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을 자료로 삼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실상을 학년별, 갈래별, 성취기준별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32317
2020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 중학교 ; 국어 ; 교과서 ; 고전문학 ; 제재 ; 정전 ; 2015 revised curriculum ; middle school ; Korean ; textbook ; classical literature ; materials ; canon
KCI등재
학술저널
227-260(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을 자료로 삼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실상을 학년별, 갈래별, 성취기준별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을 자료로 삼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실상을 학년별, 갈래별, 성취기준별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확인된다.
첫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본, 보조 포함)의 수록 횟수 평균값은 3개 학년 동안 대체로 10회 내외에 이른다. 그 중 고전문학 본 제재를 수록한 경우의 수는 교과서별로 1회에서 6회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고전문학 작품이 본 제재로 채택된 단원의 수를 검토한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교과서가 크게 재구성되지 않고 문학 교실에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된다고 가정할 때, 이 시기 학습자들은 평균적으로 중학교 매 학년마다 1회 정도 고전문학 작품을 본 제재로 접하는 학습 경험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둘째, 국가 단위 중학교 수준의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크게 줄었다는 점이 뚜렷하게 부각된다. 검인정 심사를 통과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종류가 줄어든 점, 학습량을 줄이려는 경향 등과 맞물려 드러난 현상이겠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중학교 학습자들이 접할 가능성이 있는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는 바로 이전 시기인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보다도 크게 줄어들었다.
셋째,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줄어들면서 새로운 고전문학 제재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포함되기보다는 오히려 전통적인 정전의 지위에 있던 작품들의 수록이 더 확고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조, 서사무가, 한문 산문 갈래 등에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 추가되었으나 수가 많지 않으며 보조 갈래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제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전시가 혹은 고전소설 갈래에서는 기존 국어 교과서 내에서 정전의 지위를 뚜렷하게 인정받은 작품들의 수록이 두드러진다.
넷째, 교과서 9종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10개 항목 모두가 고전문학 제재와 결합하여 중학교 국어교과서에서 단원으로 구체화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학 영역 성취기준 10개 항목과 각각 결합하는 횟수는 차이를 보이는바, 고전문학 제재들은 작품의 창작 배경, 창작 맥락, 작품에 반영된 사회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한 문학감상 관련 성취기준 항목들과 더 많이 결합한 반면, 문학 작품의 구성 요소를 익혀 감상하는, 내적 독해 및 감상과 관련된 성취기준들과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다섯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비문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결합하기도 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는 읽기 성취기준과 가장 많이 결합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를 본 제재로 채택한 성취기준은 ‘서사 요약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 것이다. 그 외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을 구체화한 단원에서 고전문학제재는 모두 보조 제재로 활용되어 추가 학습활동 자료나 읽기 자료로 기능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n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grade, genre,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ine types of textbooks,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taining classical mater...
This study examines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n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grade, genre,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ine types of textbooks,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taining classical materials is from 6 to 13, and the average is generally less than 10 units. Assuming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are used as materials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learners will have a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they encounter the classics literary materials once in each grade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t is clear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at the national level of middle school education. As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decreases,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end to include works that were in the traditional canon of state rather than include new classical work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were relatively more combined with achievement standard items intended for literary appreci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contex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latively loosely coupled with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nner reading and appreci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미영, "중학교 국어 1-1∼ 중학교 국어 3-2" ㈜교학사 2020
2 신유식, "중학교 국어 1-1 ∼중학교 국어 3-2" ㈜미래엔 2020
3 이삼형,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지학사 2020
4 김진수,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비상교육 2020
5 노미숙,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천재교육 2020
6 류수열,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금성출판사 2020
7 박영목,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천재교육 2020
8 이도영,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창비 2020
9 이은영 외,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동아출판㈜ 2020
10 정재림, "국어교육에서 '갈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4) : 309-334, 2019
1 남미영, "중학교 국어 1-1∼ 중학교 국어 3-2" ㈜교학사 2020
2 신유식, "중학교 국어 1-1 ∼중학교 국어 3-2" ㈜미래엔 2020
3 이삼형,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지학사 2020
4 김진수,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비상교육 2020
5 노미숙,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천재교육 2020
6 류수열,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금성출판사 2020
7 박영목,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천재교육 2020
8 이도영,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창비 2020
9 이은영 외, "중학교 국어 1-1 ~ 중학교 국어 3-2" 동아출판㈜ 2020
10 정재림, "국어교육에서 '갈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4) : 309-334, 2019
11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5] 국어과 교육과정"
12 "교과서 민원 바로 처리 센터"
13 조희정, "고전문학 교육 연구" 한국문화사 2011
14 최원식, "고등학교 국어" ㈜창비 2019
15 변숙자,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신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언어문학회 (104) : 289-316, 2018
16 강문종,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고전서사 수용 양상 연구" 영주어문학회 42 : 89-110, 2019
17 황윤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66) : 171-221, 2020
18 오수엽,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단원 분석 연구 - 독자 중심적 문학으로서 고전시가 교육의 현황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40) : 321-347, 2018
19 조희정,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2) : 63-118, 2016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양상과 소설교육에서의 수용 방안
메타분석을 통한 문학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 모색 - 『문학교육학』 논문을 중심으로 -
현대시 교과서본 확정의 문제 연구 - 김영랑의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의 국어 교과서 표기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1 | 1.08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