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양태 표현의 화용적 의미에 대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각 양상 연구 = A Perceptual Study on the Pragmatical Leaning of Modality Expressions by Chinese Korean Lear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4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meaning of the modality express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1) What do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ive as the meaning of the modality expressions? 2) Are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the perceptions improved as the learner's proficiency increases? Data sources were from a perception test. A perception test were conducted from 20 intermediate level Chinese Korean leatners and 22 advanced level learners.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was used for the accuracy of meaning and t-test was used for the response time.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not well aware of the meanings of the modality expressions. And this point also appeared in advanced learners regardless of proficiency, and reaction tim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anced lear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This result show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pragmatical mea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meaning of the modality express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1) What do Chinese Korean learners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meaning of the modality express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1) What do Chinese Korean learners perceive as the meaning of the modality expressions? 2) Are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the perceptions improved as the learner's proficiency increases? Data sources were from a perception test. A perception test were conducted from 20 intermediate level Chinese Korean leatners and 22 advanced level learners. The SPSS statistics was used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was used for the accuracy of meaning and t-test was used for the response time.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not well aware of the meanings of the modality expressions. And this point also appeared in advanced learners regardless of proficiency, and reaction tim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vanced learners and intermediate learners. This result show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pragmatical mea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해영, "현대 한국어 활용어미의 의미와 부담줄이기의 상관성"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 윤은미, "한국인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비교 연구 : 체면과 공손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엄녀, "한국어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 권영은, "한국어교육에서의 후회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5 이윤진,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8-210, 2003

      6 이해영,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의 명시적 교수 가능성과 교실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47-266, 2015

      7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8 신현정, "한국어 학습자들의 '-겠-'과 '-(으)ㄹ 것이' 사용에 나타난 중간언어 변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현화,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26, 2007

      10 홍윤기, "한국어 첨사의 양태 기능 교육 방안 연구-기능의미의 메타언어를 활용하여-" 이중언어학회 (34) : 399-425, 2007

      1 이해영, "현대 한국어 활용어미의 의미와 부담줄이기의 상관성"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 윤은미, "한국인과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 비교 연구 : 체면과 공손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엄녀, "한국어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 권영은, "한국어교육에서의 후회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8

      5 이윤진, "한국어교육에서의 양태 표현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8-210, 2003

      6 이해영, "한국어 화용 교육에서의 명시적 교수 가능성과 교실 적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6 (26): 247-266, 2015

      7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의 발달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8 신현정, "한국어 학습자들의 '-겠-'과 '-(으)ㄹ 것이' 사용에 나타난 중간언어 변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9 강현화,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 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 이중언어학회 (34) : 1-26, 2007

      10 홍윤기, "한국어 첨사의 양태 기능 교육 방안 연구-기능의미의 메타언어를 활용하여-" 이중언어학회 (34) : 399-425, 2007

      11 이효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 표현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4

      12 엄녀, "한·중 양태표현의 대조적 고찰 -한국어 '-(으)ㄹ 수 있다'와 중국어 '能'의 대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6) : 299-320, 2008

      13 김효신, "완료표현 '-고 말다'와 '-어 버리다'의 한국어 교육학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4 이해영,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양태 습득" 한국어학회 53 : 335-360, 2011

      15 김미형, "국어 완곡 표현의 유형과 언어 심리 연구" 한말연구학회 7 : 27-63, 2000

      16 Coates, J, "The semantics of the modal auxiliaries" Croom Helm 1983

      17 Blum-Kulka, S., "Cross-cultural pragmatics: Request and apologies" Ables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