 유승국, "한국 사상과 현대" 동방학술연구원 1988
16 황수영,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단군 신화와 풍류도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17 허창무, "한국 고유 사상․문화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18 김양동, "한국 고대 예술 원형징 탐구 방법 시론:제천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11 : 2000
19 이선행, "한국 고대 건국신화의 역철학적 해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20 이미영, "한국 개화기 춤의 사상" 한국무용예술학회 7 : 2001
21 "토테미즘" 두산백과
22 강미리, "천부경의 한사상으로 시도해 본 우리춤의 새로운 깊이와 넓이:창작춤 <묘>, <본>, <근> 그리고 <류>의 구성 원리" 한국무용연구학회 17 : 1999
23 민영현, "천부경연구" 한배달 1994
24 고회민, "주역 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5
25 김재휘, "조선조 정치사상과 한국 원형사상( 천부경 ):반계를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9 : 1994
26 Malinowski, B, "원시 신화론" 민속원 1996
27 박시인, "알타이 신화" 삼중당 1980
28 유순영, "신화는 끝나지 않았다" 답게 1997
29 "신화" 다음 국어사전
30 이화진, "살풀이춤과 음양오행 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학회 25 (25): 2007
31 장미진, "무속과 한국 미학의 단초" 한국미학예술학회 15 : 7-30, 2002
32 이화형, "단군신화의 주체의식 검토" 우리어문학회 47 : 125-150, 2013
33 이강오, "단군신앙의 실태분석" 정신문화연구소 (32) : 1987
34 홍성암, "단군사상의 재조명:단군 신화와 한민족의 문학정신" 한민족문화학회 3 : 1998
35 권오영, "단군 신화, 어떻게 봐야 하나" 역사문제연구소 21 : 1992
36 이화진, "노장(老莊)의 미학사상에서 보는 한국춤의 심미관조(審美觀照) 고찰" 대한무용학회 71 (71): 117-136, 2013
37 백현순, "날뫼북춤의 철학적 의미 고찰"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1-22, 2011
38 안호상, "고대한국사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5 (5): 1962
39 고조선, "紀異, 삼국유사 권1"
40 최영선, "『중용』의 "천" 사상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41 정호완, "‘고맙다’의 문화기호론" 국학연구원 8 : 150-168, 2010
42 Weigel, James, "Cliffs Notes on Mythology" Wiley Publishing, Inc 1973
미국 무용교육 표준을 위한 라반 움직임 분석의 활용-무용 문화 지식 및 기술적 활용을 중심으로-
당신이 절대 방문할 수 없을 곳들-RIMPA 400주년을 축하하는 프로젝션 맵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우리춤연구 -> 우리춤과 과학기술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양우리춤연구소 -> 우리춤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HanYang Univ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