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교과서본 표기 확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여 문학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현대시 교과서본을 확정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에 교과서에서 출처로 제시하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32313
2020
-
현대시 표기 ; 국어 교과서 ; 교과서 검정 ; 김영랑 ; 원본 ; 정본 ; 교과서본 ; poetry education ; modern poetry notations ; Korean textbook ; textbook authorization ; Kim young-rang
KCI등재
학술저널
89-117(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교과서본 표기 확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여 문학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현대시 교과서본을 확정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에 교과서에서 출처로 제시하고...
이 연구는 교과서본 표기 확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여 문학교육적 목적을 고려하여 현대시 교과서본을 확정할 필요가 있음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에 교과서에서 출처로 제시하고 있는 현대시의 원본과 정본, 교과서본 표기를 검토하고, 검정 체제 아래 동일한 현대시 작품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표기되는 것을 문제시하였다. 현대시의 교과서본 확정에는 현행 한글 맞춤법 규정을 적용하는 것보다 해석의 가능역을 규정하는 시 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시마다의 특수한 미감을 온전하게 살려내는 방향으로의 문학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교과서본 확정에 적용된 원칙과 논의의 과정은 공유하여 교육 주체 간 교육 목적에 대한 합의를 바탕으로 작품 선택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감상의 가능역 또한 넓혀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mote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extbook notation finalizations and it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need for modern poetry textbooks to be finalized with considerations made to literary education purposes. At this, ...
This study aims to promote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textbook notation finalizations and it makes suggestions regarding the need for modern poetry textbooks to be finalized with considerations made to literary education purposes. At this, examinations were made of notations in the original, formal, and textbook versions of modern poems presented as sources in textbooks and the problem was raised that identical modern poems within the authorization system are being noted using respectively different methods. In textbook finalizations of modern poetry, rather than applying the current rules of Korean orthograph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oetry notations that define possible areas of interpretation and to conduct discussions of literary education that wholly vitalize the unique esthetic senses of each poem. Also, principles applied to textbook finalizations and discussion processes should be shared to expand the possible areas of appreciation in addition to the diversity of work selection based on agreements made regarding educational purposes among educational ag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엄형섭, "한국현대시사자료집성 6" 태학사 1982
2 윤여탁, "한국의 문학교육과 정전:그 역사와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27) : 135-158, 2008
3 김희보, "한국의 명시" 종로서적 1986
4 한계전, "한계전의 명시 읽기" 문학동네 2002
5 매일신문, "최창희, “검인정 국어 교과서속 문학, 김소월 詩 19회 ‘최다’”"
6 김소월, "진달래" 숭문사 1950
7 김소월, "진달래" 매문사 1925
8 서민영, "중학교 검정 국어과 교과서 수록 시의 현황과 적절성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주갑동, "전라도방언사전" 신아출판사 2005
10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태학사 1998
1 엄형섭, "한국현대시사자료집성 6" 태학사 1982
2 윤여탁, "한국의 문학교육과 정전:그 역사와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27) : 135-158, 2008
3 김희보, "한국의 명시" 종로서적 1986
4 한계전, "한계전의 명시 읽기" 문학동네 2002
5 매일신문, "최창희, “검인정 국어 교과서속 문학, 김소월 詩 19회 ‘최다’”"
6 김소월, "진달래" 숭문사 1950
7 김소월, "진달래" 매문사 1925
8 서민영, "중학교 검정 국어과 교과서 수록 시의 현황과 적절성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주갑동, "전라도방언사전" 신아출판사 2005
10 이기갑, "전남방언사전" 태학사 1998
11 김영랑, "원본 영랑 시집" 깊은샘 2007
12 안재원, "왜 ‘정본’인가"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31-57, 2012
13 김소월, "완본 소월시집" 정음사 1973
14 이숭원, "영랑을 만나다 - 김영랑 시 전편 해설" 태학사 2009
15 김영랑, "영랑시집" 열린책들 2004
16 김영랑, "영랑시선" 정음사 1956
17 이상규, "시어방언사전" 역락 2015
18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18
19 김소월, "소월시집" 정음사 1956
20 윤재웅, "서정주 시 정본 확정의 원칙과 과정" 한국시학회 (43) : 77-108, 2015
21 오리사, "미적 태도를 통한 문학교육 시론" 한국국어교육학회 (121) : 67-96, 2019
22 고은, "미당담론" 창비 112 : 287-309, 2001
23 윤재웅, "미당 서정주 전집. 8-20" 은행나무 2017
24 노홍주, "미당 서정주 전집. 1-20" 은행나무 2015
25 김소월, "못잊을 그사람" 1966
26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미래사 1991
27 김소월, "먼 후일" 홍자출판사 1959
28 김영랑, "김영랑 시집" 범우사 2020
29 김정희, "김영랑 시의 언어" 전주대학교 인문과학종합연구소 1 : 169-189, 1995
30 김동리, "김동리 문학전집 32(평론)"
3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 사전" 대교출판 1999
32 박수민, "국어 교과서의 현대시 표기 방식 고찰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67) : 169-192, 2018
33 Ong, Walter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언어를 다루는 기술" 문예출판사 1995
34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약칭: 교과용도서 규정)[시행2020.1.7.] [대통령령 제30319호, 2020.1.7., 일부개정]"
35 고형진, "교과서에 수록된 지용 시 「향수」의 표기와 뜻풀이의 정립을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349-375, 2009
36 이숭원, "교과서 시 정본 해설" 휴먼앤북스 2008
37 임주탁, "고등학교 문학" 미래엔 2014
38 박인기, "고등학교 문학" 비상교과서 2014
39 김소월, "素月詩抄" 박문출판사 1939
40 김소월, "[단행본] 原本素月全集 下" 홍성사 1982
41 교육부, "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42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국어과 교과서 집필 기준"
43 박경신,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금성 2012
44 민현식,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좋은책 신사고 2013
45 김태철,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비상교육 2013
46 김종철,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천재교과서 2013
47 박영목,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천재교육 2013
48 방민호,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지학사 2013
49 우한용,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좋은책 신사고 2013
50 이관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비상교과서 2013
51 이도영,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창비 2013
52 이삼형,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두산동아 2013
53 장수익,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대교 2012
54 전경원, "2009 개정 중학교 『국어』1" 두산동아 2013
55 한철우, "2009 개정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교학사 2014
56 김서윤, "(고등학교) 문학" 천재교육 2014
<만세전>에 나타난 진화론적 양상과 소설교육에서의 수용 방안
메타분석을 통한 문학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 모색 - 『문학교육학』 논문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1 | 1.085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