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에서의 분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이 동북아 지역의 균형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노대통령의 제안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많은 비판과 논란이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18131
2005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2-84(2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무현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에서의 분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이 동북아 지역의 균형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노대통령의 제안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많은 비판과 논란이 있...
노무현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에서의 분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국이 동북아 지역의 균형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노대통령의 제안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많은 비판과 논란이 있었다. 많은 비판과 논란의 의미는 노대통령의 구상이 어떤 형태로는 수정되고 보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글의 목적은 동북아 균형자론의 미비점을 지적하고 나아가 몇 가지의 정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글은 동북아 균형자론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었던 이슈 4가지를 정리한다; 균형자의 개념; 동북아 균형자로서의 한국의 능력; 균형자 역할과 한미동맹의 관련성; 그리고 균형자론과 북핵문제와의 관련성 등이다. 캐나다 외교정책의 조명을 통하여 글쓴이는 4개의 정책을 제시한다. '균형자'라는 용어 대신 '안정자'라는 용어의 사용; 균형자로서의 국력을 갖기 위한 ASEAN+3 활용; 한미동맹의 저극적 강화; 그리고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주의의 확대 등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sident Roh Moo-hyun argued that South Korea should be a balancing power in Northeast Asia to prevent possible disputes in the region.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and disputes over Roh's suggestion. Much criticism and disputes ...
President Roh Moo-hyun argued that South Korea should be a balancing power in Northeast Asia to prevent possible disputes in the region. In South Korea,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and disputes over Roh's suggestion. Much criticism and disputes imply that Roh's plan or suggestion should be modified and strengthened in some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weaknesses of Roh's Northeast balancer policy and to make some policy suggestions. The paper identifies four major issues of Northeast balancer policy: the concept of the balancer: South Korea's ability as a Northeast balancer. ROK-U.S. security alliance and the Northeast balancer: and Northeast balancer and North Korea's Nuclear Issue.
Referring to Canadian foreign policy. the author makes four policy suggestions: using a term 'stabilizer' instead of 'balancer': activating ASEAN+3 to empower South Korea as a balancer: strengthening U.S.-ROK security alliance: and expanding multilateralism to solve North Korea's nuclear issue.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 ![]() |
2005-06-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0.99 | 1.591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