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1차년도: 이론 작업 첫째, 기존의 문화경제론 및 문화경제에 대한 경험적․역사적 연구들을 검토하며, 20세기 후반 이래 주체성 양식을 조명할 수 있는 각종 논의들을 문화경제에 의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2629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① 1차년도: 이론 작업 첫째, 기존의 문화경제론 및 문화경제에 대한 경험적․역사적 연구들을 검토하며, 20세기 후반 이래 주체성 양식을 조명할 수 있는 각종 논의들을 문화경제에 의한 ...
① 1차년도: 이론 작업
첫째, 기존의 문화경제론 및 문화경제에 대한 경험적․역사적 연구들을 검토하며, 20세기 후반 이래 주체성 양식을 조명할 수 있는 각종 논의들을 문화경제에 의한 주체성의 변형이란 견지에서 재해석한다. 둘째, 이러한 작업에 바탕하여 문화경제 이론 구성 전략을 마련하며 이를 발전시킨다. 문화경제의 구성을 정치경제, 기호경제, 리비도경제, 3가지 층위로 구분하고(이에 대해서는 다음 소절에서 후술할 것이다), 이 세 층위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해명한다.
② 2차년도: 경험적․역사적 분석의 개시
문화경제의 현실에 대한 경험적․역사적 분석을 시도한다. 문화경제 현실의 구성 부분과 범위가 다양하고 폭넓기 때문에, 1단계에서는 현시기 문화와 경제의 융합 또는 일체화 경향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되는 ‘미술의 금융화’를 대표적인 주제로 설정하여 경험적․역사적 분석을 수행한다. 1차년도에서 개시된 이론적 검토와 이론구성 작업은 계속 수행된다.
③ 3차년도: 연구 영역과 쟁점 개발
1차년도와 2차년도에서 수행된 이론적 작업과 경험적․역사적 분석 작업에 기초하여, 2단계(중형) 연구와 3단계(대형) 연구에서 문화경제의 경향을 발견해내고 분석할 다양한 연구 영역과 쟁점들을 발굴하고 정리하여 향후 중장기 연구의 초석을 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