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일석, "혼합염 및 키위주스 침지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돈육등심 가공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17-222, 2008
2 최윤상, "혈액 첨가 수준에 따른 혈액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1 (31): 741-748, 2015
3 이기동, "해양심층수염, 천일염 및 정제염을 이용한 참외절임시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840-846, 2003
4 정대윤, "한약재 첨가량에 따른 한방 삼계탕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72-277, 2013
5 김태경, "천연소재가 삼계탕 육질 및 육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476-483, 2018
6 조흔,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01-1304, 2012
7 이승택, "염지대체제로서 죽염의 첨가가 계육가슴살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3
8 이정미, "소금종류별에 따른 첨가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76-1780, 2011
9 함경식,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2-80, 2007
10 최지훈, "분쇄 계육 가슴살의 도체가공방법과 염지조건이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9 (29): 356-363, 2009
1 김일석, "혼합염 및 키위주스 침지와 조리 방법에 따른 돈육등심 가공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217-222, 2008
2 최윤상, "혈액 첨가 수준에 따른 혈액소시지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1 (31): 741-748, 2015
3 이기동, "해양심층수염, 천일염 및 정제염을 이용한 참외절임시 품질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840-846, 2003
4 정대윤, "한약재 첨가량에 따른 한방 삼계탕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272-277, 2013
5 김태경, "천연소재가 삼계탕 육질 및 육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34 (34): 476-483, 2018
6 조흔, "죽염의 알칼리성 및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1301-1304, 2012
7 이승택, "염지대체제로서 죽염의 첨가가 계육가슴살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3
8 이정미, "소금종류별에 따른 첨가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76-1780, 2011
9 함경식, "소금의 종류를 달리한 식빵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72-80, 2007
10 최지훈, "분쇄 계육 가슴살의 도체가공방법과 염지조건이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9 (29): 356-363, 2009
11 최윤상, "미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8 (28): 14-20, 2008
12 김지혜, "국내 육가공품의 영양표시 현황과 소비자 인지도 및 소비경향 실태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056-1063, 2010
13 Honikel KO, "The use and control of nitrate and nitrite for the processing of meat products" 78 (78): 68-76, 2008
14 Highberger JH, "The isoelectric point of collagen" 61 (61): 2302-2303, 1939
15 Oh SE,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nufacturing method of pure salt" Hoseo University 2012
16 O'Flynn CC, "The application of high-pressure treatment in the reduction of salt levels in reduced-phosphate breakfast sausages" 96 (96): 1266-1274, 2014
17 Pearson AM, "Safety implications of oxidized lipids in muscle foods" 37 (37): 121-129, 1983
18 Moon MJ, "Quality characteristics of Eougeul-tang with addition of beef gristl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3
19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33-36, 2000
20 Hamm R., "Muscle as food" Academic press 135-199, 1896
21 Park SW, "Mineral content in Samgyetang broth according to cooker and boiling time" 9 (9): 52-56, 1993
22 최지훈, "Marination 조건이 돈육 육포 제조용 양념육의 품질 및 최종 제품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26 (26): 229-235, 2006
23 Grau R, "Eine einfache methode zur bestimmung der wasserbindung in muskel" 40 (40): 29-30, 1953
24 Triyannanto E, "Effects of emulsifiers, precooking and washing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retorted ginseng chicken soup" 39 (39): 1770-1777, 2015
25 최윤상, "Effects of Various Sal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ed Meat" 한국축산식품학회 36 (36): 152-158, 2016
26 이현주, "Effects of Various Kinds of Salt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한국축산식품학회 34 (34): 604-613, 2014
27 Kim KD, "Effect of salt types o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fish sauce"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2017
28 Dimitrakopoulou MA, "Effect of salt and transglutaminase(TG)level and processing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hosphate-free, cooked, restructured pork shoulder" 70 (70): 743-749, 2005
29 Park JW,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32 (32): 1442-1445, 2000
30 Bourne MC, "Computer-assisted readout of data from texture profile analysis curves" 9 (9): 481-494, 1978
31 Ha JO,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27 (27): 413-418, 1998
32 Kim HS, "A study on the quality of non-smoking fermented dry sausage (Italian salami) by using salt type" Sangji University 2014
33 Oh SY, "A study on the developing direction of new Samgyetang products" 21 (21): 103-109, 2001
34 Tarladgis BG,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s" 37 (37): 44-48,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