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비가치에 따른 밀레니얼세대 카페 소비자 세분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umer Segmentation of the Millennials Cafe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2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카페는 이제 단순히 사람들이 만나거나 음식을 파는 공간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다. 카페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 알려진 밀레니얼세대의 변화된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

      카페는 이제 단순히 사람들이 만나거나 음식을 파는 공간의 기능을 넘어서고 있다. 카페가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 알려진 밀레니얼세대의 변화된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공간 마케팅을 위해서는 먼저 그들의 ‘내면적 소비가치’를 포착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카페시장을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시장세분화는 기업들이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기 전에 선행되어야할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자 관점에서 선정한 속성에 대한 객관적 측정을 주로 하는 R 방법에 기반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R 방법 연구로는 소비자의 주관성에 기초한 선택행동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가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의 검증된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최근 카페시장에 대한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들의 내면적 주관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시장은 4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것이 발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함께 ’상품속성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두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상품속성 가치‘ 그리고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성을 복합적으로 갖고 있는 소비자들이다. 세 번째 유형은 ’개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네 번째 유형은 ’타인 지향적 상품경험 가치‘와 ’소비자 주체적 가치‘지향적인 소비자들이다.
      이처럼 밀레니얼 세대 카페 소비자들이라도 개인의 심리적 가치척도와 주관성에 따라서 선호하는 소비가치는 크게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카페들은 목표고객에 따라서 그들이 선호하는 소비가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공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통해 외식산업 종사자들이 공간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작으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ket segmentation is an essential activity of food servic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nternal subjectivity of millennial cafe consumers, who have emerged as the leader of consumption, using the Q methodology suitabl...

      Market segmentation is an essential activity of food service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internal subjectivity of millennial cafe consumers, who have emerged as the leader of consumption, using the Q methodology suitable for subjectivity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illennial cafe market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The first types are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product attribute value' oriented consumers. The second type is consumers who aim for a combination of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product attribute value', and 'consumer-independent value'. The third type is consumers who are oriented to 'personal-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The fourth type is 'other-oriented product experience value' and 'consumer-centered value' oriented consumers.
      Therefore, cafes will ne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spatial marketing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nsumption value preferred by their target custom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건, "패밀리레스토랑 점포이미지를 이용한 시장세분화와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9 (9): 197-216, 2006

      2 유진주 ; 민하나 ; 최규완 ; 최호식, "커피전문점 선택속성과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69-288, 2015

      3 박용정, "커피산업의 5가지 트렌드 변화와 전망" 848 : 1-13, 2019

      4 오홍철, "추구편익을 활용한 호텔 팝 레스토랑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2 : 91-110, 2003

      5 박수정, "청소년의 가치기준, 여가태도, 여가기능에 관한 인과적 모형 분석" 16 (16): 363-375, 2003

      6 유병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 에코부머의 3대 경제난(취업난, 신용난, 주거난)" 현대경제연구원 491 : 12-20, 2012

      7 진익준, "음식점 어떤 소비가치를 제공할 것인가?" 2020 (2020): 98-99, 2020

      8 김태희 ; 이승하 ; 박홍현, "외식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313-323, 2006

      9 김동진 ; 이은경, "외식 동기 유형에 따른 세분시장별 서비스스케이프(servicescape)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7-26, 2010

      10 김주향, "와인소비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2단계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467-484, 2014

      1 이상건, "패밀리레스토랑 점포이미지를 이용한 시장세분화와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9 (9): 197-216, 2006

      2 유진주 ; 민하나 ; 최규완 ; 최호식, "커피전문점 선택속성과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하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69-288, 2015

      3 박용정, "커피산업의 5가지 트렌드 변화와 전망" 848 : 1-13, 2019

      4 오홍철, "추구편익을 활용한 호텔 팝 레스토랑 이용객의 시장세분화 연구" 2 : 91-110, 2003

      5 박수정, "청소년의 가치기준, 여가태도, 여가기능에 관한 인과적 모형 분석" 16 (16): 363-375, 2003

      6 유병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제주평 : 에코부머의 3대 경제난(취업난, 신용난, 주거난)" 현대경제연구원 491 : 12-20, 2012

      7 진익준, "음식점 어떤 소비가치를 제공할 것인가?" 2020 (2020): 98-99, 2020

      8 김태희 ; 이승하 ; 박홍현, "외식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석" 한국관광연구학회 20 (20): 313-323, 2006

      9 김동진 ; 이은경, "외식 동기 유형에 따른 세분시장별 서비스스케이프(servicescape)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7-26, 2010

      10 김주향, "와인소비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 2단계 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467-484, 2014

      11 김명희, "여대생 소비가치가 건강기능식품 브랜드이미지 및 제품선호에 미치는 영향" 45 (45): 41-57, 2019

      12 정효선 ; 윤혜현,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성향에 관한 연구:수도권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0 (10): 93-117, 2007

      13 이광옥 ; 장현종, "소비자의 외식기업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한 경험가치와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7 (27): 211-226, 2013

      14 원종현 ; 정재은, "소비가치에 따른 1인 가구 세분화와 구매행동 - Sheth의 소비가치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26 (26): 73-99, 2015

      15 구명진 ; 김난도 ; 김소연 ; 나종연 ; 여정성 ; 최현자, "소비가치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6 (26): 235-266, 2015

      16 대학내일20대연구소,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2020" 위즈덤하우스 2019

      17 한국디자인진흥원, "밀레니얼 세대의 노마드 마켓" 쌤앤파커스 2017

      18 김흥규, "문화 간 소비행위 연구를 위한 Q방법론적 접근: 한국과 미국 커피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37 (37): 173-194, 1997

      19 김주연 ; 송학준 ; 박성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식(HMR)시장의 세분화:서울 강남 S백화점의 중식(HMR)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8 (8): 137-154, 2005

      20 최규완 ; 방도형, "The Segmentation of Customers Dining Out: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LCA)" The Toursim Scicenes Society of Korea 41 (41): 131-149, 2017

      21 Vinson, Donald E.,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41 (41): 44-50, 1977

      22 박대섭, "The Effects of Well-being Consumer Value on Well-being oriented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Lif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4 (24): 147-170, 2021

      23 정영택, "The Effects of Perceived Environmental Clues of Bakery Cafés on Customer Emotional Response and Relationship Continuation Intention: Focused on the PAD scal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4 (24): 153-175, 2021

      24 김범종, "Q방법을 이용한 소비자 유형화" 4 (4): 134-135, 1999

      25 김범종, "Q방법론의 특성과 적용" 2001 (2001): 109-127, 2001

      26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언론문화연구소 6-59, 1990

      27 김범종, "Q방법론의 이해와 소비자 연구에의 적용" 1 (1): 134-135, 1999

      28 조춘봉 ; 김영갑 ; 진익준, "Q방법론에 의한 레스토랑이용자의 실내디자인 선호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경영학회 17 (17): 27-48, 2014

      29 McKeown, B., "Q Methodology" Sage 1988

      30 Sanchez, J., "Perceived value of the purchase of a tourism product" 27 (27): 394-409, 2006

      31 Kerlinger, F. N.,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 CBS College Publishing 1986

      32 Mosyagina, N. I., "Emerging Russian consumerism. A Q-Methodology study of consumer attitudes after Perestroika. Kongressmanuskript. Vorggetragen bei der" 1997

      33 Barchak, L. J., "Discovering Communication AParadigms with Q Methodology : Ferment or Sour Grapes?" 7 (7): 115-130, 1984

      34 Zeithaml, V. A,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52 : 2-22, 1988

      35 Bahn, k., "Benefit segmentation in the restaurant industry" 13 (13): 226-247, 1985

      36 신태화,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Menus in Bakery Cafe on the Brand Image and Intent to Relationship Continuity"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4 (24): 7-30, 2021

      37 이상윤 ; 안인숙,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illennial Generation Expressed in Fashion Brand"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Research 55 : 59-68, 2018

      38 이동진, "A Study on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Menu Quality of Local Specialty Food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ed on the Window Bakery"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4 (24): 57-81,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5 2.45 2.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8 2.37 2.735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