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채호의 영웅서사 역술과 대한제국기 언론매체의 국문 모색 : 『을지문덕』을 중심으로 = The Edited Translation of Sin Chaeho’s Heroic Narratives and Seeking of National Language in Mass media during Korean Empire Era : Focusing on Euljimundeok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채호가 대한제국기에 발표한 『을지문덕』, 「이순신」, 「최도통」 3편 영웅서사는 국한문판 원본과 이를 역술한 국문판의 이중판본이 존재한다.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의 ...

      신채호가 대한제국기에 발표한 『을지문덕』, 「이순신」, 「최도통」 3편 영웅서사는 국한문판 원본과 이를 역술한 국문판의 이중판본이 존재한다.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의 부분이라 할 수 있는데 다른 기사들에 비해 심도 있는 역술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당대의 분화된 언어 계층의 실상을 보여주는 대표성 있는 자료이며, 『신보』 이중판본의 확장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신채호의 영웅서사 3편이 보여주는 역술 과정은 현재 한국고전번역원의 국역-고전번역 작업의 직접적 연원을 보여준다. 국어사 분야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변천을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대상이며, 문학사 분야에서는 문체의 역사를 가늠할 자료이다. 국문판은 대한동포 모두가 영웅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는 원본의 대의는 그대로 전달했으나 한국학의 탐구라는 주요한 주제와 행간의 문제의식들은 생략된 경우가 많다. 국한문판과 국문판의 대조를 통해 한문을 경계로 한 대한제국기 언어 계층의 간극이 제시된다. 역술의 경험을 토대로 신채호는 국한문판의 주제의식을 국문판의 문체로도 전달할 수 있는 문체 통합을 추구하여 대한제국기 이후의 다양한 성취를 이루었다. 그는 언어 계층의 통합과 소통이 가능한 국문에 대한 모색을 국한문과 국문의 다중적 글쓰기로 실천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 Chaeho’s three heroic narratives, Euljimundeok, I Sunsin and Choi Dotong are published dual editions, original Korean-Chinese editions and pure Korean editions. Also they are extension of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but translation process...

      Sin Chaeho’s three heroic narratives, Euljimundeok, I Sunsin and Choi Dotong are published dual editions, original Korean-Chinese editions and pure Korean editions. Also they are extension of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but translation processes of them are enhanced than other articles of same media. Thus they are representative references proposing the reality of language hierarchy in Korean Empire era and providing the clue for extended research on Daehanmaeilsinbo’s dual edition policy. The edited translation of them can be the origin of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ational translation, in other words Korean Classic Transl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 history, it is the references for representing the transition of Korean Semantics and the important data for the study of Korean styles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oth editions can deliver the main theme that all Koreans shall have the task of being hero but in pure Korean edition, the other profound issue, the inquiry for Korean studies is reduc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dual editions represents the clear cleavage among language hierarchies based upon Classical-Chinese in Korean Empire era. On the experiences of edited translation in this era, Sin Chaeho can pursuit the unification of language hierarchies and achieve diverse fruits about history, literature and political movements. His seeking of national language is progressed by multilateral writing pract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승, "한국근대 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7

      2 이종묵, "한국 고전번역학의 구성과 모색" 점필재 2013

      3 임상석, "한국 고전번역자료 편역집 전 2권" 점필재 2017

      4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한국 고전번역사의 전개와 지평" 점필재 2017

      5 손성준, "영웅서사의 동아시아 수용과 중역의 원본성 : 서구 텍스트의 한국적 재맥락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성수, "신채호의 영웅 전기와 근대적 글쓰기 기획 『을지문덕』의 글쓰기방식 재검토" 민족문학사학회 (41) : 115-138, 2009

      7 김주현, "신채호와 『가정잡지』의 문필 활동" 한국현대소설학회 (58) : 163-193, 2015

      8 김용규, "번역과 횡단" 현암사 2017

      9 김진균, "모던한문학" 학자원 2015

      10 박성호, "망국에 직면한 사관(史官)의 균열 : 신채호 「최도통전」과 「지구성미래몽」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4 (24): 185-210, 2016

      1 박찬승, "한국근대 정치사상사연구" 역사비평사 1997

      2 이종묵, "한국 고전번역학의 구성과 모색" 점필재 2013

      3 임상석, "한국 고전번역자료 편역집 전 2권" 점필재 2017

      4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한국 고전번역사의 전개와 지평" 점필재 2017

      5 손성준, "영웅서사의 동아시아 수용과 중역의 원본성 : 서구 텍스트의 한국적 재맥락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2

      6 김성수, "신채호의 영웅 전기와 근대적 글쓰기 기획 『을지문덕』의 글쓰기방식 재검토" 민족문학사학회 (41) : 115-138, 2009

      7 김주현, "신채호와 『가정잡지』의 문필 활동" 한국현대소설학회 (58) : 163-193, 2015

      8 김용규, "번역과 횡단" 현암사 2017

      9 김진균, "모던한문학" 학자원 2015

      10 박성호, "망국에 직면한 사관(史官)의 균열 : 신채호 「최도통전」과 「지구성미래몽」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4 (24): 185-210, 2016

      11 이화인문과학원, "동아시아 근대 지식과 번역의 지형" 소명 2015

      12 윤상길,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번역문체 판별의 어휘적 준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형태주석 말뭉치‘의 어휘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8 (48): 188-228, 2011

      13 신채호, "단재 신채호 전집 제4권" 독립기념관 2007

      14 정한데로,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국어학회 (74) : 233-266, 2015

      15 허재영, "근현대(1880~1945) 한국에 수용된 중국 학술 사상에 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3) : 55-82, 2017

      16 강현조, "근대초기 단편소설선집『천리경(千里鏡)』연구- 신채호의「익모초(益母草)」서사 전문(全文)의 소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62) : 331-370, 2014

      17 임상석, "근대계몽기 가정학의 번역과 수용-한문 번역 『신선가정학(新選家政學)』의 유통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7) : 151-171, 2013

      18 임상석, "근대 지식과 전통 가치의 공존, 가정학의 번역과 야담의 번안 및 개작: 『가뎡잡지』 결호의 발굴" 인문학연구소 79 : 52-83, 2016

      19 심재기, "국어 문체 변천사" 집문당 1999

      20 "고전종합db"

      21 한영균, "現代 韓國語 胎動期의 多重 飜譯 敍事物에 대한 기초적 연구" 국어사학회 (19) : 125-169, 2014

      22 최현식, "『대한매일신보』의 이중판본 정책과 근대어 형성―계몽가사(歌辭)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5) : 445-481, 2008

      23 차지원, "『聖彼得大帝傳』 한국 최초의 표트르 대제 전기에 관하여" 2017

      24 김종복, "『大東歷史(古代史)』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 국학연구원 (162) : 283-389, 2013

      25 손성준, "「이태리건국삼걸전」의 동아시아 수용양상과 그 성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26 이유진, "‘李舜臣’ 문학의 역사적 轉機와 그 意味 -愛國啓蒙期 <李舜臣傳>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40 (40): 213-233, 2012

      27 김진균, "20세기 초반의 계몽담론과 한문"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275-299, 2008

      28 임상석,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지식산업사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