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 분석-서울특별시 본청 및 25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ith a Focus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25 Local Govern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0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as enacted in a form reflecting the consistency with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of-School Youth 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as enacted in a form reflecting the consistency with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of-School Youth Act"). For this purpose, as of August 2020, the ordinances ena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s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ere very 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nces and the laws was not harmonious. In some cases, the provisions of the "Out-of-School Youth Act" were taken without modification and enacted as ordinances, or the provisions of the law were selectively excluded even if there was no ordinance, it was possible to apply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In addition, although the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to be enacted in detail, there were many more abstract provisions tha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s did not work well.
      In some instances, however, some specific ordinances were ena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 has performed effectively in that the provisions such as "Support for costs for certifications required for academic progress and employment" and "Scholarship support to provide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troduction of special guidance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school interruptions" and "Guide to family consultation and support for the youth outside school" were included neither in the "Out-of-School Youth Act" nor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t can be construed that this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desire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Since ordinances have feature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by embodying the provisions of the laws 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method of enacting the ordinances needs to be amended. Seeing that the provisions stip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are applied consistently nationwide, it is redundant to repeatedly stipulate them in the ordinances. Instead,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stipulate the provisions missing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flecting the different need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 Act,"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ordinances, and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s to function in harmony,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desir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ordinances. In addition,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 needs to be configured of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밖청소년법)’과의 관계를 반영한 형태로 제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밖청소년법)’과의 관계를 반영한 형태로 제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현재 기준 서울특별시 본청 및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조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조례의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의 제정 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로 조례와 법령과의 관계가 조화롭지 못했다. ‘학교밖청소년법’의 내용 그대로 가져와 조례로 제정하였거나, 선택적으로 법의 내용을 제외시킨 수준으로 굳이 조례가 없더라도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지원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구체적으로 제정되어야 함에도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보다 더 추상적으로 제시된 내용도 많아 조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일부 특색이 있는 조례 내용이 제정되기도 했다. 서울시 본청 조례의 ‘학업진행 및 취업에 필요한 자격취득을 위한 비용 지원’과 ‘진로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장학금 지원’ 기초자치단체 조례의 ‘학교중단위험 청소년 대상 특별지도 프로그램 운영’, ‘학교 밖 청소년 가정에 대한 상담 및 지원 안내’ 등은 ‘학교밖청소년법’에는 없거나 서울시 본청 조례에도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조례의 기능이 잘 작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문제, 욕구를 반영하여 제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례는 법령의 내용을 구체화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조례의 제정 방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법령에서 규정한 내용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조례에서 그 내용을 반복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법령에 없는 내용을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교밖청소년법’과 광역자치단체 조례,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조화롭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 조례 차원에서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서울시의 특성인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을 구성하고, 기초자치단체 조례에서는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에 근거하여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2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4 강근모,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관련변인과 생태체계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55-82, 2020

      5 조규필, "학교 밖 청소년의 직업훈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내일이룸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31-154, 2019

      6 한아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07-227, 2020

      7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71-87, 2019

      8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생각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6 (6): 1-26, 2020

      9 김미옥,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을 통한 삶의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7-52, 2020

      10 문진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1 최지연, "학업중단 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03-132, 2016

      2 김근영, "학업중단 청소년의 진로장벽 및 조력에 관한 질적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4 강근모,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관련변인과 생태체계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55-82, 2020

      5 조규필, "학교 밖 청소년의 직업훈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내일이룸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131-154, 2019

      6 한아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207-227, 2020

      7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71-87, 2019

      8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진로장애의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생각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6 (6): 1-26, 2020

      9 김미옥, "학교 밖 청소년의 노동을 통한 삶의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7-52, 2020

      10 문진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11 문동욱, "학교 밖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2 (22): 3-12, 2020

      12 문동욱, "학교 밖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 (20): 1-12, 2018

      13 문화진, "학교 밖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 불안의 관계: 계획된 우연기술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97-815, 2019

      14 홍선영, "학교 밖 청소년 진로지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8

      15 임우연, "충청남도 학교 밖 여자청소년 지원방안 연구" 충청남도 여성정책개발원 2014

      16 정미나, "청소년 진로성숙의 영향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7 (27): 133-162, 2016

      17 김동하, "청소년 무단결석의 종단적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176-194, 2019

      18 "자치법규정보시스템"

      19 김광병, "인천시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조례 분석" 인천학연구원 1 (1): 7-49, 2013

      20 이선희, "노동경험이 있는 학업중단청소년의 노동의 지지가 미래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215-244, 2014

      21 "국가법령정보센터"

      22 문성호, "가치비평적 접근을 적용한 학교 밖 청소년 정책 분석 및 혁신방안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7 (27): 439-466, 2020

      23 이주연, "2019년 전라북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전북연구원 2019

      24 임형문, "2018 광주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광주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5-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복지법제학회 -> 사회복지법제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