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An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Influencing Crime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20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와 관련하여 환경정비 및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정책 및 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주거환경특성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계량적 분석을 위해 ...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와 관련하여 환경정비 및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정책 및 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주거환경특성과 범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계량적 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기본 분석모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범죄모형, 절도모형, 폭력모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절도모형과 폭력모형의 결과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살펴본 요인들 중 비거주용 건물내 주택비율와 전세주택비율만이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거주용 건물내 주택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범죄율은 증가하는 반면, 전세주택비율이 낮은지역일수록 범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가 범죄와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and crime in order to provide crime-related and environment-based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as a basic statis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environment and crime in order to provide crime-related and environment-based policies and strategies· For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as a basic statistical model with the three cases; total crime, theft, and assault·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istical outcomes of three models are similar· In particular,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theft model and the assault model· Second, only two factors, proportion of non-residential houses and proportion of leasing hous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portion of non-residential houses has positive association with crime while proportion of leasing houses has negative association· Finally, it is interesting that population density has no association with cri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