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적 관계’의 특성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4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육적 관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개념화하고 실제 대학의 우수수업의 관찰과 면담을 통해 ‘교육적 관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교육적 관계’를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관계가 ‘학생에 대한 존중과 이해’(존중), ‘개별학생에 대한 관심’(관심), ‘교수자에 대한 학생의 신뢰’(신뢰), ‘학생의 능력에 대한 교수자의 신뢰와 기대’(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과 집중’(가치), ‘학생의 배움과 성장’(성장), ‘대화적 상호작용’(대화)라는 7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규정하였다.
      문헌연구와 우수수업 관찰연구를 기반으로 예비검사 문항을 제작하여 광주/전남지역 대학생 319명을 예비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이 결과에 기반하여 척도별 문항수를 5개로 선정하였다. 최종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신뢰도는 .84~.89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에서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교육적 관계의 하위요소와 해당 문항 간의 요인구조는 데이터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chi-square=1161.749, df=539, p=.000; TLI=.90; CFI=.91; RMSEA=.06).
      성별, 전공별, 학년에 따른 교육적 관계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대화’ 척도에서만 여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평정을 나타냈다. 전공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3, 4학년으로 갈수록 교육적 관계를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관계의 모든 하위척도에서 학습노력,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숙달회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 수행회피목표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교육적 관계가 긍정적일 학생일수록 예상성적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작한 ‘교육적 관계’의 척도가 선행연구에서 의도한 방향대로 교육적 기능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해당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육적 관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개념화하고 실제 대학의 우수수업의 관찰과 면담을 통해 ‘교육적 관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살...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육적 관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개념화하고 실제 대학의 우수수업의 관찰과 면담을 통해 ‘교육적 관계’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교육적 관계’를 진단하고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관계가 ‘학생에 대한 존중과 이해’(존중), ‘개별학생에 대한 관심’(관심), ‘교수자에 대한 학생의 신뢰’(신뢰), ‘학생의 능력에 대한 교수자의 신뢰와 기대’(기대), ‘가르침에 대한 열정과 집중’(가치), ‘학생의 배움과 성장’(성장), ‘대화적 상호작용’(대화)라는 7가지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규정하였다.
      문헌연구와 우수수업 관찰연구를 기반으로 예비검사 문항을 제작하여 광주/전남지역 대학생 319명을 예비검사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이 결과에 기반하여 척도별 문항수를 5개로 선정하였다. 최종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신뢰도는 .84~.89로 양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검증에서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교육적 관계의 하위요소와 해당 문항 간의 요인구조는 데이터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chi-square=1161.749, df=539, p=.000; TLI=.90; CFI=.91; RMSEA=.06).
      성별, 전공별, 학년에 따른 교육적 관계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대화’ 척도에서만 여학생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평정을 나타냈다. 전공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3, 4학년으로 갈수록 교육적 관계를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관계의 모든 하위척도에서 학습노력,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숙달회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 수행회피목표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교육적 관계가 긍정적일 학생일수록 예상성적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제작한 ‘교육적 관계’의 척도가 선행연구에서 의도한 방향대로 교육적 기능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해당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 in the context of college teaching. .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relationship’ from the literature (respect, concern, trust, expectation, value, growth, and dialogue) and the observation on three good professors’s courses, a pilot-test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By us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ach subscale composed of 5 items were finalized.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adequate (.84-.89)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at contains 7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of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positively their relationship with instructors than male students. Student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year tended to feel
      educational relationship more highly than thos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year.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found to play an educational role in boosting students’ effort, motivation, and expectation of their performance. Students with positive educational relationship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ir effort in learning, feel motivated, and expect their performance in 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 in the context of college teaching. .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relationship’ from the literature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measuring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 in the context of college teaching. .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relationship’ from the literature (respect, concern, trust, expectation, value, growth, and dialogue) and the observation on three good professors’s courses, a pilot-test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By us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ach subscale composed of 5 items were finalized. The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was adequate (.84-.89)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that contains 7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of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e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positively their relationship with instructors than male students. Students in the third and the fourth year tended to feel
      educational relationship more highly than those in the first and the second year. ‘Educational relationship’ was found to play an educational role in boosting students’ effort, motivation, and expectation of their performance. Students with positive educational relationship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ir effort in learning, feel motivated, and expect their performance in 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