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논어』를 활용한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sing Analects for Development of the Colleg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bs will be reduced, wisdom for coexistence requested, and a challenging life will unfold in which all areas of life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human who conforms to that is required.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o produce such talent is already beginning. When discussing the innov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esulting from the realiz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is emerging.
      What content of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addressed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ere we looked at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lls for new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Seco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quires the wisdom of coexistence. Thi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quires challenging capabilities to actively experience and practic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up the specific model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n Analects. The reason why we are trying to find the answer to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n Analects is because it contains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lls for. What is the content of the university'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s Analects? First, it i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imed at reflecting on human existence. The following is a personality-building program that forms a relationship for coexistence. Lastly, it is a personality-building program aimed at the mind education of challenge and practice.
      The college'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utilizes Analects, can be used as a textbook for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And through this program, you can learn the wisdom of coexistence from daily life to the whole world, and explore the challenging life vision of pursuing continuous learning and practice.
      번역하기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bs will be reduced, wisdom for coexistence requested, and a challenging life will unfold in which all areas of life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human who conforms ...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jobs will be reduced, wisdom for coexistence requested, and a challenging life will unfold in which all areas of life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new human who conforms to that is required. Innov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o produce such talent is already beginning. When discussing the innov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esulting from the realiz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is emerging.
      What content of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addressed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Here we looked at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lls for new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Seco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quires the wisdom of coexistence. Thi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quires challenging capabilities to actively experience and practic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look up the specific model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n Analects. The reason why we are trying to find the answer to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n Analects is because it contains the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lls for. What is the content of the university'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utilizes Analects? First, it i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imed at reflecting on human existence. The following is a personality-building program that forms a relationship for coexistence. Lastly, it is a personality-building program aimed at the mind education of challenge and practice.
      The college'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hich utilizes Analects, can be used as a textbook for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And through this program, you can learn the wisdom of coexistence from daily life to the whole world, and explore the challenging life vision of pursuing continuous learning and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일자리가 축소되고, 공존을 위한 지혜가 요청되며, 삶의 모든 영역이 시공간을 초월하는 도전적인 삶이 펼쳐질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이에 부합하는 인재상을 요구한다. 그러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혁신이 이미 시작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실현으로 인한 교육계의 혁신을 논의할 때,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교육에서 어떤 인성교육의 내용이 다루어져야 할까? 여기서는 다음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인간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성찰을 요구한다. 둘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공존의 지혜를 필요로 한다. 셋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적극적으로 체험하고 실천하는 도전적인 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모델을 『논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논어』에서 대학 인성교육의 해답을 찾으려고 하는 이유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내용을 풍부하게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어』를 활용하는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일까? 먼저, 인간존재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다. 다음은 공존을 위한 관계관을 형성하는 인성함양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도전과 실천의 마음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함양 프로그램이다.
      이상과 같은 『논어』를 활용하는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존재에 대한 성찰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일상생활에서 시작하여 온 세상에까지 나아가는 공존의 지혜를 배울 수 있고, 지속적인 배움과 실천을 추구하는 도전적인 삶의 비전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일자리가 축소되고, 공존을 위한 지혜가 요청되며, 삶의 모든 영역이 시공간을 초월하는 도전적인 삶이 펼쳐질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이에 부합하는 인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일자리가 축소되고, 공존을 위한 지혜가 요청되며, 삶의 모든 영역이 시공간을 초월하는 도전적인 삶이 펼쳐질 것이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이에 부합하는 인재상을 요구한다. 그러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대학교육의 혁신이 이미 시작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실현으로 인한 교육계의 혁신을 논의할 때,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학교육에서 어떤 인성교육의 내용이 다루어져야 할까? 여기서는 다음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인간존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성찰을 요구한다. 둘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공존의 지혜를 필요로 한다. 셋째, 제4차 산업혁명시대는 적극적으로 체험하고 실천하는 도전적인 역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 인성교육의 구체적인 모델을 『논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논어』에서 대학 인성교육의 해답을 찾으려고 하는 이유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내용을 풍부하게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어』를 활용하는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일까? 먼저, 인간존재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다. 다음은 공존을 위한 관계관을 형성하는 인성함양 프로그램이다. 마지막으로 도전과 실천의 마음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함양 프로그램이다.
      이상과 같은 『논어』를 활용하는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존재에 대한 성찰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일상생활에서 시작하여 온 세상에까지 나아가는 공존의 지혜를 배울 수 있고, 지속적인 배움과 실천을 추구하는 도전적인 삶의 비전을 모색해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제러미 리프킨, "한계비용 제로 사회" 민음사 2014

      3 이종관, "포스트휴먼이 온다" 사월의책 2017

      4 이현지, "초등사회과 공동체 교육의 해법으로서 인仁"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227-249, 2018

      5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6 지현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61, 2017

      7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8 윤우섭, "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세계시민, 교양교육을 통해 이루다" 충남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2017

      9 장재옥,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 -전자인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원 43 (43): 103-141, 2019

      10 홍승표,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학적 상상력" 살림터 2019

      1 "論語"

      2 제러미 리프킨, "한계비용 제로 사회" 민음사 2014

      3 이종관, "포스트휴먼이 온다" 사월의책 2017

      4 이현지, "초등사회과 공동체 교육의 해법으로서 인仁" 동양사회사상학회 21 (21): 227-249, 2018

      5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6 지현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 인성교육 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61, 2017

      7 클라우스 슈밥,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8 윤우섭, "인성과 리더십을 겸비한 세계시민, 교양교육을 통해 이루다" 충남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2017

      9 장재옥, "인공지능의 법적 지위에 관한 논의 -전자인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원 43 (43): 103-141, 2019

      10 홍승표, "인공지능 시대의 사회학적 상상력" 살림터 2019

      11 이현지, "유가사상과 초등사회과 다문화 교육" 한국학연구원 (71) : 367-388, 2018

      12 이현지, "동양사상에게 인공지능 시대의 가족을 묻다" 살림터 2019

      13 이현지, "논어와 탈현대" 살림터 2019

      14 홍신기, "논어에 나타난 교육사상의 전인교육적 의미 탐색" 14 (14): 233-250, 2007

      15 "교육부·연구재단, 채용연계형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육성한다"

      16 "교육부, 4차 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 18개大 선정"

      17 이현지, "공자의 교육적 인간상과 탈현대적 함의" 동양사회사상학회 (29) : 169-196, 2014

      18 이현지, "『소학』과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초등학교 인성교육" 새한철학회 95 (95): 281-299, 2019

      19 사이토 가즈노리, "AI가 인간을 초월하면 어떻게 될까?: 2045 년, 기술이 무한대로 진화하는 특이점이 온다" 마일스톤 2018

      20 이경호, "4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 분석을 통한 교육과제 탐색" 안암교육학회 25 (25): 143-166, 2019

      21 김정욱, "2016 다보스 리포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es -> Academia Koreana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1 1.13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