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운동형태가 제2형 당뇨 청소년의 소포체 스트레스와 글루카곤양 펩티드-1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4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주당 동일한 칼로리 소비량의 단시간 고강도 운동과 장시간 저강도 운동을 비교하여 어떤 운동이 소포체 스트레스와 글루카곤양 펩티드-1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운동을 통해서 제Ⅱ형 당뇨병 개선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율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운동군(n=10), 저강도 운동군(n=10)으로 무선 배정하여 12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운동군은 주3회, 3분 걷고 30초 간 최대속도 달리기 운동(주당 1200kcal)을 하였으며, 저강도 운동군은 주6회, VO2max의 50%의 강도의 운동(주당 1200kcal)을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의 변화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에서 더 많은 감소가 나타났다. 소포체 스트레스변화에 있어서 GRP78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에서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DPP-4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글루카곤양 펩티드-1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렙틴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혈중지질은 TC, LDL-C, TG는 두 집단 모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C-peptide에서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OMA-IR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주당 동일한 칼로리 소비량의 단시간 고강도 운동과 장시간 저강도 운동을 비교하여 어떤 운동이 소포체 스트레스와 글루카곤양 펩티드-1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주당 동일한 칼로리 소비량의 단시간 고강도 운동과 장시간 저강도 운동을 비교하여 어떤 운동이 소포체 스트레스와 글루카곤양 펩티드-1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운동을 통해서 제Ⅱ형 당뇨병 개선 및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율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제2형 당뇨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운동군(n=10), 저강도 운동군(n=10)으로 무선 배정하여 12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운동군은 주3회, 3분 걷고 30초 간 최대속도 달리기 운동(주당 1200kcal)을 하였으며, 저강도 운동군은 주6회, VO2max의 50%의 강도의 운동(주당 1200kcal)을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의 변화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에서 더 많은 감소가 나타났다. 소포체 스트레스변화에 있어서 GRP78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에서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DPP-4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글루카곤양 펩티드-1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렙틴에서도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혈중지질은 TC, LDL-C, TG는 두 집단 모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강도 운동군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C-peptide에서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OMA-IR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DPP-4, GRP78, GLP-1, and insulin resistance for type 2 diabete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two groups, who one group,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n=10) was practice of a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other group, control group (n=10) was practice of a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The results of all the studies and inspections are as followed: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were significantly lower was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respectively). GRP78, GLP-1 levels in both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respectively), whereas DPP4, leptin levels in both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weeks exercise training (p<0.05). In addition, our results showed that TC, TG, LDL-C concentrations in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low exercise group. This investigation has shown that a 12 weeks high intensity exercise program offers useful effects such as an amelioration of diabete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body indices in type2 daibetes.
      번역하기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DPP-4, GRP78, GLP-1, and insulin resistance for type 2 diabete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two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on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DPP-4, GRP78, GLP-1, and insulin resistance for type 2 diabete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two groups, who one group,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n=10) was practice of a high intensity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other group, control group (n=10) was practice of a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The results of all the studies and inspections are as followed: W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were significantly lower was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respectively). GRP78, GLP-1 levels in both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respectively), whereas DPP4, leptin levels in both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weeks exercise training (p<0.05). In addition, our results showed that TC, TG, LDL-C concentrations in high intensity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low exercise group. This investigation has shown that a 12 weeks high intensity exercise program offers useful effects such as an amelioration of diabetes and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body indices in type2 daibet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