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9품목(n = 578)에 대한 납과 카드뮴 함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섭취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후 IC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76594
2018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240-247(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9품목(n = 578)에 대한 납과 카드뮴 함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섭취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후 ICP...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9품목(n = 578)에 대한 납과 카드뮴 함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섭취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후 ICP-MS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의 납 평균 함량은 각각 보리 0.014 mg/kg, 완두콩 0.010 mg/kg, 강낭콩 0.008 mg/kg, 녹두 0.006 mg/kg, 파인애플 0.008 mg/kg, 살구 0.016 mg/kg, 매실 0.015 mg/kg, 자두 0.021 mg/kg, 대추 0.019 mg/kg이었고, 카드뮴 평균함량은 보리 0.017 mg/kg, 완두콩 0.004 mg/kg, 강낭콩 0.007 mg/kg, 녹두 0.005 mg/kg, 파인애플 0.001 mg/kg, 살구 0.002 mg/kg, 매실 0.002 mg/kg, 자두 0.002 mg/kg, 대추 0.003 mg/kg이었다. 모든 시료의 납, 카드뮴 함량은 EU, CODEX 및 국내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조사 대상 농산물에 대한 납, 카드뮴의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납은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 μg/kg b.w./week)의 0.067%, 카드뮴은 월간잠정섭취허용량(PTMI, 25 μg/kg b.w./month)의 0.28%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조사 대상 농산물의 납, 카드뮴 오염도와 이들의 섭취에 의한 위해성이 모두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evels of lead and cadmium as found in nine agricultural products (n = 578) sold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risk to human health that is summarily associated with their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Pb a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evels of lead and cadmium as found in nine agricultural products (n = 578) sold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risk to human health that is summarily associated with their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Pb and Cd were measured using an ICP-MS after microwave digestion in this study. The average contents of Pb and Cd were measured as 0.014 and 0.017 mg/kg for barley, 0.006 and 0.005 mg/kg for mung bean, 0.008 and 0.007 mg/kg for kidney bean, 0.010 and 0.004 mg/kg for green bean, 0.008 and 0.001 mg/kg for pineapple, 0.016 and 0.002 mg/kg for apricot, 0.015 and 0.002 mg/kg for Japanese apricot, 0.021 and 0.002 mg/kg for plum and 0.019 and 0.003 mg/kg for jujube, respectively. The levels of Pb and Cd in the study samples were less than the maximum residual level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Union (EU), CODEX, and the Korea Food Code. As we have seen, the daily dietary exposures of Pb and Cd from these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 general population were noted as 0.067% of PTWI (25μg/kgb.w./week) and 0.28% of PTMI (25 μg/kg b.w./month), respectively. In line with the stud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dietary intakes of Pb and Cd from these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have no appreciable risk effects on health for humans as noted in this experi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경기지역 도축우 및 도축돈의 폐렴병변에서 Mycoplasma spp. 원인체에 관한 연구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의 지표성분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곰보배추섭취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랫드에서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따른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Taking the Lead: Secondary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