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윤택 희곡 <문제적 인간 연산>의 감정 연구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motions of “Problematic Human Yeoun-San” -Focusing on Metadrama De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6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motional effects of metadrama devices focusing on “Problematic Human Yeoun-San”(below, “Yeoun-San”) written by Lee Yun-Taek. The drama used metadrama devices and expressed strong emotions.
      Generally theatricality, reflexivity, and artistic meditation can be perceived in drama using metadrama devices. Metadrama devices are recognized leading to the ‘double watching’ of spectators, resulting in reasonal perception of spectators. But the recent cognitive science regards the reason as a by-conduct of physical experience including emotion.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metadrama devices lead to not only reasonal perception but also emotional perception.
      There are two metadrama levels in “Yeoun-San”. The first level is ‘outer play(the frame play)-inner play, role playing, inner ceremony-outer play.’ The pla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alive and the dead.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son and mother.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royal authority and the minister authority. The metadrama devices arise certain emotions as they are performed. The pla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constructed gives rise to fear.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which has halted creates an air of anxiety.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stroyed leads to explode with rage.
      The 2nd level is ‘the play within the ceremony.’ The 2nd level frame forms by surrounding the first level frame with beginning and ending Myoje(묘제, a memorial service held in front of the grave). The Confucian ritual Myoje put emphasis on Confucian emotion view.
      번역하기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motional effects of metadrama devices focusing on “Problematic Human Yeoun-San”(below, “Yeoun-San”) written by Lee Yun-Taek. The drama used metadrama devices and expressed strong emotions. Generally th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emotional effects of metadrama devices focusing on “Problematic Human Yeoun-San”(below, “Yeoun-San”) written by Lee Yun-Taek. The drama used metadrama devices and expressed strong emotions.
      Generally theatricality, reflexivity, and artistic meditation can be perceived in drama using metadrama devices. Metadrama devices are recognized leading to the ‘double watching’ of spectators, resulting in reasonal perception of spectators. But the recent cognitive science regards the reason as a by-conduct of physical experience including emotion.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metadrama devices lead to not only reasonal perception but also emotional perception.
      There are two metadrama levels in “Yeoun-San”. The first level is ‘outer play(the frame play)-inner play, role playing, inner ceremony-outer play.’ The pla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alive and the dead.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son and mother.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royal authority and the minister authority. The metadrama devices arise certain emotions as they are performed. The pla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constructed gives rise to fear. The role playing within the role which has halted creates an air of anxiety. And the ceremony within the play which has destroyed leads to explode with rage.
      The 2nd level is ‘the play within the ceremony.’ The 2nd level frame forms by surrounding the first level frame with beginning and ending Myoje(묘제, a memorial service held in front of the grave). The Confucian ritual Myoje put emphasis on Confucian emotion vie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극 안에 연극이 설정되고, 역할놀이가 행해지고, 유사 극이라 할 각종 의례가 재현될 때, 이런 장치들은 연극 안에서 연극의 정체성을 묻는 매개 기능을 한다. 그래서 메타드라마적 장치는 ‘이중으로 보기’를 통해 연극과 현실, 실재와 환영의 본질에 대한 이성적 통찰 기능을 한다고 여겨진다.
      인지과학의 최근 성과에 따르면 이성적 통찰은 감정적 경험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일어난다. 관객이 극에서 이화된다고 해서 관객의 감정 경험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고는 <문제적 인간 연산>에서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활용되는 양상을 주목하며, 이것이 강렬한 감정 표출과 연계됨을 밝혔다.
      <문제적 인간 연산>에는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이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차 층위에서는 연산이 현재시점에서 겪는 사건을 다룬 외부극 안에 다양한 메타드라마적 장치들(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이 산재하는 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2차 층위에서는 묘제가 이 외부극과 그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로 구성된 극을 둘러싸는 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묘제라는 의례 안에 극이 있고, 그 극 안에 다시 극중극과 역할놀이와 극중의례가 있는 셈이다.
      그런데 1차 층위 ‘외부극-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외부극’에서, 외부극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외부극과 안정되게 구별되지 않는다. 외부극과 극중극의 경계는 해체되어 있고, 연산과 녹수의 역할놀이는 중단되고, 극중의례는 외부극의 인물들에 의해 파괴된다. 이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해체되고 중단되고 파괴되면서, 특정 감정 표출을 강화한다. 극중극인 꿈과 굿이 해체됨에 따라 죽은 자들의 세계가 산 자들의 세계를 압도하고, 이에 따라 공포감이 만연한다. 역할놀이는 자발적인 듯 보이지만 실상은 비자발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불안을 야기한다. 극중의례들은 대부분 죽은 자들과 관련된 의례이다. 연산과 대신들은 이 의례의 수행 여부와 수행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하고, 이 갈등이 격화되면서 의례들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채 중단된다. 이 의례의 훼손에 따라 억압되던 분노가 분출한다.
      2차 층위 ‘묘제-극-묘제’에서, 묘제는 일종의 제사 의례이다. 극 밖의 이 묘제는 극에서 표출된 강렬한 감정들에게 바치는 제사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묘제는 극 안의 의례들과 달리 ‘제대로 수행’됨으로써, 평화와 안정감으로 극을 감싼다. <연산>은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특별한 활용을 매개로, 분노․불안․공포 등의 감정을 격렬하게 터뜨리는 동시에 격렬한 감정 분출에 대한 긴장된 태도를 드러내는 감정 드라마인 것이다.
      번역하기

      연극 안에 연극이 설정되고, 역할놀이가 행해지고, 유사 극이라 할 각종 의례가 재현될 때, 이런 장치들은 연극 안에서 연극의 정체성을 묻는 매개 기능을 한다. 그래서 메타드라마적 장치는...

      연극 안에 연극이 설정되고, 역할놀이가 행해지고, 유사 극이라 할 각종 의례가 재현될 때, 이런 장치들은 연극 안에서 연극의 정체성을 묻는 매개 기능을 한다. 그래서 메타드라마적 장치는 ‘이중으로 보기’를 통해 연극과 현실, 실재와 환영의 본질에 대한 이성적 통찰 기능을 한다고 여겨진다.
      인지과학의 최근 성과에 따르면 이성적 통찰은 감정적 경험과 분리되지 않고 함께 일어난다. 관객이 극에서 이화된다고 해서 관객의 감정 경험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고는 <문제적 인간 연산>에서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활용되는 양상을 주목하며, 이것이 강렬한 감정 표출과 연계됨을 밝혔다.
      <문제적 인간 연산>에는 메타드라마적 장치가 이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1차 층위에서는 연산이 현재시점에서 겪는 사건을 다룬 외부극 안에 다양한 메타드라마적 장치들(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이 산재하는 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2차 층위에서는 묘제가 이 외부극과 그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로 구성된 극을 둘러싸는 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묘제라는 의례 안에 극이 있고, 그 극 안에 다시 극중극과 역할놀이와 극중의례가 있는 셈이다.
      그런데 1차 층위 ‘외부극-극중극, 역할놀이, 극중의례-외부극’에서, 외부극 안의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외부극과 안정되게 구별되지 않는다. 외부극과 극중극의 경계는 해체되어 있고, 연산과 녹수의 역할놀이는 중단되고, 극중의례는 외부극의 인물들에 의해 파괴된다. 이 메타드라마적 장치들은 해체되고 중단되고 파괴되면서, 특정 감정 표출을 강화한다. 극중극인 꿈과 굿이 해체됨에 따라 죽은 자들의 세계가 산 자들의 세계를 압도하고, 이에 따라 공포감이 만연한다. 역할놀이는 자발적인 듯 보이지만 실상은 비자발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불안을 야기한다. 극중의례들은 대부분 죽은 자들과 관련된 의례이다. 연산과 대신들은 이 의례의 수행 여부와 수행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하고, 이 갈등이 격화되면서 의례들은 제대로 수행되지 못한 채 중단된다. 이 의례의 훼손에 따라 억압되던 분노가 분출한다.
      2차 층위 ‘묘제-극-묘제’에서, 묘제는 일종의 제사 의례이다. 극 밖의 이 묘제는 극에서 표출된 강렬한 감정들에게 바치는 제사 역할을 한다. 또한 이 묘제는 극 안의 의례들과 달리 ‘제대로 수행’됨으로써, 평화와 안정감으로 극을 감싼다. <연산>은 메타드라마적 장치의 특별한 활용을 매개로, 분노․불안․공포 등의 감정을 격렬하게 터뜨리는 동시에 격렬한 감정 분출에 대한 긴장된 태도를 드러내는 감정 드라마인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란, "「이만희론-한국 희곡 문학의 장르적 특질, 메타드라마의 가능성" 10 : 354-355, 1998

      2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59-, 1990

      3 김동욱, "지역화로 재생산된 셰익스피어: 번역(안)/각색된 「햄릿」을 중심으로" 한국셰익스피어학회 48 (48): 227-246, 2012

      4 장혜전, "자기반영적 연극에서의 극중극과 치유" 한국연극학회 1 (1): 139-166, 2011

      5 G. 레이코프, "인지의미론-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463-518, 1994

      6 김용수,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한국연극학회 1 (1): 133-170, 2013

      7 김미도, "이윤택의 연극적 문법에 관한 고찰-<문제적 인간 연산>과 <시골 선비 조남명>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 (1): 97-124, 2012

      8 서연호, "이윤택 공연대본전집 4" 연극과인간 2006

      9 졸탄 퀘벡시스, "은유와 문화의 만남: 보편성과 다양성"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10 졸탄 퀘벡시스, "은유와 감정" 동문선 49-99, 2009

      1 김기란, "「이만희론-한국 희곡 문학의 장르적 특질, 메타드라마의 가능성" 10 : 354-355, 1998

      2 신현숙, "희곡의 구조" 문학과지성사 259-, 1990

      3 김동욱, "지역화로 재생산된 셰익스피어: 번역(안)/각색된 「햄릿」을 중심으로" 한국셰익스피어학회 48 (48): 227-246, 2012

      4 장혜전, "자기반영적 연극에서의 극중극과 치유" 한국연극학회 1 (1): 139-166, 2011

      5 G. 레이코프, "인지의미론-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463-518, 1994

      6 김용수,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서사극 이론" 한국연극학회 1 (1): 133-170, 2013

      7 김미도, "이윤택의 연극적 문법에 관한 고찰-<문제적 인간 연산>과 <시골 선비 조남명>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 (1): 97-124, 2012

      8 서연호, "이윤택 공연대본전집 4" 연극과인간 2006

      9 졸탄 퀘벡시스, "은유와 문화의 만남: 보편성과 다양성"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10 졸탄 퀘벡시스, "은유와 감정" 동문선 49-99, 2009

      11 김성희, "연극의 담론과 창조" 국학자료원 1999

      12 김혜련,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서 감정의 역할: 인지주의적 해석" 철학연구회 (76) : 43-66, 2007

      13 G. 레이코프,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6

      14 송원덕, "셰익스피어의 메타 연극과 현대 메타 연극의 동질성에 대한 연구" 8 : 100-101, 1997

      15 노양진, "삶으로서의 은유" 박이정 2006

      16 이윤택, "문제적 인간" 공간미디어 1995

      17 G. 레이코프, "몸의 철학: 신체화된 마음의 서구 사상에 대한 도전" 박이정 2002

      18 노양진, "몸, 언어, 철학" 서광사 2009

      19 김성희, "메타연극이론" (27) : 2007

      20 황계정, "메타드라마-셰익스피어 희곡의 반영극적 분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21 변형택, "메타드라마적 관점에서 본 사무엘 베켓과 이윤택의 극" 21세기영어영문학회 26 (26): 53-72, 2013

      22 M. 존슨, "마음 속의 몸: 의미 상상력 이성의 신체적 근거" 철학과현실사 19-32, 2000

      23 리차드 혼비, "드라마, 메타드라마, 지각" 전남대학교출판부 75-102, 2012

      24 조셉 르두, "느끼는 뇌" 학지사 403-404, 2006

      25 이용복, "극중극의 특성 및 그 의미에 대한 연구" 한국연극학회 1 (1): 199-232, 2012

      26 Erin Hurley, "Theatre & Feeling" Palgrave Macmillan 8-9, 2010

      27 Peta Tait, "Performing Emotions" Ashgate 14-16, 2002

      28 Greg M. Smith, "Film Structure and the Emotion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1, 2003

      29 서미진, "<문제적 인간 연산>과 <이(爾)>의 대비고찰 -역사의 재구성과 비극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419-445,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