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선민, "六세기 후반 倭의 高句麗 인식-『日本書紀』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22) : 5-10, 2005
2 한석정, "함경남도의 유래 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 1962 (1962): 60-80, 1962
3 김종복, "특집논문:남북국의 경계와 상호 교섭에 대한 재검토" 한국역사연구회 (82) : 27-56, 2011
4 박성현, "특집논문: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82) : 57-96, 2011
5 류병흥,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현명한 령도밑에 고고학분야에서 이룩한 성과" 1992 (1992): 2-8, 1992
6 박성현,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 역사문제연구소 (127) : 263-285, 2019
7 박진욱, "동해안일대의 신라무덤에 대하여" 1967 (1967): 12-19, 1967
8 량익룡, "동해안 일대의 신라 산’봉우리성에 관한 연구" 1964 (1964): 31-43, 1964
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0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경인문화사 2014
1 김선민, "六세기 후반 倭의 高句麗 인식-『日本書紀』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22) : 5-10, 2005
2 한석정, "함경남도의 유래 미상의 산성들과 고분들에 대하여" 1962 (1962): 60-80, 1962
3 김종복, "특집논문:남북국의 경계와 상호 교섭에 대한 재검토" 한국역사연구회 (82) : 27-56, 2011
4 박성현, "특집논문: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82) : 57-96, 2011
5 류병흥,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현명한 령도밑에 고고학분야에서 이룩한 성과" 1992 (1992): 2-8, 1992
6 박성현, "삼국통일 후 신라의 지방 제도, 얼마나 달라졌나?" 역사문제연구소 (127) : 263-285, 2019
7 박진욱, "동해안일대의 신라무덤에 대하여" 1967 (1967): 12-19, 1967
8 량익룡, "동해안 일대의 신라 산’봉우리성에 관한 연구" 1964 (1964): 31-43, 1964
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0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경인문화사 2014
11 방용철, "麗・濟 連和說의 재검토" 민족문화연구소 (62) : 277-314, 2016
12 서영교, "高句麗 平原王代 南進과 遣倭使" 효원사학회 41 : 105-137, 2012
13 池內宏, "眞興王の戊子巡境碑と新羅の東北方" 吉川弘文館 (二) : 1-96, 1960
14 松井等, "滿洲歷史地理 1" 丸善株式會社 407-441, 1913
15 赤羽目匡由, "渤海王国の政治と社会" 吉川弘文館 2011
16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1" 丸善株式會社 206-220, 1913
17 太田秀春, "朝鮮城地實測圖와 倭城 -朝鮮總督府의 植民地 支配와관련하여-" 25 : 135-191, 2000
18 平野卓治, "日本 古代史料에 보이는 倭王權日本律令國家와 高句麗" 고구려발해학회 (18) : 101-144, 2004
19 전덕재, "新羅의 東北地方 國境과 그 變遷에 관한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1) : 149-193, 2014
20 李成市,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 岩波書店 381-384, 1998
21 李成市, "古 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 岩波書店 287-314, 1998
22 조이옥, "<<新唐書>> 新羅傳長人記事의 長人國 -新羅의 靺鞨認識과 관련하여" 부경역사연구소 (19) : 35-51, 2006
23 주보돈, "5~6세기 중엽 高句麗와 新羅의 관계 -신라의 漢江流域 진출과 관련하여" 11 : 65-115, 2006
24 노중국, "5~6세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 -고구려의 한강유역 점령과 상실을 중심으로" 11 : 7-64, 2006
25 이성제, "570年代 高句麗의 對倭交涉과 그 意味-새로운 對外戰略의 추진 배경과 내용에 대한 재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 : 53-9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