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okmongyogyol is not only a textbook intend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scholarly world, but also a text the principles of which Yulgok followed throughout his life. The social obligation of sonbi(士) as pronounced in the work, the proper rel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yokmongyogyol is not only a textbook intend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scholarly world, but also a text the principles of which Yulgok followed throughout his life. The social obligation of sonbi(士) as pronounced in the work, the proper rela...
Kyokmongyogyol is not only a textbook intended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scholarly world, but also a text the principles of which Yulgok followed
throughout his life. The social obligation of sonbi(士) as pronounced in the
work, the proper relation to parents and siblings, the moral of envisaging
and accepting poverty instead of evading it, and being righteous even when
totally alone are among items which are proclaimed and followed by Yulgok
himself. His goal was, of course, to develop and enlighten himself to the
perfection, that is, to the level of a sage.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의 명유(名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저술 『격몽요결 (擊蒙要訣)』의 핵심 사상을 검토하고 그것을 율곡의 삶과 연관지워 본 것이다. 즉 율곡의 이 저서는 초학(初學)들을...
이 논문은 조선의 명유(名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저술 『격몽요결
(擊蒙要訣)』의 핵심 사상을 검토하고 그것을 율곡의 삶과 연관지워 본
것이다. 즉 율곡의 이 저서는 초학(初學)들을 가르치기 위한 자료였을 뿐
아니라 그가 평생 실천하려한 텍스트였으며, 그의 삶이 여실히 반영된
텍스트였다는 관점을 이 논문은 담고 있다. 율곡은 『격몽요결』에 표현
한 자신의 생각을 실천했다. 율곡은 선비의 일은 나가서는 세상을 위해
서 일하고 들어가서는 남을 가르치는 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는
이를 실천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형제는 부모와 한 몸을 나눈 사이이
며 함께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마침내 이를 실천했다. 그는 군자는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떳떳해야 한다고 가르쳤는데(處幽如顯, 處獨如
衆), 스스로 이를 실천했다. 또 군자는 도道를 염려하지 가난을 염려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는 이를 실천했다. 그는 학문하는 이는 “모름지기 뜻
을 세우되 반드시 성인처럼 되기를 스스로 기약해야 한다(初學先須立志,
必以聖人自期)”고 가르쳤는데 그 자신은 어떠했을까? 필자의 견해는 율
곡 스스로가 자신의 가르침을 실천했다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栗谷全書" 대동문화연구원 1971
2 "중용장구"
3 "주역"
4 이동인, "이율곡의 <격몽요결> 읽기" 세창미디어 2013
5 황의동, "이율곡 읽기" 세창미디어 2013
6 이종성, "율곡학과 한국유학" 예문서원 2007
7 금장태, "율곡평전: 나라를 걱정한 철인" 지식과교양 2011
8 이동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백산서당 2002
9 "맹자"
10 "대학"
1 "栗谷全書" 대동문화연구원 1971
2 "중용장구"
3 "주역"
4 이동인, "이율곡의 <격몽요결> 읽기" 세창미디어 2013
5 황의동, "이율곡 읽기" 세창미디어 2013
6 이종성, "율곡학과 한국유학" 예문서원 2007
7 금장태, "율곡평전: 나라를 걱정한 철인" 지식과교양 2011
8 이동인, "율곡의 사회개혁사상" 백산서당 2002
9 "맹자"
10 "대학"
11 "논어"
12 안경애, "격몽요결의 서지적 연구" 서지학회 7 : 1991
13 이은상, "補遺사임당과 율곡" 성문각 199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9-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양사회사상 -> 사회사상과 문화외국어명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Social Thoughts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3-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nrnal of Asian Social Thoughts -> Jonrnal of East Asian Social Thought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3 | 1.569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