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공동체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8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에 소재한 N대학교에서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한 147명의 학생 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주 동안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은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 다. 특히, 모든 대상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해석 능력과,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 하며 학습을 위한 자원들을 스스로 파악하는 학습계획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생주도형 맞춤식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핵심역량 향상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에 소재한 N대학교에서 자발적이고 자율...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에 소재한 N대학교에서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한 147명의 학생 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주 동안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은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 다. 특히, 모든 대상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해석 능력과,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 하며 학습을 위한 자원들을 스스로 파악하는 학습계획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생주도형 맞춤식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핵심역량 향상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SDL)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members at N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8 weeks. To verify program’s effect, pre and post tes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DL ability were examin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ositive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DL ability. Especially, it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interpretation ability that includes diverse information collection or listen to other's opinion. And it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plan ability. Learning plan includes that learning needs diagnosis, goal setting and grasp learning resources. We were suggested that student customized learn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activation for sustainable core competency improv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SDL)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members at N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SDL) abi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147 members at N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8 weeks. To verify program’s effect, pre and post tes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DL ability were examin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ositive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DL ability. Especially, it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interpretation ability that includes diverse information collection or listen to other's opinion. And it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plan ability. Learning plan includes that learning needs diagnosis, goal setting and grasp learning resources. We were suggested that student customized learn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activation for sustainable core competency impr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협동학습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7 (47): 1-24, 2009

      2 조대연,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3) : 223-242, 2005

      3 박민정,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33 (33): 1-30, 2012

      4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5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6 서금택,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49-62, 2008

      7 정현자,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70-180, 2011

      8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9 이혜숙,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활동"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87-215, 2007

      10 선복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26-134, 2009

      1 김은영, "협동학습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7 (47): 1-24, 2009

      2 조대연,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소 (23) : 223-242, 2005

      3 박민정, "학습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연구소 33 (33): 1-30, 2012

      4 김경화, "학습공동체 참여 대학생의 집단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15-335, 2013

      5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6 서금택, "튜터링 프로그램이 튜터와 튜티의 이해력과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사고개발학회 4 (4): 49-62, 2008

      7 정현자,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D대학 대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수준에 관한 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70-180, 2011

      8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9 이혜숙,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활동" 한국교육인류학회 10 (10): 187-215, 2007

      10 선복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26-134, 2009

      11 임정훈,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 (19): 1-24, 2013

      12 이상수, "새로운 실천적 교육패러다임으로서의 온라인 학습공동체 구축 방안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97-117, 2003

      13 이은철,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1 (51): 57-82, 2013

      14 윤정선,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30 (30): 119-141, 2014

      15 한순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교육연구소 7 (7): 1-30, 2006

      16 송윤희, "대학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2 (42): 179-209, 2011

      17 염민호, "대학 학습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방안: 전남대학교 ‘아하! 학습공동체’ 사례" 한국교육학회 46 (46): 127-156, 2008

      18 차남현, "간호대학생의 자율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659-666, 2014

      19 Iwasiw, C. L., "The role of the teacher in self-directed learning" 7 (7): 222-227, 1987

      20 K. S. Baik,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32 (32): 77-95, 2011

      21 McInerney, M. J., "Team-based learning enhances long-term reention and critical thinking in an undergraduate microbial physiology course" 4 (4): 3-12, 2003

      22 Stuart J. Beatty, "Team-based Learning in Therapeutics Workshop Session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3 (73): 100-, 2009

      23 Garrison, D. R., "Self-directed learning: Toward a comprehensive model" 48 (48): 18-33, 1997

      24 Knowles, M.,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Association Press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991

      25 Rubin, K. H., "Non-social play in preschoolers: Necessary evil?" 53 : 651-657, 1982

      26 Shrivastava, P., "Management classes as online learning communities" 23 (23): 691-702, 1999

      27 Trenholm 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0

      28 H. S. Kang, "Influ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by Dong-A-Ry Activity-in students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ce" 5 (5): 2005

      29 Spitzberg, B. H.,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Springer-Verlag 1989

      30 Wilson, B., "Dynamic learning communities: an alternative to designed instructional systems" 1996

      31 Guglielmino, L. M.,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iversity of Georgia 1977

      32 Oddi, L. F.,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ing" Nothern Ilinois University 1984

      33 Oddi, L. 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36 (36): 97-107, 1986

      34 Smith, B. L.,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79 (79): 32-39, 1993

      35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American values: An appreciation" 80 : 63-65, 1996

      36 Palloff, R. M.,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cyber space" Jossey-Bass Inc 9-, 1999

      37 Tinto, V., "Building community" 79 (79): 16-21, 1993

      38 Zhao, C. M., "Adding value: Learning communities and student engagement" 45 (45): 115-138, 2004

      39 Song, L., "A conceptual model for understanding self-directed learning in online environments" 6 (6): 27-42, 2007

      40 S. J.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EDI 16 (16): 14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