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에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들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매우 민감하여 주부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76591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59-265(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가정에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들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매우 민감하여 주부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
가정에서 가족의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주부들은 식품안전과 관련된 정보에 매우 민감하여 주부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에서 건강행동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지각된 위협, 행동평가, 자기효능감 같은 요인들이 주부들의 실제 식품안전 인식과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 다. 본 연구는 191명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건강신념모형의 주요변수인 지각된 이익과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개연성 그리고 식품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건강지향성과 지식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대도시에 살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위협을 더 많이 느끼고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더 높았다. 또한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안전한 식품에 대한 지식이 더 많을수록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상대적 이익이나 자기효능감도 높으며 그에 따라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한 식품안전 행동에 대한 개념모형을 구조방정식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적합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으며 구매행동에 지각된 위협보다 지식수준과 상대적 이익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주부가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방송이나 신문 같은 공적 경로를 적극 활용하는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의 지속적인 제공으로 지식수준을 높여주고 위해성 정보보다는 예방이 가능한 정보 제공으로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려는 노력이 실제로 가정의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홍보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orean housewives are responsible for the dietary practices of family at home,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information will make them to buy safe fo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ole of perceived threats, behavioral assessments, ...
Since Korean housewives are responsible for the dietary practices of family at home,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information will make them to buy safe fo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ole of perceived threats, behavioral assessments, and self-efficacy factors known to promote healthy behavior in health belief models (HBM) based on food safety awareness and behavior of housewives. This study involved 191 housewives, based on key variables such a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self-efficacy, and purchase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urbanization increased the threat perception and the likelihood of buying safe foo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awareness and knowledge of safe foods and interest in health contributed to higher relative benefit or self-efficiency of food, and thus, ensured food safety. The conceptual model of food safety behavior based on the HBM was verified vi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findings suggest that a suitable model showcasing knowledge levels and relative benefits resulted in a greater impact on purchasing behavior than perceived threa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housewives to provide more preventive information than risk information to purchase safe foo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분자, "초등학교고학년의구강건강신념과구강건강행동간의관련성에관한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63-168, 2008
2 신수진, "일개 신도시 지역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5 (35): 850-857, 2005
3 유석조,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 및 백신 부작용 보도의 영향 분석 :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 이론 간 비교"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3-320, 2010
4 김효정, "식품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및 정보요구도에 관한 연구(2): 식중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1 (41): 117-128, 2003
5 김성숙,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5-32, 2007
6 조영식,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9 (9): 99-108, 2009
7 조성은,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한국PR학회 16 (16): 148-177, 2012
8 Hochbaum, G., "Why People Seek Diagnostic X-rays" 71 : 377-380, 1956
9 Hanson, J.A.,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34 (34): S25-S26, 2002
10 Lin, P., "The health belief model, sexual behaviors, and HIV risk among Taiwanese immigrants" 17 : 469-483, 2005
1 장분자, "초등학교고학년의구강건강신념과구강건강행동간의관련성에관한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63-168, 2008
2 신수진, "일개 신도시 지역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5 (35): 850-857, 2005
3 유석조,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 및 백신 부작용 보도의 영향 분석 : 건강신념모델과 계획된 행동 이론 간 비교"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283-320, 2010
4 김효정, "식품위생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도 및 정보요구도에 관한 연구(2): 식중독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1 (41): 117-128, 2003
5 김성숙,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15-32, 2007
6 조영식,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실천과 자기효능감이 구강보건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9 (9): 99-108, 2009
7 조성은,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한국PR학회 16 (16): 148-177, 2012
8 Hochbaum, G., "Why People Seek Diagnostic X-rays" 71 : 377-380, 1956
9 Hanson, J.A.,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to examine older adults' Food-Handling behaviors" 34 (34): S25-S26, 2002
10 Lin, P., "The health belief model, sexual behaviors, and HIV risk among Taiwanese immigrants" 17 : 469-483, 2005
11 Chen, M., "Testing the Health Belief Model : LISREL analysis of alternative models of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dental behavior" 49 : 45-60, 1986
12 Bentler, P.M.,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16 : 78-117, 1987
13 Allen, I.E., "Online Nation: Five Years of Growth in Online Learning" Sloan Consortium 2007
14 "Korea Consumer Agency Press Releases"
15 Zak-Place, J., "Health belief factors and dispositional optimism as Predictors of STD and HIV Preventive Behavior" 52 (52): 229-236, 2004
16 Champion, V.L.,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John Wiley & Sons, Inc. 44-65, 2008
17 Kim M.H., "Health Belief Model Approach to Health Beliefs,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Concerning HIV/AIDS" 14 (14): 125-147, 1997
18 "Food Hygiene Act, Enforcement Rule Article 62"
19 Hahn D.W., "Critical Review of the Social Cognitive Theories on Health Behavior" 2 (2): 21-45, 1997
20 Kim, H.C., "Consumers Recognition and Information Need About Food Safety - Focused on Pesticide Residues, Foodborne Illness, and Food Additives" 16 (16): 296-309, 2001
21 Norman, P., "An application of an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to the prediction of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women with a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10 (10): 1-16, 2005
22 Lee Y.J., "A Study of effect of health belief on health information processing and health behavior intention" Hanyang University 2013
경기지역 도축우 및 도축돈의 폐렴병변에서 Mycoplasma spp. 원인체에 관한 연구
연잎, 상엽, 건조 무 혼합 추출물의 지표성분 wogonin, quercetin 및 quercetin-3-O-glucuronide의 분석법 개발 및 검증
곰보배추섭취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랫드에서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Positive List System 도입에 따른 열대과일류의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7-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9 | 0.72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